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제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참고자료: 분류 정리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정제두'''(鄭齊斗, [[1649년]] ∼ [[1736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이다. 자는 사앙(士仰), 호는 하곡(霞谷)이다.
'''정제두'''(鄭齊斗, [[1649년]] ∼ [[1736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이다. 자는 사앙(士仰), 호는 하곡(霞谷)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뜻이 있어 백가(百家)에 통달하였고, [[숙종]] 때에 6품(六品)·대성(臺省)·방백(方伯)의 벼슬을 받았으나 사퇴하고 전생애의 대부분을 학문 연구에 바쳤다. 처음에는 [[주자학]]을 공부했으나 곧 주자학에 반기를 들고 20여세 때부터 [[양명학]](陽明學)에 심취(心醉), 당시 학계와 정계에서 [[이단]]으로 몰려 배척당하면서도 조선 최초로 양명학의 사상적 체계를 완성, 그의 이러한 학문은 비판적인 그의 학풍과 함께 [[신작]](申綽)·[[이광사]](李匡師)·[[유희]](柳僖) 등 실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는 [[왕양명]]의 학설 중 제일의(第一義)라고 할 수 있는 '치량지설(致良知說)'의 '양'(良)이 '지'(知)에 대하여 주의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즉 '치지'의 '지'(知)가 지식의 '지'(知)가 아니라 선천적 지혜라고 했다. 그러므로 '양'(良)는 생래적으로 얻은 혜명(慧明)한 선천적 지성을 뜻한다고 했으며, '양지'가 있으므로 경험이 가능하고 지식을 지식으로서 받아들일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성현의 말씀이 중요한 것은 그 말씀 속에 흐르는 [[논리]]가 중요한 것이요, 논리보다도 그 논리를 이해할 수 있는 양지가 더욱 귀하다고 했다. 그의 학풍은 조선과 한국의 학술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그의 학술사상의 본령(本領)은 양명학에 있었다. 그의 저서로는 <논어해(論語解)> <맹자설(孟子設)> <존언(存言)> <서(書)> <성학설(聖學說)> <대학설(大學說)> <중용해(中庸解)> 등이 있다.<ref>[http://donation.enc.daum.net/wikidonation/ency.do?vol=023&code=002006004000000000#002006004000011000 〈조선후기의 철학사상〉],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ref>

어려서부터 [[학문]]에 뜻이 있어 백가(百家)에 통달하였고, [[숙종]] 때에 6품(六品)·대성(臺省)·방백(方伯)의 벼슬을 받았으나 사퇴하고 전생애의 대부분을 학문 연구에 바쳤다. 처음에는 [[주자학]]을 공부했으나 곧 주자학에 반기를 들고 20여세 때부터 [[양명학]](陽明學)에 심취(心醉), 당시 학계와 정계에서 [[이단]]으로 몰려 배척당하면서도 조선 최초로 양명학의 사상적 체계를 완성, 그의 이러한 학문은 비판적인 그의 학풍과 함께 [[신작]](申綽)·[[이광사]](李匡師)·[[유희]](柳僖) 등 실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는 [[왕양명]]의 학설 중 제일의(第一義)라고 할 수 있는 '치량지설(致良知說)'의 '양'(良)이 '지'(知)에 대하여 주의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즉 '치지'의 '지'(知)가 지식의 '지'(知)가 아니라 선천적 지혜라고 했다. 그러므로 '양'(良)는 생래적으로 얻은 혜명(慧明)한 선천적 지성을 뜻한다고 했으며, '양지'가 있으므로 경험이 가능하고 지식을 지식으로서 받아들일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성현의 말씀이 중요한 것은 그 말씀 속에 흐르는 [[논리]]가 중요한 것이요, 논리보다도 그 논리를 이해할 수 있는 양지가 더욱 귀하다고 했다. 그의 학풍은 조선과 한국의 학술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그의 학술사상의 본령(本領)은 양명학에 있었다. 그의 저서로는 <논어해(論語解)> <맹자설(孟子設)> <존언(存言)> <서(書)> <성학설(聖學說)> <대학설(大學說)> <중용해(中庸解)> 등이 있다.<ref>[http://donation.enc.daum.net/wikidonation/ency.do?vol=023&code=002006004000000000#002006004000011000 〈조선후기의 철학사상〉],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ref>


==주석==
==주석==

2008년 11월 10일 (월) 23:13 판

정제두(鄭齊斗, 1649년1736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이다. 자는 사앙(士仰), 호는 하곡(霞谷)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뜻이 있어 백가(百家)에 통달하였고, 숙종 때에 6품(六品)·대성(臺省)·방백(方伯)의 벼슬을 받았으나 사퇴하고 전생애의 대부분을 학문 연구에 바쳤다. 처음에는 주자학을 공부했으나 곧 주자학에 반기를 들고 20여세 때부터 양명학(陽明學)에 심취(心醉), 당시 학계와 정계에서 이단으로 몰려 배척당하면서도 조선 최초로 양명학의 사상적 체계를 완성, 그의 이러한 학문은 비판적인 그의 학풍과 함께 신작(申綽)·이광사(李匡師)·유희(柳僖) 등 실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는 왕양명의 학설 중 제일의(第一義)라고 할 수 있는 '치량지설(致良知說)'의 '양'(良)이 '지'(知)에 대하여 주의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즉 '치지'의 '지'(知)가 지식의 '지'(知)가 아니라 선천적 지혜라고 했다. 그러므로 '양'(良)는 생래적으로 얻은 혜명(慧明)한 선천적 지성을 뜻한다고 했으며, '양지'가 있으므로 경험이 가능하고 지식을 지식으로서 받아들일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성현의 말씀이 중요한 것은 그 말씀 속에 흐르는 논리가 중요한 것이요, 논리보다도 그 논리를 이해할 수 있는 양지가 더욱 귀하다고 했다. 그의 학풍은 조선과 한국의 학술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그의 학술사상의 본령(本領)은 양명학에 있었다. 그의 저서로는 <논어해(論語解)> <맹자설(孟子設)> <존언(存言)> <서(書)> <성학설(聖學說)> <대학설(大學說)> <중용해(中庸解)> 등이 있다.[1]

주석

  1. 〈조선후기의 철학사상〉,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참고자료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