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환자 부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바깥 고리 → 외부 링크)
잔글편집 요약 없음
63번째 줄: 63번째 줄: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경로 연결 공간]] <math>X</math>의 [[기본군]] <math>\pi_1(X)</math>의 아벨화는 정수 계수 1차 [[특이 호몰로지]] <math>\operatorname H_1(X;\mathbb Z)</math>이다. 이는 [[후레비치 준동형]]의 특수한 경우이다. 즉, 기본군의 교환자 부분군은 1차 [[후레비치 준동형]]의 [[핵 (수학)|핵]]이다.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경로 연결 공간]] <math>X</math>의 [[기본군]] <math>\pi_1(X)</math>의 아벨화는 정수 계수 1차 [[특이 호몰로지]] <math>\operatorname H_1(X;\mathbb Z)</math>이다. 이는 [[후레비치 준동형]]의 특수한 경우이다. 즉, 기본군의 교환자 부분군은 1차 [[후레비치 준동형]]의 [[핵 (수학)|핵]]이다.

== 같이 보기 ==
* [[멱영군]]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71번째 줄: 74번째 줄:
* {{eom|title=Commutator subgroup}}
* {{eom|title=Commutator subgroup}}
* {{eom|title=Lie group, derived}}
* {{eom|title=Lie group, derived}}

== 같이 보기 ==
* [[완전군]]
* [[가해군]]
* [[멱영군]]


[[분류:군론]]
[[분류:군론]]

2021년 1월 22일 (금) 20:02 판

군론에서, 주어진 군의 교환자 부분군(交換子部分群, 영어: commutator subgroup)은 교환자들로 생성되는 부분군이다.

정의

교환자 부분군 은 다음과 같은 꼴의 원소들로 구성되는 부분군이다.

여기서

는 군의 교환자이다. 교환자 부분군은 항상 정규 부분군이다.

유도열

n차 유도 부분군(n次誘導部分群, 영어: nth derived subgroup)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즉, 교환자 부분군을 n번 취한 부분군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정규 부분군들의 열이 존재한다.

이를 유도열(誘導列, 영어: derived series)이라고 한다.

유도열을 임의의 순서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확장할 수 있다.

  • 따름 순서수 에 대하여,
  • 극한 순서수 에 대하여,

이를 초한 유도열(超限誘導列, 영어: transfinite derived series)이라고 한다.

유도열을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군들의 모임을 정의할 수 있다.

  • 교환자 부분군이 자명군인 군을 아벨 군이라 한다.
  • 교환자 부분군이 스스로인 군을 완전군이라고 한다.
  • 어떤 자연수 에 대하여 인 군 가해군이라고 한다.
  • 어떤 순서수 에 대하여 인 군 준 아벨 군(영어: hypo-Abelian group)이라고 한다.

정의에 따라

아벨 군가해군 ⊊ 준 아벨 군

임을 알 수 있다.

아벨화

가 주어졌을 때, 교환자 부분군 은 그 정규 부분군이며, 이에 대한 몫군

아벨 군을 이룬다. 이를 아벨화(Abel化, 영어: abelianization)라고 한다. 범주론적으로 이는 군과 군 준동형의 범주 에서 아벨 군군 준동형의 범주 로 가는 함자를 이룬다.

아벨 군은 군의 일종이므로, 포함 함자

가 존재한다. 아벨화 함자는 포함 함자의 왼쪽 수반 함자이다.

호몰로지 대수학에서, 군의 아벨화는 정수 계수의 1차 군 호몰로지

와 같다.

일부 군들의 교환자 부분군들은 다음과 같다.

G G(1)
대칭군 교대군
교대군 클라인 4원군
사원수군
크기 8의 정이면체군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경로 연결 공간 기본군 의 아벨화는 정수 계수 1차 특이 호몰로지 이다. 이는 후레비치 준동형의 특수한 경우이다. 즉, 기본군의 교환자 부분군은 1차 후레비치 준동형이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Dummit, David S.; Richard M. Foote (2004). 《Abstract Algebra》 3판. John Wiley & Sons. ISBN 0-471-43334-9. 
  • Lang, Serge (2002). 《Algebra》.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Springer. ISBN 0-387-95385-X.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