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승: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5번째 줄: 25번째 줄:
|목록 = [[고구려의 역대 국왕|보덕국의 국왕]]
|목록 = [[고구려의 역대 국왕|보덕국의 국왕]]
}}
}}
'''보덕왕'''(報德王, 재위 : [[670년]] ~ [[683년]])은 [[보장왕]]의 서자로 [[대한민국]]의 [[고구려]] 왕실종친 [[횡성 고씨]](橫城 高氏) 중시조 [[고인승]](高仁承)동복 동생이다. [[신라]] [[문무왕]]에 의해 보덕국왕으로 봉해졌으며 [[익산 토성|금마저]]([[전라북도]] [[익산시]])를 하사받고 고구려 유민들을 모아 고구려를 계승하여 '''[[보덕국]]'''(報德國)의 왕이 되었다. 이름은 고안승(高安勝)/고안순(高安舜)이다. [[670년]] 고구려의 장군 [[검모잠]]이 [[당나라]]에 반발하여 부흥운동을 시작했을 때, 고구려왕으로 추대되었다. [[676년]]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683년]] [[문무왕]]의 누이와 결혼하고, [[신문왕]]의 명으로 [[신라]]의 귀족으로 편입되었다. [[신라]]가 [[고구려]]계 유민들을 대거 통합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보덕왕'''(報德王, 재위 : [[670년]] ~ [[683년]])은 [[고구려]]의 유민으로 [[신라]] [[문무왕]]에 의해 보덕국왕으로 봉해졌으며 금마저(金馬渚)를 식읍으로 받았다. 이름은 고안승(高安勝), 고안순(高安舜)이다. [[670년]] 고구려의 장군 [[검모잠]]이 [[당나라]]에 반발하여 부흥운동을 시작했을 때, 고구려왕으로 추대되었다. [[676년]]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683년]] [[문무왕]]의 누이와 결혼하고, [[신문왕]]의 명을 받아 [[신라]]의 귀족으로 편입하였다. [[신라]]가 [[고구려]]계 유민들을 대거 통합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 생애 ==
== 생애 ==
40번째 줄: 40번째 줄:


=== 신라 귀족으로의 편입 ===
=== 신라 귀족으로의 편입 ===
[[신라]]로 투항한 [[보덕왕]]은 [[670년]] [[문무왕]]으로부터 [[고구려]]왕에 봉해졌다가, [[674년]](문무왕 14년) [[백제 부흥운동]]이 일어나자 금마저([[전라북도 익산]] 일대의 [[보덕왕]](報德王)에 봉해졌다.670년에 고구려 왕으로 봉했다가, 다시 보덕왕(報德王)으로 봉한 것이다.
[[신라]]로 투항한 안승은 [[670년]] [[문무왕]]으로부터 [[고구려]]왕에 봉해졌다가, [[674년]](문무왕 14년) [[백제 부흥운동]]이 일어나자 금마저 일대에서 [[보덕국|보덕왕]]에 봉해졌다.<ref group="주">670년에 고구려 왕으로 봉했다가, 다시 보덕왕으로 봉한 것이다.</ref> 보덕왕의 지위는 보덕국의 왕이라는 설과 작위라는 설이 존재한다.


[[679년]] [[신라]]군의 선봉에서 [[나당전쟁]]에 참전하여 당군을 격퇴하였다. [[680년]] ([[문무왕]] 20년) 3월 금·은으로 만든 그릇과 여러 가지 채색 비단 100단을 보덕왕에게 내리고 [[문무왕]]의 조카딸을 아내로 삼게 하였다.<ref>《삼국사기》 권제7 신라본기 제7 문무왕 20년(680)</ref>
[[679년]] [[신라]]군의 선봉에서 [[나당전쟁]]에 참전하여 당군을 격퇴하였다. [[680년]] ([[문무왕]] 20년) 3월 금·은으로 만든 그릇과 여러 가지 채색 비단 100단을 보덕왕 안승에게 내리고 [[문무왕]]의 조카딸을 아내로 삼게 하였다.<ref>《삼국사기》 권제7 신라본기 제7 문무왕 20년(680)</ref>


[[683년]]([[신문왕]] 3년) 10월 [[신문왕]]으로부터 소판(蘇判)의 관직을 받고 김씨(金氏)의 성을 사성(賜姓)받은 뒤 집, 토지를 하사받아<ref>《삼국사기》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3년(683)</ref> 보덕국과 격리된 채 신라 중앙 귀족이 되었다.<ref name="노태돈"/>
[[683년]]([[신문왕]] 3년) 10월 [[신문왕]]으로부터 소판(蘇判)의 관직을 받고 김씨(金氏)의 성을 사성(賜姓)받은 뒤 집, 토지를 하사받아<ref>《삼국사기》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3년(683)</ref> 보덕국과 격리된 채 신라 중앙 귀족이 되었다.<ref name="노태돈"/>


[[683년]] 보덕왕이 [[신라]] 귀족으로 편입된 데에 불만을 품은 안승의 조카 대문(大文) 등의 무리가 금마저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신라]] 관군에 진압되었다. 대문의 반란을 진압한 [[신라]]는 금마저에 금마군(郡)을 설치했다.<ref>《삼국사기》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4년(684)</ref> 이후의 안승의 자세한 삶은 전해지지 않는다. 사망년도와 묘지 또한 미상이다.
[[683년]] 안승이 [[신라]] 귀족으로 편입된 데에 불만을 품은 안승의 조카 대문(大文) 등의 무리가 금마저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신라]] 관군에 진압되었다. 대문의 반란을 진압한 [[신라]]는 금마저에 금마군(郡)을 설치했다.<ref>《삼국사기》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4년(684)</ref> 이후의 안승의 자세한 삶은 전해지지 않는다. 사망년도와 묘지 또한 미상이다.


== 평가 ==
== 평가 ==
[[보덕왕]]에 대한 후대 평가는 사료 부족으로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그가 수많은 [[고구려]] 유민들을 [[신라]] 땅에 정착시키고 [[고구려]]를 계승한 [[보덕국]](報德國)을 세움으로서 후에 [[신라]]가 [[고구려]] 문화와 의식을 흡수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보덕왕이 [[신라]]의 삼국통일을 도와 큰 공을 세움으로써 고구려 유민들이 [[신라]]에 편입되었을 때, 공신급인 6두품의 지위로 확정하게 하여 사실상 [[신라]]의 진골, 6두품 세력과 대등한 입장에 서게 한 인물로 평가된다.
[[고안승|안승]]에 대한 후대 평가는 사료 부족으로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그가 수많은 [[고구려]] 유민들을 [[신라]] 땅에 정착시킴으로써 신라가 고구려를 흡수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안승이 [[신라]]의 삼국통일을 도와 큰 공을 세움으로써 고구려 유민들이 [[신라]]에 편입되었을 때, 공신급인 6두품의 지위로 확정하게 하여 사실상 [[신라]]의 진골, 6두품 세력과 대등한 입장에 서게 한 인물로 평가된다.


이 부분은 몰락한 가야계 진골 출신인 [[김무력]]과 [[김유신]]의 성장 과정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5두품으로 격하된 [[백제]]계와는 상반된 것으로, 이는 통일신라 200년간 한번도 [[신라]] 내에서 [[고구려]]계의 지위가 6두품 아래로 격하되지 않은 것만으로도 알 수있다. 이는 [[보덕왕]]이 현실적인 외교 감각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형성된 [[고구려]]계 신라 귀족은 황해도(패서)및 [[개성]] 지역의 고구려계 유민들과 함께 훗날 [[왕건]]이 고구려를 계승하는 [[고려]]를 세우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이 부분은 몰락한 가야계 진골 출신인 [[김무력]]과 [[김유신]]의 성장 과정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5두품으로 격하된 [[백제]]계와는 상반된 것으로, 이는 통일신라 200년간 한번도 [[신라]] 내에서 [[고구려]]계의 지위가 6두품 아래로 격하되지 않은 것만으로도 알 수있다. 이는 [[고안승|안승]]이 현실적인 외교 감각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형성된 [[고구려]]계 신라 귀족은 훗날 [[왕건]]이 신라를 계승하는 [[고려]]를 세우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 가계 ==
== 가계 ==

2020년 8월 24일 (월) 08:40 판

보덕왕
報德王
보덕국의 국왕
재위 670년 ~ 683년
전임 없음
후임 없음
부왕 보장왕
연정토
이름
고안승(高安勝)
묘호 없음
시호 없음
신상정보
출생일 ?
출생지 ?
사망일 ?
사망지 ?
가문 횡성 고씨(橫城 高氏)
부친 보장왕
연정토
모친 부인 연씨(夫人 淵氏)
횡성 고씨(橫城 高氏)

보덕왕(報德王, 재위 : 670년 ~ 683년)은 고구려의 유민으로 신라 문무왕에 의해 보덕국왕으로 봉해졌으며 금마저(金馬渚)를 식읍으로 받았다. 이름은 고안승(高安勝), 고안순(高安舜)이다. 670년 고구려의 장군 검모잠당나라에 반발하여 부흥운동을 시작했을 때, 고구려왕으로 추대되었다. 676년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683년 문무왕의 누이와 결혼하고, 신문왕의 명을 받아 신라의 귀족으로 편입하였다. 신라고구려계 유민들을 대거 통합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생애

생애 초반

보덕왕 안승의 생년월일은 미상이며 출신과 성씨도 미상이다. 안승의 출신에 대해서,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보장왕의 서자(庶子)라 기록돼 있고, 신라본기에는 왕(보장왕)의 서자[1] 또는 연정토의 아들이라 기록돼 있고, 《자치통감》에는 보장왕의 외손이라 기록돼 있다.[2] 고구려본기 및 자치통감을 따르면 그의 성은 고씨가 되고, 신라본기를 따르면 그는 연씨로서 연개소문의 조카에 해당된다.

유년시절 및 고구려에서의 행적 혹은 관직 경력에 대해서는 《삼국유사》 및 《삼국사기》에 나와있지 않아 미상이다.

고구려 부흥운동

668년, 고구려신라당나라의 연합군에게 멸망당한 뒤, 보덕왕 안승은 사야도(史冶島)[주 1]에 머무르고 있었다. 670년 검모잠이 사야도에 있던 안승을 한성으로 맞아들여 왕으로 추대하고 고구려 부흥군을 일으켰다. 그 후 고구려 부흥군은 소형(小兄) 다식(多式)을 보내 신라에 대해 복속할 것을 약속하고 도움을 청했다. 문무왕은 그들을 금마저(金馬渚)[주 2]에 머물도록 했다.[4] 그러나 당군의 압박을 받게 되자, 이에 대처하는 방안을 둘러싸고 내분이 일어나 안승이 검모잠을 죽이고 신라에 투항했다.[5]

신라 귀족으로의 편입

신라로 투항한 안승은 670년 문무왕으로부터 고구려왕에 봉해졌다가, 674년(문무왕 14년) 백제 부흥운동이 일어나자 금마저 일대에서 보덕왕에 봉해졌다.[주 3] 보덕왕의 지위는 보덕국의 왕이라는 설과 작위라는 설이 존재한다.

679년 신라군의 선봉에서 나당전쟁에 참전하여 당군을 격퇴하였다. 680년 (문무왕 20년) 3월 금·은으로 만든 그릇과 여러 가지 채색 비단 100단을 보덕왕 안승에게 내리고 문무왕의 조카딸을 아내로 삼게 하였다.[6]

683년(신문왕 3년) 10월 신문왕으로부터 소판(蘇判)의 관직을 받고 김씨(金氏)의 성을 사성(賜姓)받은 뒤 집, 토지를 하사받아[7] 보덕국과 격리된 채 신라 중앙 귀족이 되었다.[5]

683년 안승이 신라 귀족으로 편입된 데에 불만을 품은 안승의 조카 대문(大文) 등의 무리가 금마저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신라 관군에 진압되었다. 대문의 반란을 진압한 신라는 금마저에 금마군(郡)을 설치했다.[8] 이후의 안승의 자세한 삶은 전해지지 않는다. 사망년도와 묘지 또한 미상이다.

평가

안승에 대한 후대 평가는 사료 부족으로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그가 수많은 고구려 유민들을 신라 땅에 정착시킴으로써 신라가 고구려를 흡수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안승이 신라의 삼국통일을 도와 큰 공을 세움으로써 고구려 유민들이 신라에 편입되었을 때, 공신급인 6두품의 지위로 확정하게 하여 사실상 신라의 진골, 6두품 세력과 대등한 입장에 서게 한 인물로 평가된다.

이 부분은 몰락한 가야계 진골 출신인 김무력김유신의 성장 과정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5두품으로 격하된 백제계와는 상반된 것으로, 이는 통일신라 200년간 한번도 신라 내에서 고구려계의 지위가 6두품 아래로 격하되지 않은 것만으로도 알 수있다. 이는 안승이 현실적인 외교 감각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형성된 고구려계 신라 귀족은 훗날 왕건이 신라를 계승하는 고려를 세우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가계

보장왕의 아들(서자) 설

보장왕의 서자 설을 따르면 고인승, 고복남, 고덕무, 약광왕 등은 그의 형제가 된다.

연정토의 아들 설

보덕왕이 등장한 작품

참고

같이 보기

주해

  1. 지금의 덕적도 부근에 있는 소야도(蘇爺島)를 말한다[3]
  2. 지금의 전북 익산시
  3. 670년에 고구려 왕으로 봉했다가, 다시 보덕왕으로 봉한 것이다.

각주

  1. http://db.history.go.kr/item/compareViewer.do;jsessionid=724D5980B761F6C999FF0C94BB8A881A?levelId=sg_022r_0020_0490
  2.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안승 《인명사전》. 민중서관
  3. 이병도, 《국역 삼국사기》 6판, 을유문화사, 1986, 103쪽 주6
  4. 《삼국사기》 권제6 신라본기 제6 문무왕 10년(670)
  5. 노태돈, 안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6. 《삼국사기》 권제7 신라본기 제7 문무왕 20년(680)
  7. 《삼국사기》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3년(683)
  8. 《삼국사기》 권제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4년(684)


전 대
보장왕
고구려 부흥운동 지도자
669년 ~ 670년
후 대
신라보덕국왕 책봉
전임
고구려 보장왕
고구려 부흥운동 지도자
670년 ~ 683년
후임
걸걸중상
걸사비우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신라의 삼국통일〉"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