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력 평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저작권 위반
1번째 줄: 1번째 줄:
{{출처 필요}}
[[파일:PPP2003.svg|thumb|right|450px|미국(기준점=100%)을 기준으로 조정된 세계 구매력 평가 지도. (2003년 기준) 버뮤다의 경우 가장 높은154%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버뮤다의 상품이 기준국보다 평균 54% 비싸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밝은 녹색인 80%대로 표시되어 있다.]]
[[파일:PPP2003.svg|thumb|400px|right|Purchasing Power Parity (PPP)]]


'''구매력 평가'''(purchasing power parity, '''PPP''')이란 환율이 양국 통화의 구매력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이론으로 [[일물일가의 법칙]]이 성립함을 가정하고 있으며, 이것은 [[스웨덴]]의 경제학자인 [[구스타프 카셀]](Karl Gustav Cassel,1866.10.20-1945.1.14)이 제시하였다.
[[파일:GDP PPP per capita 2009 IMF.png|thumb|450px|right|일인당 구매력 평가 국내 총생산이 표시된 세계지도. (2007년, IMF자료)]]

[[경제학]]에서 '''구매력 평가'''(購買力 評價, Purchasing Power Parity, '''PPP''')는 국가별로 동일한 [[재화]]와 [[서비스]] 묶음을 구매하기 위한 통화의 양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해 '통화간 교환비율'([[환율]])을 계산하는 것을 말한다. 즉, 구매력 평가 환율로 교환된 통화량을 가지면 해외 시장에서도 국내 시장과 동일한 ''[[구매력]]''을 갖는다.

시장에서 결정되는 [[환율#명목환율|명목환율]]은 종종 큰 변동성을 보이고, 정치·금융과 같은 외부요인에 크게 좌우되며, 저소득 국가의 생활수준을 저평가하는 경향 때문에 국가별 소득 수준을 비교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구매력 평가 환율은 국가별 소득수준 비교를 위해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구매력 평가에 대한 개념은 16세기 스페인의 [[살라망카]] 학파가 처음 도입했다. 이를 [[1918년]] [[스웨덴]]의 경제학자 구스타프 카셀(Karl Gustav Cassel)이 더욱 발전시켰다.<ref>{{cite journal|last=Cassel|first=Gustav|date=December 1918|title=Abnormal Deviations in International Exchanges|publisher=The Economic Journal|volume= 28, No. 112|issue=112|pages=413–415|jstor=2223329}}</ref><ref name=princetonenc>{{cite encyclopedia|last=Cheung|first=Yin-Wong|editor-last=Reinert|editor-first=Kenneth A.|editor2-last=Rajan|editor2-first=Ramkishen S.|editor3-last=Glass|editor3-first=Amy Jocelyn|editor4-first=Lewis S. |editor4-last=Davis|title=purchasing power parity|encyclopedia=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the World Economy|url=http://books.google.com/books?id=BnEDno1hTegC&pg=PA942|accessdate=2 October 2011|volume=I|year=2009|publisher=Princeton University Press|location=Princeton|isbn=978-0-691-12812-2|page=942}}</ref>
구매력 평가는 교환비용과 무역 장벽이 없다면 동일 재화의 가격이 서로 다른 두 시장에서 같아야 된다고 보는 '''일물일가의 법칙'''(Law of One Price)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ref name=Krugman>{{cite book|last=Krugman and Obstfeld|title=International Economics|year=2009|publisher=Pearson Education, Inc.}}</ref> 또 다른 해석은 국내 시장과 해외 시장의 물가 변동율 차이가—즉,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차이— 환율의 절상(切上) 또는 절하(切下)율과 동일하다고 본다.

국가별로 구매력을 평가하는 "상품 묶음(basket of goods)"에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국제 비교를 위해서는 명목 소득 통계를 "구매력 평가 조정(PPP-adjusted)"을 통해 하나의 단위로 나타낼 필요성이 있다. 가장 널리 쓰이는 구매력 평가 단위는 "국제 달러"라고 알려진 '기어리-카미스 달러'(Geary–Khamis dollar)가 있다. 이경우 [[환율#실질환율|실질환율]]은 비교 국가간 물가 수준이 조정된 [[환율#명목환율|명목환율]]과 일치해야 한다. 만약 이런 구매력 평가 가설이 맞다면, 실질환율은 항상 일대일(一對一)의 비율이어야 한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실질환율은 단기(short run)와 장기(long run) 모두 이론에서 벗어난 움직임을 보여준다. '바라사-[[폴 새뮤얼슨|새무얼슨]] 정리'(Balassa–Samuelson theorem)는 여기에 대한 몇가지 이유들을 설명하고 있다.

구매력 평가로 환산된 소득과 시장 환율을 통해 계산된 명목 소득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ref>[http://www.ft.com/cms/s/0/36a2d566-ad82-11dc-9386-0000779fd2ac.html FT.com / World - China, India economies ‘40% smaller’:By Scheherazade Daneshkhu in London Published: December 18 2007 18:04]</ref> 가령, [[세계은행]]의 ''세계 발전 지표 2005'' 보고서는 2003년도 자료를 사용해 '기어리-카미스 달러' 한 단위(즉, $1 국제 달러)가 1.8[[런민비|중국 인민폐]]와 동일한 구매력을 갖는다고 추정했다. <ref>[http://devdata.worldbank.org/wdi2005/Table5_7.htm 2005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Table 5.7 | Relative prices and exchange rates]</ref> 이 수치는 명목 환율과 상당한 괴리가 있는 것이다. 이런 현상에는 몇가지 시사점이 있다: 명목 환율로 환산했을때 [[인도]]의 1인당 국민소득은 $1,704이지만, 구매력 환산 기준으로는 $3,608이다.(212% 수준) 반대로 [[덴마크]]의 1인당 구매력 환산 국내 총생산(GDP)는 $37,304이지만, 1인당 명목 소득은 $62,100이다.(60% 수준)

[[2011년]] [[국제통화기금]]이 발표한 자료는 [[대한민국]]의 일인당 명목 국내 총생산(GDP per capita)을 $23,749로, 일인당 구매력 평가 기준 국내 총생산(GDP(PPP) per capita)을 $31,753로 추정하고 있다.

== 구매력 평가 측정 ==


== 설명 ==
== 설명 ==
30번째 줄: 16번째 줄:
* [[명목 국내총생산순 나라 목록]]
* [[명목 국내총생산순 나라 목록]]
* [[명목 일인당 국내총생산순 나라 목록]]
* [[명목 일인당 국내총생산순 나라 목록]]

== 주석 ==
<references/>



{{토막글|경제}}
{{토막글|경제}}

2012년 3월 25일 (일) 23:52 판

Purchasing Power Parity (PPP)

구매력 평가(purchasing power parity, PPP)이란 환율이 양국 통화의 구매력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이론으로 일물일가의 법칙이 성립함을 가정하고 있으며, 이것은 스웨덴의 경제학자인 구스타프 카셀(Karl Gustav Cassel,1866.10.20-1945.1.14)이 제시하였다.

설명

국제적으로 일물일가의 법칙이 성립하면, 환율은 양국의 물가수준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다른 말로 절대적 구매력평가(absolute PPP)라고도 한다.

상대적 구매력 평가

절대적 구매력 평가설에 의한 환율의 변화율은 양국의 인플레이션율 차이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를 상대적 구매력평가(relative PPP)이라고 한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