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빈 박씨: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1번째 줄: 1번째 줄:



현목유비(顯穆綏妃, 사후 대한제국 추존)
{{왕족 정보
|이름 = 유빈 박씨 (綏嬪 朴氏)
|작위 = 빈(嬪)
|별칭 = 현목유비(顯穆綏妃, 사후 대한제국 추존) <br />
|배우자 = [[조선 정조|정조]]
|배우자 = [[조선 정조|정조]]
|자녀 = [[조선 순조|순조]], [[숙선옹주]]
|자녀 = [[조선 순조|순조]], [[숙선옹주]]
|왕조 = [[조선]]
|왕조 = [[조선 왕조]]
|본관 = [[반남 박씨]]
|본관 = [[반남 박씨]]
|아버지 = [[박준원]]
|아버지 = [[박준원]]
|어머니 = [[원주 원씨]]
|어머니 = [[원주 원씨]]
|출생일 = 영조46년([[1770년]]) [[5월 8일]]
|출생일 = 영조46년([[1770년]]) [[5월 8일]]
|사망일 = 순조22년([[1822년]]) [[12월 26일]]
|사망일 = 순조22년([[1822년]]) [[12월 26일]]
|능묘 = 휘경원(徽慶園)
|사인 = 풍담(風痰)
|능묘 = 휘경원(徽慶園)
<nowiki>|</nowiki>사인=풍담(風痰)}}
}}

'''유빈 박씨''' '''<ref>[http://blog.daum.net/aroma-may/10054797 유빈 박씨 진향문 한글본]</ref>'''(綏嬪 朴氏, [[1770년]] [[음력 5월 8일]] ~ [[1823년]] [[2월 5일]]([[1822년]] [[음력 12월 26일]]))는 [[조선]]의 제22대 왕 [[조선 정조|정조]]의 네 번째 후궁이자 마지막 간택[[후궁]]이고, 제23대 왕 [[조선 순조|순조]]의 생모이다. 삼간택을 거쳐 입궁하고 빈으로 책봉된 뒤에 가례를 행하였다. 원자(순조)를 낳은 후에도 왕비인 효의왕후를 신중히 섬기고 같은 반열을 더욱 온화하게 대하니, 궁중에서 모두 어질다고 칭송하였다. 정조 사후에 궁중 어른인 [[정순왕후 (영조)|대왕대비 정순왕후 김씨]]와 [[헌경왕후|혜경궁 홍씨]]와 [[효의왕후|왕대비 효의왕후 김씨]]에게 하루 세 차례 문안 드렸고, 아랫사람을 인자하면서도 위엄 있게 이끌었고, 복식과 기용(器用, 그릇)은 진귀한 것을 좋아하지 않았으며, 평상시에 말이 적었다고 한다. 본관은 [[반남 박씨|반남]](潘南)이다.
'''유빈 박씨''' '''<ref>[http://blog.daum.net/aroma-may/10054797 유빈 박씨 진향문 한글본]</ref>'''(綏嬪 朴氏, [[1770년]] [[음력 5월 8일]] ~ [[1823년]] [[2월 5일]]([[1822년]] [[음력 12월 26일]]))는 [[조선]]의 제22대 왕 [[조선 정조|정조]]의 네 번째 후궁이자 마지막 간택[[후궁]]이고, 제23대 왕 [[조선 순조|순조]]의 생모이다. 삼간택을 거쳐 입궁하고 빈으로 책봉된 뒤에 가례를 행하였다. 원자(순조)를 낳은 후에도 왕비인 효의왕후를 신중히 섬기고 같은 반열을 더욱 온화하게 대하니, 궁중에서 모두 어질다고 칭송하였다. 정조 사후에 궁중 어른인 [[정순왕후 (영조)|대왕대비 정순왕후 김씨]]와 [[헌경왕후|혜경궁 홍씨]]와 [[효의왕후|왕대비 효의왕후 김씨]]에게 하루 세 차례 문안 드렸고, 아랫사람을 인자하면서도 위엄 있게 이끌었고, 복식과 기용(器用, 그릇)은 진귀한 것을 좋아하지 않았으며, 평상시에 말이 적었다고 한다. 본관은 [[반남 박씨|반남]](潘南)이다.


31번째 줄: 37번째 줄:
=== 사망 ===
=== 사망 ===


사망하기 전년도 늦가을에 갑자기 풍담(風痰) 증세가 생겼는데 얼마 후에 조금 차도가 있었다 그러나 병환이 차츰차츰 더 심해져 일어나지 못했다. [[1822년]](순조 22년) [[음력 12월 26일]], 창덕궁 보경당(寶慶堂)에서 53세에 졸하였다.<ref>{{웹 인용|url=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JO&jwId=kwa_122&moId=120&daId=260&gaLid=kwa_12212026_005&gaId=&yoId=&ilId=&leId=|제목=순조실록|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확인날짜=}}{{깨진 링크|url=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JO&jwId=kwa_122&moId=120&daId=260&gaLid=kwa_12212026_005&gaId=&yoId=&ilId=&leId= }}</ref> 1822년(순조 22년) [[음력 12월 29일]], 빈청에서 원호는 휘경(徽慶) 시호는 현목(顯穆)으로 의논해 정하였다. 시호 현목의 뜻은 '행실이 중외에 드러남'을 현이라 하고 '덕을 베풀고 의로움을 간직함'을 목이라 한다.<ref>{{웹 인용|url=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JO&jwId=kwa_122&moId=120&daId=290&gaLid=kwa_12212029_003&gaId=&yoId=&ilId=&leId=|제목=순조실록|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확인날짜=}}{{깨진 링크|url=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JO&jwId=kwa_122&moId=120&daId=290&gaLid=kwa_12212029_003&gaId=&yoId=&ilId=&leId= }}</ref> 시호와 빈호가 더해져 '''현목유빈'''(顯穆綏嬪)이다. [[1823년]](순조 23년) 신위를 봉안한 사당을 현사궁(顯思宮)으로 불렀다가,<ref>{{웹 인용|url=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JO&jwId=kwa_123&moId=020&daId=270&gaLid=kwa_12302027_003&gaId=&yoId=&ilId=&leId=|제목=순조실록|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확인날짜=}}{{깨진 링크|url=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JO&jwId=kwa_123&moId=020&daId=270&gaLid=kwa_12302027_003&gaId=&yoId=&ilId=&leId= }}</ref> [[1824년]](순조 24년) 사당을 옮겨 경우궁(景祐宮)이 되었고, 이후 신위는 궁정동 [[칠궁]]에 있다. [[1823년]](순조 23년) 1월 27일, 순조가 자궁께서 평소 사후의 일을 생각해 별도로 두신 은자를 호조에 내어주다라는 순조실록의 기록이 있다.{{인용문|하교하기를,
사망하기 전년도 늦가을에 갑자기 풍담(風痰) 증세가 생겼는데 얼마 후에 조금 차도가 있었다가 병환이 차츰차츰 더 심해져 일어나지 못했다. [[1822년]](순조 22년) [[음력 12월 26일]], 창덕궁 보경당(寶慶堂)에서 53세에 졸하였다.<ref>{{웹 인용|url=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JO&jwId=kwa_122&moId=120&daId=260&gaLid=kwa_12212026_005&gaId=&yoId=&ilId=&leId=|제목=순조실록|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확인날짜=}}{{깨진 링크|url=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JO&jwId=kwa_122&moId=120&daId=260&gaLid=kwa_12212026_005&gaId=&yoId=&ilId=&leId= }}</ref> 1822년(순조 22년) [[음력 12월 29일]], 빈청에서 원호는 휘경(徽慶) 시호는 현목(顯穆)으로 의논해 정하였다. 시호 현목의 뜻은 '행실이 중외에 드러남'을 현이라 하고 '덕을 베풀고 의로움을 간직함'을 목이라 한다.<ref>{{웹 인용|url=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JO&jwId=kwa_122&moId=120&daId=290&gaLid=kwa_12212029_003&gaId=&yoId=&ilId=&leId=|제목=순조실록|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확인날짜=}}{{깨진 링크|url=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JO&jwId=kwa_122&moId=120&daId=290&gaLid=kwa_12212029_003&gaId=&yoId=&ilId=&leId= }}</ref> 시호와 빈호가 더해져 '''현목유빈'''(顯穆綏嬪)이다. [[1823년]](순조 23년) 신위를 봉안한 사당을 현사궁(顯思宮)으로 불렀다가,<ref>{{웹 인용|url=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JO&jwId=kwa_123&moId=020&daId=270&gaLid=kwa_12302027_003&gaId=&yoId=&ilId=&leId=|제목=순조실록|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확인날짜=}}{{깨진 링크|url=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JO&jwId=kwa_123&moId=020&daId=270&gaLid=kwa_12302027_003&gaId=&yoId=&ilId=&leId= }}</ref> [[1824년]](순조 24년) 사당을 옮겨 경우궁(景祐宮)이 되었고, 이후 신위는 궁정동 [[칠궁]]에 있다. [[1823년]](순조 23년) 1월 27일, 순조가 자궁께서 평소 사후의 일을 생각해 별도로 두신 은자를 호조에 내어주다라는 순조실록의 기록이 있다.{{인용문|하교하기를,


"자궁(慈宮)께서 평소 사후(死後)의 일을 생각하여 별도로 두신 은자(銀子) 1만 6천 냥이 있기에 지금 호조에 내어주니, 잘 헤아려서 원소(園所)의 역사와 후일 별묘(別廟)를 지을 때에 보태서 쓰도록 하라."
"자궁(慈宮)께서 평소 사후(死後)의 일을 생각하여 별도로 두신 은자(銀子) 1만 6천 냥이 있기에 지금 호조에 내어주니, 잘 헤아려서 원소(園所)의 역사와 후일 별묘(別廟)를 지을 때에 보태서 쓰도록 하라."

2020년 5월 25일 (월) 17:55 판


유빈 박씨 (綏嬪 朴氏)
빈(嬪)
이름
별호 현목유비(顯穆綏妃, 사후 대한제국 추존)
신상정보
출생일 영조46년(1770년) 5월 8일
사망일 순조22년(1822년) 12월 26일
왕조 조선 왕조
부친 박준원
모친 원주 원씨
배우자 정조
자녀 순조, 숙선옹주
능묘 휘경원(徽慶園)

유빈 박씨 [1](綏嬪 朴氏, 1770년 음력 5월 8일 ~ 1823년 2월 5일(1822년 음력 12월 26일))는 조선의 제22대 왕 정조의 네 번째 후궁이자 마지막 간택후궁이고, 제23대 왕 순조의 생모이다. 삼간택을 거쳐 입궁하고 빈으로 책봉된 뒤에 가례를 행하였다. 원자(순조)를 낳은 후에도 왕비인 효의왕후를 신중히 섬기고 같은 반열을 더욱 온화하게 대하니, 궁중에서 모두 어질다고 칭송하였다. 정조 사후에 궁중 어른인 대왕대비 정순왕후 김씨혜경궁 홍씨왕대비 효의왕후 김씨에게 하루 세 차례 문안 드렸고, 아랫사람을 인자하면서도 위엄 있게 이끌었고, 복식과 기용(器用, 그릇)은 진귀한 것을 좋아하지 않았으며, 평상시에 말이 적었다고 한다. 본관은 반남(潘南)이다.

생애

출생과 배경

본관은 반남(潘南). 박준원의 6남 5녀 중에 3녀이다. 훗날 왕에 등극하는 순조의 외가이므로 세도가였다.

후궁 간택

1786년(정조 10) 5월에 정조의 장남 문효세자가 훙서하고 9월에 정조의 세 번째 후궁 의빈 성씨가 임신 만삭에 졸하였다. 정조는 35세로 나이가 많았는데, 정조의 정비 효의왕후와 정조의 후궁 화빈 윤씨에게 모두 소생이 없었다. 그래서 왕실의 후사를 매우 걱정하여 1787년(정조 11년) 다시 명문가 규수를 간택하게 되었는데 그렇게 책봉된 간택후궁이 유빈 박씨이다. 참고로 유빈 박씨는 간택 때 차점을 차지하였다가 삼간 때에 드디어 명원으로 뽑혔다고 한다.

후궁 시절

1787년(정조 11년) 2월 11일, 18세의 나이에 후궁 책봉되어 빈호를 유빈(綏嬪)이라고 정하였다, 이때 정조는 36세였다. 유빈을 후궁으로 책봉하는 교명문에서 나라의 형세가 외롭고 약한 날을 맞아 정순왕후가 친히 가려서 후궁이 되게 하였으니 자손을 많이 두라고 하였다. 1787년(정조 11년) 2월 12일, 유빈의 가례를 행하였다. 1790년(정조 14년) 음력 6월 18일, 정조의 서차남 원자(순조)를 낳았다. 1793년(정조 17년) 음력 3월 1일, 정조의 서차녀 숙선옹주를 낳아 슬하에 1남 1녀를 두었다. 7년 후인 1800년(정조 24년) 1월, 원자(순조)가 왕세자에 책봉되고 1800년 6월, 정조가 승하하였다.

순조 즉위

1800년 7월, 아들 순조가 11세에 보위에 오르고 나서도 대왕대비 김씨혜경궁 홍씨왕대비 효의왕후 김씨에게 하루 세 차례 문안 드렸다.

사망

사망하기 전년도 늦가을에 갑자기 풍담(風痰) 증세가 생겼는데 얼마 후에 조금 차도가 있었다가 병환이 차츰차츰 더 심해져 일어나지 못했다. 1822년(순조 22년) 음력 12월 26일, 창덕궁 보경당(寶慶堂)에서 53세에 졸하였다.[2] 1822년(순조 22년) 음력 12월 29일, 빈청에서 원호는 휘경(徽慶) 시호는 현목(顯穆)으로 의논해 정하였다. 시호 현목의 뜻은 '행실이 중외에 드러남'을 현이라 하고 '덕을 베풀고 의로움을 간직함'을 목이라 한다.[3] 시호와 빈호가 더해져 현목유빈(顯穆綏嬪)이다. 1823년(순조 23년) 신위를 봉안한 사당을 현사궁(顯思宮)으로 불렀다가,[4] 1824년(순조 24년) 사당을 옮겨 경우궁(景祐宮)이 되었고, 이후 신위는 궁정동 칠궁에 있다. 1823년(순조 23년) 1월 27일, 순조가 자궁께서 평소 사후의 일을 생각해 별도로 두신 은자를 호조에 내어주다라는 순조실록의 기록이 있다.

하교하기를,

"자궁(慈宮)께서 평소 사후(死後)의 일을 생각하여 별도로 두신 은자(銀子) 1만 6천 냥이 있기에 지금 호조에 내어주니, 잘 헤아려서 원소(園所)의 역사와 후일 별묘(別廟)를 지을 때에 보태서 쓰도록 하라."

하였다.

— 《순조실록》 1823년(순조 23년) 1월 27일

대한제국이 개창된 후 고종황제가 정조를 선황제로 추존함에 따라 1901년(고종 38년·광무 5년) 10월 11일에 유빈 박씨도 유비(綏妃)로 추존되어 현목유비(顯穆綏妃)이다.[5] 다음 해 1902년(고종 39년·광무 6년), 특진관 이주영 등이 황후 추존을 청하였으나 고종황제가 거절하였다.[6]

관련 작품

유빈 박씨가 기록된 서적

이재난고

又聞: 朴嬪旣有娠, 而上以前兩度虛胎爲懲, 不以頒告. 外朝有以微稟者, 上微哂曰: "姑勿明言可也." 또 이런 일을 들었다. 박빈(유빈 박씨)이 이미 임신하였는데, 상(정조)께서 이전 두 번의 허태(虛胎) 때문에 조심하여 (임신 사실을) 반포하지 않으셨다. 외조(왕이 국정을 듣는 곳)에서 이를 가지고 넌지시 여쭌 자가 있었는데, 상께서 은미하게 웃으며 이르시기를, “우선 드러내놓고 말하지 않는 것이 옳다.”[7]

— 황윤석 《이재난고》 45권 1790년(정조 14년, 경술년) 음력 4월 7일 일진:정사(丁巳) (庚戌四月七日 丁巳)

황윤석의 《이재난고》 45권 1790년(정조14년, 경술년) 음력 4월 7일 기록에 유빈 박씨에 대한 일화가 나와 있다.

《가순궁동가의절》

조선 23대 임금 순조의 생모 가순궁 유빈박씨가 행차할 때의 식차(式次)를 적은 책.

유빈 박씨가 등장한 작품

가족 관계

본가 반남 박씨
  • 아버지 : 박준원(朴準源, 1739~1807)
  • 어머니 : 원주 원씨(原州 元氏, 1740~1783)[8] - 인조반정 공신 원두표의 5세손인 원경유의 딸이다. 정순왕후와 친척 관계이다.
    • 오빠 : 박종보(1760~1808)
    • 오빠 : 박종경(朴宗慶, 1765~1817)[9] - 형조판서
    • 언니 : 평산인 신광회(申光晦)에게 출가.
    • 언니 : 전주인 이요헌(李堯憲)에게 출가.
    • 여동생 : 풍산인 홍욱주(洪郁周)에게 출가.
    • 여동생 : 전주인 류첨(柳詹)에게 출가.
    • 남동생 : 박종익(朴宗翊, 1773~1791)
    • 남동생 : 박종희(朴宗喜, 1775~1849)
  • 서어머니 : 홍도 최계옥(1778~1822)
    • 이복남동생 : 박종염(朴宗琰, 1797~1857)
    • 이복남동생 : 박종영(朴宗永, 1804~?)
  • 친척 : 박명원(朴明源, 1725~1790)
  • 친척 : 박지원(朴趾源, 1737~1805)
왕가 전주 이씨
  • 남편 : 제22대 정조(正祖, 1752~1800)
    • 첫째 : 자궁 외 임신
    • 둘째 : 자궁 외 임신
    • 아들 : 제23대 순조(純祖, 1790~1834)
    • 며느리 : 순원숙황후 김씨(純元肅皇后 金氏, 1789~1857)
    • 딸 : 숙선옹주(淑善翁主, 1793~1836)
    • 사위 : 영명위(永明尉) 홍현주(洪顯主, 1793~1865) - 혜경궁 홍씨의 6촌 오빠 홍낙성의 손자.
      • 손자 : 홍우철(洪祐喆)
        • 증손자 : 홍승억

같이 보기

각주

  1. 유빈 박씨 진향문 한글본
  2. “순조실록”.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 “순조실록”.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 “순조실록”.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 “순조실록”. 
  6. “순조실록”. 
  7. “이재난고 45권”. 
  8. 수빈 박씨의 어머니와 정순왕후의 어머니는 둘 다 원주 원씨로 친척 관계이다. 또한 정순왕후의 오빠 김귀주의 부인이 반남 박씨로 수빈 박씨와 친척 관계이다.
  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822년 졸서하시고 1823년 제사를 지낼 때 <유빈박씨상시문>과 <유빈박씨애책문>에 "유빈"으로 된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