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6 세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문서 정리
7번째 줄: 7번째 줄:
'''3'''0대, '''8'''0년대 학번, '''6'''0년대 생인 세대’라는 용어의 정의를 엄격히 적용하면, 용어의 정의에 "30대"라는 가변적인 나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해가 바뀜에 따라 386세대라 불리는 세대는 [[1990년]]에 첫 등장하여 [[2008년]]에 사라지게 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30대"라는 나이 구분을 제외하고, 시기적으로 [[제5공화국]] 때 민주화 투쟁을 했던 대학생 또래들의 세대를 가리킨다. 따라서 세월이 흘러 40대가 된 현재는 [[486]]세대로 일컫기도 한다. 그래서 1960-70년대 학생운동을 했던 [[전공투]] 세대나 유럽 68혁명에 참여했던 [[68혁명|68세대]]와 비교되기도 한다.
'''3'''0대, '''8'''0년대 학번, '''6'''0년대 생인 세대’라는 용어의 정의를 엄격히 적용하면, 용어의 정의에 "30대"라는 가변적인 나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해가 바뀜에 따라 386세대라 불리는 세대는 [[1990년]]에 첫 등장하여 [[2008년]]에 사라지게 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30대"라는 나이 구분을 제외하고, 시기적으로 [[제5공화국]] 때 민주화 투쟁을 했던 대학생 또래들의 세대를 가리킨다. 따라서 세월이 흘러 40대가 된 현재는 [[486]]세대로 일컫기도 한다. 그래서 1960-70년대 학생운동을 했던 [[전공투]] 세대나 유럽 68혁명에 참여했던 [[68혁명|68세대]]와 비교되기도 한다.


북한 사람이 ‘386 세대’라는 말을 쓴 사례가 있다.<ref>[http://www.korean.go.kr/nkview/nknews/200009/26_4.htm 북한 문화어의 이해<!-- 봇이 붙인 제목 -->]</ref>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측에서도 ‘386 세대’라는 말을 쓴 사례가 있다.<ref>[http://www.korean.go.kr/nkview/nknews/200009/26_4.htm 북한 문화어의 이해<!-- 봇이 붙인 제목 -->]</ref>


== 특징 ==
== 특징 ==
386세대는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이라는 특유의 역사적 경험으로 인해 진보적인 정치 사회의식과 태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전 세대보다 휠씬 탈 권위적, 탈 지역적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분배" 또는 [[국가보안법]]과 같은 문제에 대해 진보적인 태도를 갖고 정치단체 또는 사회단체에 가장 높은 참여를 하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386세대는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이라는 특유의 역사적 경험으로 인해 진보적인 정치 사회의식과 태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전 세대보다 휠씬 탈 권위적, 탈 지역적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분배" 또는 [[국가보안법]]과 같은 문제에 대해 진보적인 태도를 갖고 정치단체 또는 사회단체에 가장 높은 참여를 하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 자본주의가 안착화, 고도화 되어가고 있는 대한민국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정치적 철학으로, 이전 세대에서는 금기시되었던 [[마르크스주의]] 또는 [[사회주의]]를 받아들이기도 하였을 뿐 아니라, 한반도의 분단 상황에 대한 인식과 결부되어 민족주의적 성향을 강하게 드러내면서, [[광주민주화운동]] 당시의 [[미국]]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취하며 반미 성향을 표출하기도 하였다.
또, 자본주의가 안착화, 고도화 되어가고 있는 대한민국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정치적 철학으로, 이전 세대에서는 금기시되었던 [[마르크스주의]] 또는 [[사회주의]]를 받아들이기도 하였을 뿐 아니라, 한반도의 분단 상황에 대한 인식과 결부되어 민족주의적 성향을 강하게 드러내면서,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의 [[미국]]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취하며 반미 성향을 표출하기도 하였다.


== 평가 ==
== 평가 ==
다른 세대에 비해 정치적 저항의식내지는 비판적 사회의식을 더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으며, 1980년 후반 대한민국이 민주화를 하는 데 크게 기여한 점은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보수 세력은 그들의 좌파 성향으로의 이념 과잉을 문제삼아 비판적 시각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02년]] 12월 대통령 선거에서 [[노무현]]이 386 세대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아 [[참여정부]]가 집권하면서 386정치인 상당수가 권력 실세로 등장하자, 기존의 보수세력은 지속적으로 "386세대"에 대한 적대적 시각을 나타냈다. 또, 진보세력 내의 [[민중 민주|PD]]파는 "386세대"의 과도한 보수적 [[민족주의]] 성향이나 [[주체사상]] 및 [[북한]]에 대한 우호적 태도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 보수세력내에서도 [[뉴라이트]]의 등장으로 일부 [[주사파]]출신 386세대 인사들 중 일부는 [[이명박 정부]]를 지지하는 노선으로 선회하였다.
다른 세대에 비해 정치적 저항의식내지는 비판적 사회의식을 더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으며, 1980년 후반 대한민국이 민주화를 하는 데 크게 기여한 점은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보수 세력은 그들의 좌파 성향으로의 이념 과잉을 문제삼아 비판적 시각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02년]] 12월 대통령 선거에서 [[노무현]]이 386 세대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아 [[참여정부]]가 집권하면서 386정치인 상당수가 권력 실세로 등장하자, 기존의 보수세력은 지속적으로 "386세대"에 대한 적대적 시각을 나타냈다. 또, 진보세력 내의 [[민중 민주|PD]]파는 "386세대"의 과도한 보수적 [[민족주의]] 성향이나 [[주체사상]] 및 [[북한]]에 대한 우호적 태도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 보수세력 내에서도 [[뉴라이트]]의 등장으로, 일부 [[주사파]] 출신 386세대 인사들 중 일부는 [[이명박 정부]]를 지지하는 노선으로 선회하였다.


== 비판 ==
== 비판 ==
교육 개혁을 이룬 프랑스의 [[68세대]]와 달리 386세대는 [[종신고용]]과 [[연공서열]]의 마지막 세대로 사회에 진출하여, 소위 [[단군]]이래 한국에서 가장 부유한 삶을 살고 있는 대한민국 최대 기득권층으로 등극하였고, 강력한 정치적 단결력으로 자신들이 지지하는 대통령을 2차례나 당선시키는 등 유리한 위치를 차지했으면서도 [[학벌사회]]를 오히려 조장 및 강화하는 등 역사에 대한 일종의 배신행위를 하고 있다고, 현재의 2030 젊은 세대들로부터 비판의 목소리가 근래 들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히 국회의원중 80년대 전후로 학생운동을 했던 사람중 오히려 기득권을 옹호하거나 더 강하게 기득권을 챙기는 사람이 생기자 젊은 세대로부터 정작 학생운동을 해도 그것을 이용한 사람이나 자기만 생각하는 사람이 더 성공한다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교육 개혁을 이룬 프랑스의 [[68세대]]와 달리 386세대는 [[종신고용]]과 [[연공서열]]의 마지막 세대로 사회에 진출하여, 부유한 삶을 살고 있는 대한민국 최대 기득권층이 되어, 여러 방면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했으면서도 [[학벌사회]]를 오히려 조장 및 강화하는 등에 대한 젊은 세대로부터의 비판의 목소리가 근래 들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김대중,노무현으로 이어지는 진보정권 10년동안 측근에서 정치적 생명을 유지하던 특정 정치인들이 대표적이나 객관성 문제로 인해 이름은 기술하지 아니한다.

== 대표적인 386세대 ==
* 정치인
** [[고진화]], [[김민석 (1964년)|김민석]], [[김영춘 (정치인)|김영춘]], [[김형주 (정치인)|김형주]], [[송영길]], [[오영식]], [[우상호]], [[원희룡]], [[이인영 (1964년)|이인영]], [[임종석]], [[정청래]], 최재성, [[이광재]], [[안희정]], [[정봉주]]
* 문화예술계
** [[강제규]], [[공지영]], [[권해효]], [[박민규 (작가)|박민규]], [[박찬욱]], [[봉준호]], [[설경구]], [[신해철]], [[안치환]], [[유하]]
* 학술
** [[박태균]], [[우석훈]], [[이진경]], [[진중권]], [[조국 (1965년)|조국]]
* 언론
** [[이상호 (언론인)|이상호]], [[정은임]], [[한학수]], [[오연호]]


== 참조 ==
== 참조 ==

2012년 2월 7일 (화) 23:48 판

386 세대(-世代, 삼팔육세대)는 1990년대 후반에 만들어진 말로, ‘30대, 80년대 학번, 60년대 생인 세대’를 말한다. 주로 1980년대에 학생운동을 통해 민주화운동을 경험한 세대를 통칭한다.

용어의 정의

연도별 나이에 따른 386세대

"386 세대"라는 명칭은 원래, 80년대 이후 널리 사용되었던 인텔 80286 또는 인텔 80386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한 컴퓨터의 명칭이었던 286 컴퓨터, 386 컴퓨터 등의 용어에서 비롯된 조어이다. [1]

30대, 80년대 학번, 60년대 생인 세대’라는 용어의 정의를 엄격히 적용하면, 용어의 정의에 "30대"라는 가변적인 나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해가 바뀜에 따라 386세대라 불리는 세대는 1990년에 첫 등장하여 2008년에 사라지게 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30대"라는 나이 구분을 제외하고, 시기적으로 제5공화국 때 민주화 투쟁을 했던 대학생 또래들의 세대를 가리킨다. 따라서 세월이 흘러 40대가 된 현재는 486세대로 일컫기도 한다. 그래서 1960-70년대 학생운동을 했던 전공투 세대나 유럽 68혁명에 참여했던 68세대와 비교되기도 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측에서도 ‘386 세대’라는 말을 쓴 사례가 있다.[2]

특징

386세대는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이라는 특유의 역사적 경험으로 인해 진보적인 정치 사회의식과 태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전 세대보다 휠씬 탈 권위적, 탈 지역적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분배" 또는 국가보안법과 같은 문제에 대해 진보적인 태도를 갖고 정치단체 또는 사회단체에 가장 높은 참여를 하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 자본주의가 안착화, 고도화 되어가고 있는 대한민국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정치적 철학으로, 이전 세대에서는 금기시되었던 마르크스주의 또는 사회주의를 받아들이기도 하였을 뿐 아니라, 한반도의 분단 상황에 대한 인식과 결부되어 민족주의적 성향을 강하게 드러내면서,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의 미국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취하며 반미 성향을 표출하기도 하였다.

평가

다른 세대에 비해 정치적 저항의식내지는 비판적 사회의식을 더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으며, 1980년 후반 대한민국이 민주화를 하는 데 크게 기여한 점은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보수 세력은 그들의 좌파 성향으로의 이념 과잉을 문제삼아 비판적 시각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02년 12월 대통령 선거에서 노무현이 386 세대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아 참여정부가 집권하면서 386정치인 상당수가 권력 실세로 등장하자, 기존의 보수세력은 지속적으로 "386세대"에 대한 적대적 시각을 나타냈다. 또, 진보세력 내의 PD파는 "386세대"의 과도한 보수적 민족주의 성향이나 주체사상북한에 대한 우호적 태도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 보수세력 내에서도 뉴라이트의 등장으로, 일부 주사파 출신 386세대 인사들 중 일부는 이명박 정부를 지지하는 노선으로 선회하였다.

비판

교육 개혁을 이룬 프랑스의 68세대와 달리 386세대는 종신고용연공서열의 마지막 세대로 사회에 진출하여, 부유한 삶을 살고 있는 대한민국 최대 기득권층이 되어, 여러 방면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했으면서도 학벌사회를 오히려 조장 및 강화하는 등에 대한 젊은 세대로부터의 비판의 목소리가 근래 들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참조

함께 읽기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