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주머니: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영어판 분류 정보를 이용.+분류:쾰른의 문화
메이 (토론 | 기여)
인용 틀의 날짜 변수 고침. =인용 오류 고침.
3번째 줄: 3번째 줄:


== 역사 ==
== 역사 ==
《[[고려도경]]》에는 [[고려]] 시대의 귀부인들이 금향낭(錦香囊)을 많이 찰수록 자랑으로 여겼다는 기록이 있다.<ref name=":0">{{웹 인용|url=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2887|제목=향낭|날짜=[[한국학중앙연구원]]|웹사이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확인날짜=2019-03-13}}</ref> 한국의 전통 향낭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향]]과 [[약재]]를 배합해 만들었으며, 실용적, 장식적 의미 외에 주술적 의미를 지니기도 했다.<ref name=":0" />
《[[고려도경]]》에는 [[고려]] 시대의 귀부인들이 금향낭(錦香囊)을 많이 찰수록 자랑으로 여겼다는 기록이 있다.<ref name=":0">{{웹 인용|url=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2887|제목=향낭|날짜=n.d.|웹사이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확인날짜=2019-03-13}}</ref> 한국의 전통 향낭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향]]과 [[약재]]를 배합해 만들었으며, 실용적, 장식적 의미 외에 주술적 의미를 지니기도 했다.<ref name=":0"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1년 2월 14일 (일) 01:21 판

독일의 향주머니

향주머니(香---), 향낭(香囊) 또는 사셰(프랑스어: sachet)는 향이 나는 주머니이다.[1][2] 작은 주머니에 , 약재, 허브, 포푸리 또는 다른 방향성 재료를 넣어 만들며, 몸에 지니거나 방충과 향기를 위하여 옷 사이 등에 보관한다.

역사

고려도경》에는 고려 시대의 귀부인들이 금향낭(錦香囊)을 많이 찰수록 자랑으로 여겼다는 기록이 있다.[3] 한국의 전통 향낭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약재를 배합해 만들었으며, 실용적, 장식적 의미 외에 주술적 의미를 지니기도 했다.[3]

같이 보기

각주

  1. “향주머니”.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9년 3월 13일에 확인함. 
  2. “향낭”.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9년 3월 13일에 확인함. 
  3. “향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n.d. 2019년 3월 1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