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별곡: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관동별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참조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문헌|관동별곡}}
{{위키문헌|관동별곡}}


'''관동별곡'''(關東別曲)은 [[조선 선조]] 때 [[정철]]이 지은 [[가사 (문학)|가사]]이다.
'''관동별곡'''(關東別曲)은 [[1330년]] [[고려 충숙왕]] 17년 [[안축]]이 지은 [[경기체가]]와 [[1580년]] [[조선 선조]] 때 [[정철]]이 지은 [[가사 (문학)|가사]]가 있다.


==안축의 관동별곡==
[[1580년]](선조 13년)에 송강 정철이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관동팔경]]과 해·내·외금강 등 절승지를 유람하며 읊은 작품들로 구성되었다. 그 구상·문장이 [[한국]] [[가사문학]]의 최고봉을 이루는 명작으로, 《[[송강가사]]》에 실려 있다. [[대한민국]] 고등학교 [[국어 (교과목)|국어]] 교과서에서 본문으로 다루고 있기도 하다.
[[1330년]] [[고려 충숙왕]] 17년 안축은 44세 때 강원도존무사(江原道存撫使)로 있다가 돌아오는 길에 관동지방의 뛰어난 경치와 유적 및 명산물에 감흥하여 짓게 되었다. 경기체가로 되어 있으며, 전체 9장이 《근재집》(謹齋集) 2권에 전한다.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ref>[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kyeong-gi/kwan-dong.htm 안축의 관동별곡]</ref>
* 1장 - 서사(序詞)
* 2장 - 학성(鶴城)
* 3장 - 총석정(叢石亭)
* 4장 - 삼일포(三日浦)
* 5장 - 영랑호(永郎湖)
* 6장 - 양양(襄陽)의 풍경
* 7장 - 임영(臨瀛)
* 8장 - 죽서루(竹西樓)
* 9장 - 정선(旌善)의 절경

==정철의 관동별곡==
[[1580년]] [[조선 선조]] 13년 송강 정철이 45세에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관동팔경]]과 해·내·외금강 등 절승지를 유람하며 읊은 작품들로 구성되었다. 그 구상·문장이 [[한국]] [[가사문학]]의 최고봉을 이루는 명작으로, 《[[송강가사]]》에 실려 있다. [[대한민국]] 고등학교 [[국어 (교과목)|국어]] 교과서에서 본문으로 다루고 있기도 하다.


== 함께 보기 ==
== 함께 보기 ==
* [[정철]]
* [[정철]]
* [[가사 (문학)]]
* [[가사 (문학)]]

==주석==
{{주석}}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2012년 4월 13일 (금) 00:11 판

관동별곡(關東別曲)은 1330년 고려 충숙왕 17년 안축이 지은 경기체가1580년 조선 선조정철이 지은 가사가 있다.

안축의 관동별곡

1330년 고려 충숙왕 17년 안축은 44세 때 강원도존무사(江原道存撫使)로 있다가 돌아오는 길에 관동지방의 뛰어난 경치와 유적 및 명산물에 감흥하여 짓게 되었다. 경기체가로 되어 있으며, 전체 9장이 《근재집》(謹齋集) 2권에 전한다.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1]

  • 1장 - 서사(序詞)
  • 2장 - 학성(鶴城)
  • 3장 - 총석정(叢石亭)
  • 4장 - 삼일포(三日浦)
  • 5장 - 영랑호(永郎湖)
  • 6장 - 양양(襄陽)의 풍경
  • 7장 - 임영(臨瀛)
  • 8장 - 죽서루(竹西樓)
  • 9장 - 정선(旌善)의 절경

정철의 관동별곡

1580년 조선 선조 13년 송강 정철이 45세에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관동팔경과 해·내·외금강 등 절승지를 유람하며 읊은 작품들로 구성되었다. 그 구상·문장이 한국 가사문학의 최고봉을 이루는 명작으로, 《송강가사》에 실려 있다. 대한민국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본문으로 다루고 있기도 하다.

함께 보기

주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