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행정 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
||
== 관제 ==
조선왕조의 지방관은 외관(外官)이라 하여 그 수위를 차지하는 것은 도(道)의 [[관찰사]]였고, 그 밑에 [[수령]](守令)인 [[부윤]](府尹)·[[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목사 (관직)|목사]](牧使)·[[도호부사]](都護府使)·[[군수]](郡守)·[[현령]](縣令)·[[현감]](縣監) 등이 있었다. 속현이 존재하였던 고려와는 달리 모든 군현에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관찰사]]
[[목사]](牧使)는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약칭 府使)는 부윤에 다음가는 목사와 동급인 정3품의 지방관으로서 본래 도호부라는 제도는 [[한나라|한]](漢)과 [[당나라|당]](唐)의 제도로 군사상 진호(鎭護)가 그 임무였으나 조선의 경우에는 군사적 기능은 없었고 지방구획상의 한 명칭에 불과했다. 대도호부는 조선 초기부터 후기에 걸쳐 평안도 영변, 함경도 영흥, 강원도 강릉, 경상도 안동·창원의 총 5개 지역에 설치되었다.
[[도호부사]](都護府使, 약칭 府使)는 목사와 대도호부사에 다음에 가는 종3품의 지방관이었다. 중종 대 기준 45개 처가 있었다.
[[군수]](郡守)는 도호부사에 다음가는 종4품의 지방관으로서 군은 전국에 약 80개가 있었다.
그 뒤로는 현의 장관인 종5품 현령(縣令, 종5품), 종6품 현감(縣監, 종6품)이 있았다.
이들 정식적 지방관제상의 행정권 이외에 관찰사, 병사(兵使)·수사(水使)와 대읍(大邑)의 수령은 그 막료(幕僚)로 [[비장]](裨將)을 두었고, 또 향교(鄕校)의 지도를 위해 부·목에는 무록관(無祿官)인 교수(敎授), 군·현에는 무록관인 훈도(訓導)가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