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언: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링크 변경 (쓰촨 성 → 쓰촨성
잔글 →‎봉상절도사 시대: 봇 ; 작업9 수행중 ; 코드 안정화는 성공했지만, 혹시라도 오류가 나면 즉시 토론에 글 남겨 주세요 using AWB
20번째 줄: 20번째 줄:
이창언이 황소에 대한 작전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883년]], 당 희종은 그에게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의 명예 재상 직함을 수여하였다.<ref name=ZZTJ255>《[[자치통감]]》[[:zh:s:資治通鑑/卷255|제255권]]</ref>
이창언이 황소에 대한 작전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883년]], 당 희종은 그에게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의 명예 재상 직함을 수여하였다.<ref name=ZZTJ255>《[[자치통감]]》[[:zh:s:資治通鑑/卷255|제255권]]</ref>


그 해 연말에 황소군의 패전으로, 당군이 장안을 탈환하면서 희종은 장안으로 돌아갈 준비를 시작하고 있었다. 이때, 정전은 다시 [[재상]]으로 있었다. 하지만 그는 당시의 [[권력]] 실세였던 환관 [[전령자]]와 그의 형인 서천절도사(西川節度使, 현 [[쓰촨성]] [[청두 시]]) [[진경선 (당나라)|진경선]] 형제와 많은 문제로 첨예하게 대립하게 되었다. 정전이 스스로 사직하게끔 하기 위해, 전령자와 진경선 형제는 이창언에게 편지를 보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사병들이 소란을 일으키고 있다. 정전이 [[폐하]]를 따라 수도로 돌아올 때, 그가 이곳을 지나가게 해서는 안 된다.” 이에 정전은 자신이 위협받고 있음을 알아차리고 사표를 냈다.<ref name=ZZTJ255/>
그 해 연말에 황소군의 패전으로, 당군이 장안을 탈환하면서 희종은 장안으로 돌아갈 준비를 시작하고 있었다. 이때, 정전은 다시 [[재상]]으로 있었다. 하지만 그는 당시의 [[권력]] 실세였던 환관 [[전령자]]와 그의 형인 서천절도사(西川節度使, 현 [[쓰촨성]] [[청두시]]) [[진경선 (당나라)|진경선]] 형제와 많은 문제로 첨예하게 대립하게 되었다. 정전이 스스로 사직하게끔 하기 위해, 전령자와 진경선 형제는 이창언에게 편지를 보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사병들이 소란을 일으키고 있다. 정전이 [[폐하]]를 따라 수도로 돌아올 때, 그가 이곳을 지나가게 해서는 안 된다.” 이에 정전은 자신이 위협받고 있음을 알아차리고 사표를 냈다.<ref name=ZZTJ255/>


[[884년]], 이창언은 병으로 위독하게 되었다. 그는 동생 [[이창부]]를 유후(留後)로 임명한 이후 사망하였다. 희종은 이창부를 절도사로 임명하였다.<ref name=ZZTJ256>《[[자치통감]]》[[:zh:s:資治通鑑/卷257|제256권]]</ref>
[[884년]], 이창언은 병으로 위독하게 되었다. 그는 동생 [[이창부]]를 유후(留後)로 임명한 이후 사망하였다. 희종은 이창부를 절도사로 임명하였다.<ref name=ZZTJ256>《[[자치통감]]》[[:zh:s:資治通鑑/卷257|제256권]]</ref>

2021년 2월 16일 (화) 17:00 판

이창언
Li Changyan (李昌言)
출생불명
중국 당나라
사망884년
봉상부(鳳翔府, 현 산시 성 바오지 시 펑샹 현)
성별남성
직업당나라 군벌, 봉상절도사(鳳翔節度使)

이창언(李昌言, Li Changyan, ? ~ 884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전임 봉상절도사(鳳翔節度使, 본거지는 현 산시 성 바오지 시)였던 전직 재상 정전을 전복시킨 이후, 881년부터 884년까지 절도사로서 봉상 번진(藩鎭)을 지배하였다.

생애

봉상 번진의 점거

이창언의 출신 배경에 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당나라정사인 《구당서》와 《신당서》에조차 그의 전기가 수록되어 있지 않다. 881년 당시, 정전은 봉상절도사 겸 경성사면제군행영도통(京城四面諸軍行營都統, 당시의 주요 변민군(變民軍) 수령 황소를 토벌하는 전군 총지휘관)로 있었다. 그 해 초에 황소가 수도 장안을 점령하고 당시의 황제였던 당 희종을 핍박하여 성도로 달아나게 한 이후의 일이었다. 그때, 이창언은 봉상군의 행군사마(行軍司馬)로서 흥평(興平, 현 산시 성 셴양 시현급시 싱핑 시)에 주둔하고 있었다.[1]

이 무렵, 대제(大齊)의 황제를 자칭한 황소와의 전쟁이 지지부진해져 가면서 봉상부(鳳翔府) 내의 창고는 고갈되어 가고 있었고, 정전은 장병들에 대한 포상을 줄여 그들이 기대했던 것보다 적은 포상을 장병들에게 주고, 급여를 삭감하고 있었다. 사병들이 불만을 품은 것을 안 이창언은 그들을 선동하기에 이르렀다. 881년 10월, 그는 흥평에서 군대를 이끌고 봉상 번진의 수도인 봉상부로 돌아가서 공격 태세에 들어갔다. 자신의 부하들이 서로 싸우는 것을 원치 않던 정전은 이창언에게 전권을 이양하고 당 희종과 합류하기 위해 성도로 향하였으나, 도중에 사표를 냈다. 희종은 정전을 태자소부(太子少傅)로 삼고, (당시에는 아직 태자가 없었기 때문에, 이 직책은 완전히 명예직이었다) 이창언을 절도사로 임명하였다.[1]

봉상절도사 시대

이창언이 황소에 대한 작전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883년, 당 희종은 그에게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의 명예 재상 직함을 수여하였다.[2]

그 해 연말에 황소군의 패전으로, 당군이 장안을 탈환하면서 희종은 장안으로 돌아갈 준비를 시작하고 있었다. 이때, 정전은 다시 재상으로 있었다. 하지만 그는 당시의 권력 실세였던 환관 전령자와 그의 형인 서천절도사(西川節度使, 현 쓰촨성 청두시) 진경선 형제와 많은 문제로 첨예하게 대립하게 되었다. 정전이 스스로 사직하게끔 하기 위해, 전령자와 진경선 형제는 이창언에게 편지를 보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사병들이 소란을 일으키고 있다. 정전이 폐하를 따라 수도로 돌아올 때, 그가 이곳을 지나가게 해서는 안 된다.” 이에 정전은 자신이 위협받고 있음을 알아차리고 사표를 냈다.[2]

884년, 이창언은 병으로 위독하게 되었다. 그는 동생 이창부를 유후(留後)로 임명한 이후 사망하였다. 희종은 이창부를 절도사로 임명하였다.[3]

출전 및 각주

참고 자료

전임
정전
봉상절도사
881년 ~ 884년
후임
이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