초한 귀납법: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uckas-bot (토론 | 기여)
잔글 r2.7.1) (로봇이 더함: kk:Трансфинит индукция
ZéroBot (토론 | 기여)
잔글 r2.7.1) (로봇이 더함: uk:Трансфінітна індукція
44번째 줄: 44번째 줄:
[[pt:Indução transfinita]]
[[pt:Indução transfinita]]
[[ru:Трансфинитная индукция]]
[[ru:Трансфинитная индукция]]
[[uk:Трансфінітна індукція]]
[[zh:超限归纳法]]
[[zh:超限归纳法]]

2012년 10월 9일 (화) 17:02 판

초한귀납법(transfinite induction)은 수학적 귀납법서수기수들의 집합을 비롯한 커다란 정렬순서집합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확장한 것이다.

초한귀납법

초한귀납법은 특정한 성질 P(α)가 모든 서수 α에 대해 성립함을 증명하기 위한 방법이다. 증명은 대체로 다음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 P(0)이 성립함을 증명한다.
  • 임의의 따름서수 β+1에 대해, P(β)를 가정하고 P(β+1)을 증명한다. (필요할 경우 β보다 작은 모든 γ에 대해 P(γ)가 성립한다는 것도 가정해도 된다.)
  • 임의의 극한서수 λ에 대해, λ보다 작은 모든 γ에 대해 P(γ)가 성립한다는 것을 가정하고 P(λ)를 증명한다.

즉, 위의 세 가지 성질이 성립할 경우 P(α)는 모든 서수 α에 대해 참이다. 여기서 수학적 귀납법과의 유일한 차이는, 서수는 계속 1을 더해가는 방법으로는 전부 만들어낼 수 없기에 극한서수의 경우를 따로 고려해준다는 것뿐이다. 위의 내용을 잘 보면 알 수 있듯이 따름서수의 경우와 극한서수의 경우에서 증명할 내용은 사실상 동일하다.

초한반복

초한반복(transfinite recursion)은 집합들의 열 Aα를 모든 서수 α에 대해 정의하기 위해 초한귀납법과 유사한 과정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세 단계가 필요하다.

  • A0을 정의한다.
  • 임의의 따름서수 β+1에 대해, Aβ가 주어져 있을 때 Aβ+1를 정의하는 방법을 규정한다. (필요할 경우 β보다 작은 모든 γ에 대해 Aγ에도 의존하도록 정의해도 된다.)
  • 임의의 극한서수 λ에 대해, λ보다 작은 모든 γ에 대해 Aγ들이 주어져 있을 때 Aλ을 정의하는 방법을 규정한다.

보다 형식적으로는, 초한반복 정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모임 함수 G1, G2, G3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초한 수열 F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 F의 정의역은 모든 서수의 모임
  • F(0) = G1()
  • 모든 서수 α에 대해, F(α+1) = G2(F(α))
  • 모든 0이 아닌 극한서수 α에 대해, F(α) = G3(Fα).

선택공리와의 관계

초한귀납법(혹은 초한반복)이 선택공리를 필요로 한다는 오해가 널리 퍼져 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초한귀납법은 임의의 정렬순서집합에 대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초한귀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경우 선택공리를 이용해 집합에 정렬순서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