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꺾쇠표 갖추고, 유향 연결
1번째 줄: 1번째 줄:
'''예기'''(禮記)는 중국 고대 유가(儒家)의 경전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예법(禮法)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책이다. 공자(孔子)와 그 후학들이 지은 책들을 한나라의 제후인 헌왕(獻王)이 131편으로 정리하여 엮은 것을 뒷날 유향(劉向)과 대덕(戴德)·대성(戴聖)의 형제들이 잇따라 증보하거나 간추린 것으로 전한다.
'''예기'''(禮記)는 중국 고대 유가(儒家)의 경전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예법(禮法)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책이다. 공자(孔子)와 그 후학들이 지은 책들을 한나라의 제후인 헌왕(獻王)이 131편으로 정리하여 엮은 것을 뒷날 [[유향 (전한)|유향]](劉向)과 대덕(戴德)·대성(戴聖)의 형제들이 잇따라 증보하거나 간추린 것으로 전한다.


한무제 때 하간의 헌왕이 [[공자]](孔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저작들을 모아 정리한 후, 선제 때 유향이 214편으로 엮었고, 대덕이 85편으로, 대성이 49편으로 간추렸다.
한무제 때 하간의 헌왕이 [[공자]](孔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저작들을 모아 정리한 후, 선제 때 유향이 214편으로 엮었고, 대덕이 85편으로, 대성이 49편으로 간추렸다.

2009년 11월 28일 (토) 17:00 판

예기》(禮記)는 중국 고대 유가(儒家)의 경전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예법(禮法)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책이다. 공자(孔子)와 그 후학들이 지은 책들을 한나라의 제후인 헌왕(獻王)이 131편으로 정리하여 엮은 것을 뒷날 유향(劉向)과 대덕(戴德)·대성(戴聖)의 형제들이 잇따라 증보하거나 간추린 것으로 전한다.

한무제 때 하간의 헌왕이 공자(孔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저작들을 모아 정리한 후, 선제 때 유향이 214편으로 엮었고, 대덕이 85편으로, 대성이 49편으로 간추렸다.

중국(中國) 24사(史)의 하나이며, 왕조(王朝)의 제도(制度), 상복(喪服), 동작(動作)의 규칙(規則), 예(禮)의 해설(解說), 예악의 이론(理論) 등을 담고 있다.

원(元)의 순제(順帝) 때 요(遼), 금(金)의 양사(兩史)ㆍ탈탈(脫脫)과 함께 편찬(編纂)되었다.

주석


틀:사서오경 틀:십삼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