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위키공용분류 오류 수정; 예쁘게 바꿈
→‎정의: 오타를 고침
태그: m 모바일 앱 안드로이드 앱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 정의 ==
== 정의 ==
헤프츠스프룽-러셀 다이어그램은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한 축에 별의 [[색지수]],[[분광형]],[[표면온도]]를 놓고, 다른 축에 [[절대등급]]을 놓은 관측자용 표이다. 각 좌표는 관측으로 얻을 수 있다.
헤르츠스프룽-러셀 다이어그램은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한 축에 별의 [[색지수]],[[분광형]],[[표면온도]]를 놓고, 다른 축에 [[절대등급]]을 놓은 관측자용 표이다. 각 좌표는 관측으로 얻을 수 있다.


이론적 표는 한 축에 표면온도를 다른 축에는 [[광도]]를 그린 것이다. 이 두 다이어그램은 컴퓨터 모형으로부터 계산해 낼 수 있다.<ref>하나의 표로 다른 표를 정확히 변환하는 것은 단순한 일이 아니며, 사용되는 모델 및 별의 나이 및 구성과 같은 매개변수에 따라 다르다.</ref>
이론적 표는 한 축에 표면온도를 다른 축에는 [[광도]]를 그린 것이다. 이 두 다이어그램은 컴퓨터 모형으로부터 계산해 낼 수 있다.<ref>하나의 표로 다른 표를 정확히 변환하는 것은 단순한 일이 아니며, 사용되는 모델 및 별의 나이 및 구성과 같은 매개변수에 따라 다르다.</ref>

2019년 12월 1일 (일) 04:22 판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
초거성, 거성, 주계열성, 백색왜성 등이 표시되어 있다.

색등급도(色等級圖, color-magnitude diagram)란 항성천문학에서 절대등급, 광도, 항성분류, 그리고 표면온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 고안자인 아이나르 헤르츠스프룽헨리 노리스 러셀의 이름을 따서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영어: Hertzsprung–Russell diagram 헤르츠스프룽-러셀 다이어그램[*], 문화어: 헤르쯔슈프룽-라쎌도표[1])라고도 한다.

정의

헤르츠스프룽-러셀 다이어그램은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한 축에 별의 색지수,분광형,표면온도를 놓고, 다른 축에 절대등급을 놓은 관측자용 표이다. 각 좌표는 관측으로 얻을 수 있다.

이론적 표는 한 축에 표면온도를 다른 축에는 광도를 그린 것이다. 이 두 다이어그램은 컴퓨터 모형으로부터 계산해 낼 수 있다.[2]

헤르츠스프룽-러셀 다이어그램은 별의 종류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며, 또한 컴퓨터 모델을 사용한 항성진화의 이론적 예측을 실제 별의 관측과 비교하는 데 사용된다.

이 다이어그램을 살펴보면, 별은 도표 전체에 고르게 퍼져 있지는 않으며 일정한 모양을 그리면서 무리를 짓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장 주된 부분은 좌측 상단에서(뜨겁고 밝은) 시작해서 우측하단(차갑고 어두운)으로 이어지는 주계열이라고 불리는 대각선부분이다. 좌측 하단은 백색왜성이 발견되는 부분이며, 주계열 위쪽은 적색거성, 초거성이 있다. 태양은 주계열상에 있으며, 광도 1(절대등급은 대략 5), 5800 K 주변에 있다(G2계열 항성이다).

역사

1911년 아이나르 헤르츠스프룽이,[3] 1913년 헨리 노리스 러셀[4] 독자적으로 개발하였다.

각주

  1. 한국천문학회 편, 《천문학용어집》 213쪽 우단 23째줄
  2. 하나의 표로 다른 표를 정확히 변환하는 것은 단순한 일이 아니며, 사용되는 모델 및 별의 나이 및 구성과 같은 매개변수에 따라 다르다.
  3. Hertzprung, Ejnar (1909). “Über die Sterne der Unterabteilung c und ac nach der Spektralklassifikation von Antonia C. Maury”. 《Astronomische Nachrichten》 (독일어) 179 (4296): 373–380. Bibcode:1909AN....179..373H. 
  4. Russell, Henry Norris (1914). “Relations between the spectra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stars”. 《Popular Astronomy》 (영어) 22: 275–294. Bibcode:1914PA.....22..275R.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