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일본 국경 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47번째 줄: 47번째 줄:
1932년 [[만주국]] 설립 이후, 일본군과 소련군은 1934년까지 만주의 국경에서 약 151회 충돌했다. 이 전투는 1935년부터 1936년까지 1년간 약 150회 정도로 증가했고, 그 규모도 훨씬 커지게 되었다. 1935년 1월, 첫 무장 충돌인 할하미아오 사건이 [[몽골 인민 공화국]]과 만주국 사이에서 발생했다.<ref>Charles Otterstedt, [http://www.hsdl.org/?view&did=445559 ''Kwantung Army and the Nomonhan Incident: Its Impact on National security'']</ref> 몽골 인민군의 기병대는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만주국 군대는 손실을 입었으며 일본군 고문관도 사망했다. 1935년 12월부터 1936년 3월까지 오라호도가 사건 및 타우란 사건이 발생했다. 이 전투들에서 일본군과 몽골 인민군 모두 약간의 장갑차를 썼다. 1937년 6월에는 칸차주 섬 사건이 [[아무르 강]]에서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소련군 고속정 1대가 격침되었고, 나머지 1대도 파손되었다. 일본제국 1사단은 이후 소련군이 철수하자 이 섬을 점령했다. 1938년도에는 조선과 일본 제국, 소비에트 연방의 국경 지역인 [[하산]]의 호수에서 [[하산 호 전투]]가 발발했다. 하산은 [[블라디보스토크]]와 [[나진]]을 잇는 요충지로 양측 모두에게 포기할 수 없는 지역이었다. 이 전투에서 소련군은 대승을 거두었고, 일본은 [[미국]]에게 중재를 요청했다. 이후 소련과 일본 사이에서는 일시적인 평화가 찾아왔다. 그러나 1939년 5월 11일, 여전히 불씨로 남아 있던 할힌골 지방에서 충돌이 발생했다. 이 때 소련 사단들은 일본 제국 사단들과 충돌했다. 이 때 소련 극동군은 일본제국 23보병사단과 전투를 벌였다. 소련군은 5월부터 7월까지인 1차 접전에서 일본군의 공격을 막아내었지만 피해가 막심했다. 2차 접전 때 소련군은 [[게오르기 주코프]] 장군의 주도 하에 8월 달부터 대공세를 시작했다. 소련군은 만주국 일대로 대대적인 침공을 개시해 만주국 내에 영토를 얻을 정도로 빠르게 일본군을 격파했다. 1940년 9월 16일, 일본군은 결국 할힌골에서 후퇴했다.
1932년 [[만주국]] 설립 이후, 일본군과 소련군은 1934년까지 만주의 국경에서 약 151회 충돌했다. 이 전투는 1935년부터 1936년까지 1년간 약 150회 정도로 증가했고, 그 규모도 훨씬 커지게 되었다. 1935년 1월, 첫 무장 충돌인 할하미아오 사건이 [[몽골 인민 공화국]]과 만주국 사이에서 발생했다.<ref>Charles Otterstedt, [http://www.hsdl.org/?view&did=445559 ''Kwantung Army and the Nomonhan Incident: Its Impact on National security'']</ref> 몽골 인민군의 기병대는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만주국 군대는 손실을 입었으며 일본군 고문관도 사망했다. 1935년 12월부터 1936년 3월까지 오라호도가 사건 및 타우란 사건이 발생했다. 이 전투들에서 일본군과 몽골 인민군 모두 약간의 장갑차를 썼다. 1937년 6월에는 칸차주 섬 사건이 [[아무르 강]]에서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소련군 고속정 1대가 격침되었고, 나머지 1대도 파손되었다. 일본제국 1사단은 이후 소련군이 철수하자 이 섬을 점령했다. 1938년도에는 조선과 일본 제국, 소비에트 연방의 국경 지역인 [[하산]]의 호수에서 [[하산 호 전투]]가 발발했다. 하산은 [[블라디보스토크]]와 [[나진]]을 잇는 요충지로 양측 모두에게 포기할 수 없는 지역이었다. 이 전투에서 소련군은 대승을 거두었고, 일본은 [[미국]]에게 중재를 요청했다. 이후 소련과 일본 사이에서는 일시적인 평화가 찾아왔다. 그러나 1939년 5월 11일, 여전히 불씨로 남아 있던 할힌골 지방에서 충돌이 발생했다. 이 때 소련 사단들은 일본 제국 사단들과 충돌했다. 이 때 소련 극동군은 일본제국 23보병사단과 전투를 벌였다. 소련군은 5월부터 7월까지인 1차 접전에서 일본군의 공격을 막아내었지만 피해가 막심했다. 2차 접전 때 소련군은 [[게오르기 주코프]] 장군의 주도 하에 8월 달부터 대공세를 시작했다. 소련군은 만주국 일대로 대대적인 침공을 개시해 만주국 내에 영토를 얻을 정도로 빠르게 일본군을 격파했다. 1940년 9월 16일, 일본군은 결국 할힌골에서 후퇴했다.


===하산 호 전투===
{{본문|하산 호 전트}}
{{전쟁 정보
|분쟁=하산 호 전투
|전체=[[소련·일본 국경 분쟁]]
|그림=Khasan Memorial.jpg|150px
|설명=[[소련군]]의 하산 호 전투 기념탑
|날짜=[[1938년]] [[7월 29일]] ~ [[8월 11일]]
|장소=[[소비에트 연방]] [[하산 호]]
|결과=[[소련군]]의 승리, 일본군의 패배, 전쟁 이전의 상태로 회귀(status quo ante bellum)
|교전국1={{국기나라|소비에트 연방|1924}}
|교전국2={{국기나라|일본 제국}}
|지휘관1={{국기그림|소비에트 연방|1924}} [[바실리 블류헤르]]<br />{{국기그림|소비에트 연방|1924}} [[니콜라이 베르자린]]
|지휘관2={{국기그림|일본 제국}} [[사토 고토쿠]]
|병력1= 15,000-22,950명
|병력2= 7,000-20,000명
|사상자1=236-717명 전사<br />611-2,752명 부상
|사상자2=526-650명 전사<br />913-2,500명 부상
}}
일본군의 공격이 발단이 된 이 전투에서, 소련군은 7월 29일에 일본군의 공격을 막는 데에 성공했으나 7월 31일에는 일본군의 공격에 후퇴했다. 그러나 이후 소련군은 압도적인 병력과 화력을 이용하여 일본군에게 반격했다. 8월 2일부터 8월 9일까지 벌어진 전투에서, 일본군은 결국 소련군에게 대패했다. 10월에 일본 수상은 [[미국]] 정부에 평화 협상 중재를 요청했다. 11월에 소련과 일본, 쌍방은 서로에 대한 군사적 적대 행위를 중지했고, 이후 1939년 5월-9월의 [[할힌골 전투]] 때까지 양국의 전투는 없었다.

이 전투에서 [[소련군]]의 압도적인 화력앞에 일본군은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소련군]]은 승리하였다. 그러나 [[소련군]]의 피해도 커서, 이 지휘의 총책임자였던 [[바실리 블류헤르]] 원수는 [[이오시프 스탈린|스탈린]]의 신임을 잃고 숙청, 처형되었다.
==할힌골 전투==
{{본문|할힌골 전투}}
{{전쟁 정보
|분쟁=할힌골 전투
|전체=[[소련-일본 국경 분쟁]]
|그림=SovietArmouredVehicle.jpg
|설명=[[붉은 군대|소련군]] [[BA-10 장갑차]] 1대가 버려져 있다.
|날짜=[[1939년]] [[5월 11일]] ~ [[9월 16일]]
|장소=[[몽골 인민 공화국]] [[할하 강]]
|결과=[[소련]]·[[몽골]] 연합군의 승리, [[소련]] - [[일본]] 국경 분쟁의 최종적 종결
|교전국1= {{국기|소련|1924}}<br />
{{국기|몽골 인민공화국|1930}}
|교전국2= {{국기|일본 제국}} <br/ >
{{국기|만주국}}
|지휘관1={{국기그림|소련|1924}} [[게오르기 주코프]]<br />
{{국기그림|소련|1924}} [[그리고리 쉬테른]]<br />
{{국기그림|소련|1924}} [[야코프 스무쉬케비치]]<br />
{{국기그림|몽골 인민공화국|1930}} [[허를러깅 처이발상]]
|지휘관2= {{국기그림|일본 제국}} [[고마쓰바라 미치타로]]
|병력1= 61,860–73,961<br />전차 498–550대<br />항공기 900대 이상<br />장갑차 385–450대<br />대포 500–634여 문
|병력2= 30,000–38,000명<br />전차 73대<br />탱켓 64대<br />항공기 400대<br />대포 200-300여 문
|사상자1=
9,703명 전사<br />15,952명 부상<br />2,225명 병사
|사상자2=
<br/> 8,440명 전사. 8,766명 부상
만주군 사상자 3000명
}}
===제1차 할힌골 전투===
====전투 초반-소련의 근소한 우세====
[[중·일전쟁]]이 가장 치열했던 시기로 일본의 대본영(大本營)에서는 사건이 전면전으로 확대되는 것을 우려하였다. 그러나 관동군은 이를 무시하고 병력을 총동원하여 대대적 공세를 취했다. 몽골과 상호 원조 조약을 맺고 있었던 소련군은 일본군과 격전을 벌였다.

5월 28일 [[니콜라이 블리디미로비치 페클렌코]]({{llang|ru|Николай Владимирович Фекленко}})가 이끈 소련군 1,500여 명은 숫적으로 우세한 2,000여 명 이상의 관동군과 맞서 싸웠다. 병력 면에서 소련군은 열세였으나, 장갑차와 야포,자주포의 숫자와 성능은 소련군이 우세하였다.<ref>단, 전차는 양측에 모두 단 한 대도 존재하지 않았다.</ref> 소련군은 야포와 [[자주포]], 장갑차를 적절히 활용하여 일본군의 대응 전력을 먼저 격파한 다음 보병을 포위하여 섬멸하였다. 일본군은 약 50-70%의 피해를 보아 전멸했으나 지상전과는 달리 공중전에서는 일본군이 우세했다. 이는 제 2차 할힌골 전투의 불씨가 되었다.

제1차 할힌골 전투를 승리로 이끈 페클렌코는 [[모스크바]]에서 훈장을 받았다. 몇몇 문헌에서는 페클렌코가 숙청되었다고 서술하고 있으나 이는 [[하산 호 전투]]의 사령관인 [[바실리 블류헤르]] 원수와 혼동한 오류에 지나지 않다.<ref>[https://ru.wikipedia.org/wiki/%D0%9D%D0%B8%D0%BA%D0%BE%D0%BB%D0%B0%D0%B9_%D0%92%D0%BB%D0%B0%D0%B4%D0%B8%D0%BC%D0%B8%D1%80%D0%BE%D0%B2%D0%B8%D1%87_%D0%A4%D0%B5%D0%BA%D0%BB%D0%B5%D0%BD%D0%BA%D0%BE] </ref> 페클렌코의 후임으로 부임한 사람은 [[주코프]]였다.
===제2차 할힌골 전투===
====전투 중반-소련, 몽골 연합의 우세====
6월 27일, 일본 관동군 항공대는 107대의 항공기를 동원하여 [[톰스크]] 일대의 소련의 항공기지를 급습하였다. 톰스크 공군 기지의 절반이 파괴되었고 소련은 100대가 넘는 항공기를 상실했다.

[[파일:Khalkhin Gol Soviet tanks 1939.jpg|섬네일|소련군 전차]]
이와 같은 급습을 당한 소련은 보복전을 준비하였다. 당시 소련의 외무인민위원이었던 [[몰로토프]]는 앞으로 전개될 보복전이 단순히 톰스크 기지의 피해를 앙갚은 하는 것을 넘어 만주와 몽고의 국경을 정함에 있어서 소련의 우위를 점하는 것에 목표를 두어야한다고 역설을 하였다. [[몰로토프]]의 주장에 대해서 [[스탈린]]은 옳다고 생각하여 [[벨라루스]] 관할군 부사령관이었던 [[게오르기 주코프]]를 할힌골 전투의 총지휘관으로 임명하였다.

[[파일:MNRA soldiers 1939.jpg|오른쪽|섬네일|200px|할하 강 서안에서 일본군의 반격에 맞서 싸우고 있는 몽골군]]
일본은 이로서 관동군 내에서도 정예라 불리는 제 7사단을 투입했다. 이로써 일본군은 돌이킬 수 없는 수렁에 빠지기 시작하였다.

====쌍방의 병력 상황====
주코프 [[군인 계급|장군]]은 모스크바에 대규모의 지원 병력을 요청했다. 모스크바는 이에 화답하여, 주코프의 요청의 2배가 넘는 병력을 주코프에게 보내주었다. 그 결과, 주코프 장군의 소련군은 3개 소총사단, 2개 전차사단, 2개 전차여단, 2개 차량화보병사단, [[전투기]]와 [[폭격기]] 557대를 보유하게 되었다. [[전차]]는 498대에 이르렀다. 주코프는 이 물자들을 눈에 띄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전장까지 이동시켰다.

이에 맞서는 [[일본군]]은 전차 135대와 항공기 250대를 보유했다. 소련군은 일본군의 전차보다 성능이 뛰어난 전차를 많이 보유하였다. 일본군의 주력 전차는 89식 중전차나 97식 전차로, 대부분 소련군 전차와 기갑전을 벌이기에 부족하였다 . 소련군 전차는 [[BT 전차|BT-5]]<ref>특히 BT-5의 경우, 그 명칭이 '경전차'임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의 중전차를 압도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었다. [[크리스티 현가장치]]를 채용하여 기동력이 매우 좋았으며, 탑재된 45mm 주포도 성능과 위력이 매우 뛰어나서 1,000m 이상의 거리에 있는 일본군 전차의 정면장갑을 관통할 정도였다. 또한, BT-5는 나중에 제 2차 세계대전의 소련군의 주력 전차로 쓰일 유명한 [[T-34]]의 모델이 된다. 그 대신에, 경전차답게 비록 이동 능력은 뛰어났으나 그 대가로 BT-5는 전차로서의 방어력은 거의 포기 직전(경사 장갑을 채용하긴 했지만)에 이르렀다.)</ref>, [[T-26]]<ref>T-26은 소련에서 대량으로 생산되어 에스파냐 내전당시 에스파냐 공화파에 지원한적이 있었다.</ref> 등이 있었다. 전투에 임하여 일본군 기갑병력은 열세를 드러 내어 큰 피해를 입고 후퇴하는데 급급하였다. 일본군 포병도 소련군 포병의 압도적인 화력과 기세에 눌렸다. 일본군에게 점차적으로 위기가 다가오고 있었다.

====전투 후반-주코프의 반격, 소, 몽 연합의 압도적 승리====
7월 2-3일에 80대의 전차와 100문이 넘는 대포로 일본군 10,000여 명이 공격해 왔으나 446대의 전차와 장갑차를 장비하고 있던 소련군에게 대패했다. 일본군은 악착같이 맞서 싸우기는 했으나 결국 수천여 명의 사상자를 낸 채 4-5일에 걸쳐 일방적으로 패주했다. 일본군 전사자들 가운데는 익사자도 적지 않았다. 소련군도 수천여 명에 달하는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파일:Soviet tanks cross Khalkhin Gol river 1939.jpg|섬네일|왼쪽|250px|할하 강을 도하 중인 소련군 전차]]
일본군의 공세가 소진되기를 기다린 주코프는 현대화된 기갑 전력을 이용하여 8월 20일 대규모의 포병력과 차량화 보병을 이용한 화력지원을 하고 폭격기와 전투기를 동원한 공중지원과 함께 기갑전력(3개 기갑여단, 2개 기계화여단)과 보병을 포함한 50,000여 명의 대병력으로 하여금 강을 도하하게 하는 대담한 기동 작전을 감행했다.

또한 500여 대의 [[전투기]]와 [[폭격기]]가 20일 새벽 5시 45분부터 일본군 진지에 대규모 폭격을 가했다. 이와 동시에 대규모의 포격도 일본군 진지를 향해 가해졌다. 2만 수천여 명의 잔존 일본군은 강력히 저항하면서 소련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지만<ref>주로 [[화염병]]으로 인한 피해가 컸다. 또한, 당시 소련군에 맞서는 일본군의 주력이자 거의 유일한 대전차무기였다. 화염병으로 인해 소련군은 200-300대의 전차와 [[장갑차]]를 손실당했다.소련군의 전차가 대량으로 격파된 이유는 주코프의 공명심과 작전 미숙에도 문제가 있었지만, 방어력 문제도 한몫 단단히 거들고 있었다. </ref>, 소련-몽골군의 500여 전차와 50,000여 병(3개 보병사단, 1개 전차여단)은 피해에 아랑곳하지 않고 일본군을 포위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일본군 제 23사단은 8월 25일에 이르러 소련군의 넓은 포위망 안에 갇혀버렸다.

[[파일:Khalkhin Gol Captured Japanese soldiers 1939.jpg|섬네일|250px|포로로 잡힌 일본군]]
8월 26일에 일본군은 제 23사단을 구원하기 위한 작전을 펼쳤지만, 실패하였다. 그 다음날인 27일에는 제 23사단이 포위망을 돌파하였지만 이마저 실패하였다. 일본군이 항복에 머뭇거리는 사이, 소련의 포격과 항공 폭격이 일본군 진영에 계속인 타격을 가하였다. 31일에 이르자, 일본군은 사실상 붕괴하였다. 제 23사단의 잔여병력은 만주국 국경으로 겨우겨우 빠져나갔다. 관동군은 투입된 병력의 절반을 손실하였다. 전투가 벌어졌던 할힌골은 드넓고 황량한 [[평야]] 지대였기에, 기계화되고 근대화된 소련군이 역량을 펼치기에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것이었다.(일본의 '총검 백병주의'도 이 때 무참히 깨졌다.)

[[파일:Ha-Go Khalkin-Gol.JPG|섬네일|왼쪽|노획된 일본군 전차]]
관동군 6군 전체가 소련군 포위망에 갇혀버렸는데, 특히, 관동군 6군 제 23사단은 피해율이 70%-80%에 달할 정도였다.<ref>일반적으로 전멸은 30%-40% 정도의 피해율을 입었을 때에 쓰는 용어이다.</ref> 제 23사단의 대부분이, 전투가 벌어지기 불과 1년 전에 만들어진 사단이었고, 병력의 거의 대부분이 신참 징집병이며, 물자도 다른 보병사단보다 형편이 없었다.<ref>アルビィン.D.クックス著 『ノモンハン 草原の日ソ戦-1939(下)朝日新聞社 1989年12月発行 第252頁~第253頁(앨빈 D. 쿡스(Alvin D. Coox) 저(著) {노몬한 초원의 일본-소련전 1939 (하) 아사히 신문사 1989년 12월 발행 제 252면 ~ 제 253면}</ref><ref>다나카 카츠히코 히토츠바시 대학 명예교수가 펴낸 책 '''노몬한 전쟁''' 제 2면에서는 '''일본군은 2만여명이 넘는 병사들의 목숨을 바쳐...'''라는 내용이 쓰여져 있다. 또한, 일본의 작가 한도 카츠토시(일본어: 半藤一利)는 자신의 저서 '''노몬한의 여름''''에서 1966년 10월 20일의 [[야스쿠니 신사]]에서 전투 전몰자들을 위한 위령제가 치러진 다음날 신문은 일본측 전사자를 '''18,000여 명'''이라고 보도했다고 썼다. 우시지마 야스치카는 저서에서 일본군이 발표한 소련 사상자 숫자가 실제보다 2배 부풀려져 있고, 반대로 일본군 사상자는 절반으로 깎였다고 썼다.</ref>

2주 만에 관동군은 할힌골 전장에서 처참하게 전멸당한채 후퇴했다. [[중국 국민당|중국군]]과의 전투에서 항상 승승장구 하였던 일본 [[육군]]은 최초의 대참패를 맛보았다.
== 이후 ==
== 이후 ==
하산 호 전투 및 할힌골 전투에서의 패배로 인해 일본은 극동 지방으로의 진출을 다시 고려해야 했다. 이 무렵 일본은 중국과 전쟁 상태에 있었고, 독일 및 이탈리아와 방공 협정을 맺어 국제적으로도 고립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1940년 일본은 소련과 [[소련-일본 중립 조약]]을 체결했다. 이후 일본은 극동 지방을 공략하는 대신, 중국 본토를 침공하였다. 1941년부터 실제로 두 국가는 전쟁을 거의 벌이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일본의 경우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미국 및 연합국과의 전쟁에 휘말렸기 때문이고, 소련의 경우에는 [[바르바로사 작전]] 이후 독일과 전쟁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후 [[얄타 회담]]에서 소련의 일본 침공안이 협의되기 전까지 두 나라 사이에 직접적인 전투가 없었다. 실제로 독일은 일본에게 소련 침공을 요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소련을 공격하지 않은 이유는 할힌골 전투의 패배 이후 [[소련-일본 중립 조약]]이 큰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하산 호 전투 및 할힌골 전투에서의 패배로 인해 일본은 극동 지방으로의 진출을 다시 고려해야 했다. 이 무렵 일본은 중국과 전쟁 상태에 있었고, 독일 및 이탈리아와 방공 협정을 맺어 국제적으로도 고립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1940년 일본은 소련과 [[소련-일본 중립 조약]]을 체결했다. 이후 일본은 극동 지방을 공략하는 대신, 중국 본토를 침공하였다. 1941년부터 실제로 두 국가는 전쟁을 거의 벌이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일본의 경우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미국 및 연합국과의 전쟁에 휘말렸기 때문이고, 소련의 경우에는 [[바르바로사 작전]] 이후 독일과 전쟁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후 [[얄타 회담]]에서 소련의 일본 침공안이 협의되기 전까지 두 나라 사이에 직접적인 전투가 없었다. 실제로 독일은 일본에게 소련 침공을 요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소련을 공격하지 않은 이유는 할힌골 전투의 패배 이후 [[소련-일본 중립 조약]]이 큰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2019년 8월 30일 (금) 23:50 판

소련-일본 국경 분쟁
전간기,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부
날짜1932년-1939년
장소
외몽골, 만주연해주 일부, 한반도 북부
결과

소련 및 몽골인민공화국의 승리

교전국

소련의 기 소련

몽골 몽골 인민 공화국

일본 제국 일본 제국

만주국 만주국
지휘관

소련 게오르기 주코프
소련 바실리 블류헤르

몽골 허를러깅 처이발상

일본 제국 우에다 겐키치
일본 제국 우메즈 요시지로

만주국 푸이
병력

소련-몽골 연합군

  • 병사 8만 명
  • 전차 756대
  • 장갑차 385대
  • 포 779문
  • 항공기 765대

일본 제국군(만주국 포함)

  • 병사 9만 7천명

소련-일본 국경 분쟁은 소비에트 연방 및 몽골 인민 공화국 연합국과 1932년부터 1939년까지 일본 제국 육군이 국경 지방에서 충돌한 사건이다. 소련과 몽골 연합군이 승리를 거두었으며, 이 전쟁 이후 소련과 일본은 소련-일본 중립 조약을 체결한다.

배경

할힌골 전투 초반에 일본군이 소련 무기를 노획한 이후 좋아하고 있다. 일본군은 초기에 소련군을 매섭게 몰아붙여 성과를 거두었다.

1929년 중화민국과 소련이 충돌하였을 때 소련이 승리를 거두자, 중국으로의 진출을 꾀하고 있던 일본은 이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게 된다. 1921년 소련의 성립을 방해하기 위해 일본이 시베리아로 출병한 이후부터 소련과 일본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이것은 소련이 일본을 적대적으로 생각하는 중국 국민당 및 공산당을 지원하면서 더욱 커지게 된다. 이후 일본은 만주 사변을 일으킨 후 만주국을 수립하는데, 이는 소련에게 적잖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전투

1932년 만주국 설립 이후, 일본군과 소련군은 1934년까지 만주의 국경에서 약 151회 충돌했다. 이 전투는 1935년부터 1936년까지 1년간 약 150회 정도로 증가했고, 그 규모도 훨씬 커지게 되었다. 1935년 1월, 첫 무장 충돌인 할하미아오 사건이 몽골 인민 공화국과 만주국 사이에서 발생했다.[1] 몽골 인민군의 기병대는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만주국 군대는 손실을 입었으며 일본군 고문관도 사망했다. 1935년 12월부터 1936년 3월까지 오라호도가 사건 및 타우란 사건이 발생했다. 이 전투들에서 일본군과 몽골 인민군 모두 약간의 장갑차를 썼다. 1937년 6월에는 칸차주 섬 사건이 아무르 강에서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소련군 고속정 1대가 격침되었고, 나머지 1대도 파손되었다. 일본제국 1사단은 이후 소련군이 철수하자 이 섬을 점령했다. 1938년도에는 조선과 일본 제국, 소비에트 연방의 국경 지역인 하산의 호수에서 하산 호 전투가 발발했다. 하산은 블라디보스토크나진을 잇는 요충지로 양측 모두에게 포기할 수 없는 지역이었다. 이 전투에서 소련군은 대승을 거두었고, 일본은 미국에게 중재를 요청했다. 이후 소련과 일본 사이에서는 일시적인 평화가 찾아왔다. 그러나 1939년 5월 11일, 여전히 불씨로 남아 있던 할힌골 지방에서 충돌이 발생했다. 이 때 소련 사단들은 일본 제국 사단들과 충돌했다. 이 때 소련 극동군은 일본제국 23보병사단과 전투를 벌였다. 소련군은 5월부터 7월까지인 1차 접전에서 일본군의 공격을 막아내었지만 피해가 막심했다. 2차 접전 때 소련군은 게오르기 주코프 장군의 주도 하에 8월 달부터 대공세를 시작했다. 소련군은 만주국 일대로 대대적인 침공을 개시해 만주국 내에 영토를 얻을 정도로 빠르게 일본군을 격파했다. 1940년 9월 16일, 일본군은 결국 할힌골에서 후퇴했다.

하산 호 전투

하산 호 전투
소련·일본 국경 분쟁의 일부

소련군의 하산 호 전투 기념탑
날짜1938년 7월 29일 ~ 8월 11일
장소
결과 소련군의 승리, 일본군의 패배, 전쟁 이전의 상태로 회귀(status quo ante bellum)
교전국
소련의 기 소련 일본 제국의 기 일본 제국
지휘관
소련 바실리 블류헤르
소련 니콜라이 베르자린
일본 제국 사토 고토쿠
병력
15,000-22,950명 7,000-20,000명
피해 규모
236-717명 전사
611-2,752명 부상
526-650명 전사
913-2,500명 부상

일본군의 공격이 발단이 된 이 전투에서, 소련군은 7월 29일에 일본군의 공격을 막는 데에 성공했으나 7월 31일에는 일본군의 공격에 후퇴했다. 그러나 이후 소련군은 압도적인 병력과 화력을 이용하여 일본군에게 반격했다. 8월 2일부터 8월 9일까지 벌어진 전투에서, 일본군은 결국 소련군에게 대패했다. 10월에 일본 수상은 미국 정부에 평화 협상 중재를 요청했다. 11월에 소련과 일본, 쌍방은 서로에 대한 군사적 적대 행위를 중지했고, 이후 1939년 5월-9월의 할힌골 전투 때까지 양국의 전투는 없었다.

이 전투에서 소련군의 압도적인 화력앞에 일본군은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소련군은 승리하였다. 그러나 소련군의 피해도 커서, 이 지휘의 총책임자였던 바실리 블류헤르 원수는 스탈린의 신임을 잃고 숙청, 처형되었다.

할힌골 전투

할힌골 전투
소련-일본 국경 분쟁의 일부

소련군 BA-10 장갑차 1대가 버려져 있다.
날짜1939년 5월 11일 ~ 9월 16일
장소
결과 소련·몽골 연합군의 승리, 소련 - 일본 국경 분쟁의 최종적 종결
교전국

소련 소련

몽골 인민공화국 몽골 인민공화국

일본 제국 일본 제국

만주국 만주국
지휘관

소련 게오르기 주코프
소련 그리고리 쉬테른
소련 야코프 스무쉬케비치

몽골 인민공화국 허를러깅 처이발상
일본 제국 고마쓰바라 미치타로
병력
61,860–73,961
전차 498–550대
항공기 900대 이상
장갑차 385–450대
대포 500–634여 문
30,000–38,000명
전차 73대
탱켓 64대
항공기 400대
대포 200-300여 문
피해 규모
9,703명 전사
15,952명 부상
2,225명 병사


8,440명 전사. 8,766명 부상

만주군 사상자 3000명

제1차 할힌골 전투

전투 초반-소련의 근소한 우세

중·일전쟁이 가장 치열했던 시기로 일본의 대본영(大本營)에서는 사건이 전면전으로 확대되는 것을 우려하였다. 그러나 관동군은 이를 무시하고 병력을 총동원하여 대대적 공세를 취했다. 몽골과 상호 원조 조약을 맺고 있었던 소련군은 일본군과 격전을 벌였다.

5월 28일 니콜라이 블리디미로비치 페클렌코(러시아어: Николай Владимирович Фекленко)가 이끈 소련군 1,500여 명은 숫적으로 우세한 2,000여 명 이상의 관동군과 맞서 싸웠다. 병력 면에서 소련군은 열세였으나, 장갑차와 야포,자주포의 숫자와 성능은 소련군이 우세하였다.[2] 소련군은 야포와 자주포, 장갑차를 적절히 활용하여 일본군의 대응 전력을 먼저 격파한 다음 보병을 포위하여 섬멸하였다. 일본군은 약 50-70%의 피해를 보아 전멸했으나 지상전과는 달리 공중전에서는 일본군이 우세했다. 이는 제 2차 할힌골 전투의 불씨가 되었다.

제1차 할힌골 전투를 승리로 이끈 페클렌코는 모스크바에서 훈장을 받았다. 몇몇 문헌에서는 페클렌코가 숙청되었다고 서술하고 있으나 이는 하산 호 전투의 사령관인 바실리 블류헤르 원수와 혼동한 오류에 지나지 않다.[3] 페클렌코의 후임으로 부임한 사람은 주코프였다.

제2차 할힌골 전투

전투 중반-소련, 몽골 연합의 우세

6월 27일, 일본 관동군 항공대는 107대의 항공기를 동원하여 톰스크 일대의 소련의 항공기지를 급습하였다. 톰스크 공군 기지의 절반이 파괴되었고 소련은 100대가 넘는 항공기를 상실했다.

소련군 전차

이와 같은 급습을 당한 소련은 보복전을 준비하였다. 당시 소련의 외무인민위원이었던 몰로토프는 앞으로 전개될 보복전이 단순히 톰스크 기지의 피해를 앙갚은 하는 것을 넘어 만주와 몽고의 국경을 정함에 있어서 소련의 우위를 점하는 것에 목표를 두어야한다고 역설을 하였다. 몰로토프의 주장에 대해서 스탈린은 옳다고 생각하여 벨라루스 관할군 부사령관이었던 게오르기 주코프를 할힌골 전투의 총지휘관으로 임명하였다.

할하 강 서안에서 일본군의 반격에 맞서 싸우고 있는 몽골군

일본은 이로서 관동군 내에서도 정예라 불리는 제 7사단을 투입했다. 이로써 일본군은 돌이킬 수 없는 수렁에 빠지기 시작하였다.

쌍방의 병력 상황

주코프 장군은 모스크바에 대규모의 지원 병력을 요청했다. 모스크바는 이에 화답하여, 주코프의 요청의 2배가 넘는 병력을 주코프에게 보내주었다. 그 결과, 주코프 장군의 소련군은 3개 소총사단, 2개 전차사단, 2개 전차여단, 2개 차량화보병사단, 전투기폭격기 557대를 보유하게 되었다. 전차는 498대에 이르렀다. 주코프는 이 물자들을 눈에 띄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전장까지 이동시켰다.

이에 맞서는 일본군은 전차 135대와 항공기 250대를 보유했다. 소련군은 일본군의 전차보다 성능이 뛰어난 전차를 많이 보유하였다. 일본군의 주력 전차는 89식 중전차나 97식 전차로, 대부분 소련군 전차와 기갑전을 벌이기에 부족하였다 . 소련군 전차는 BT-5[4], T-26[5] 등이 있었다. 전투에 임하여 일본군 기갑병력은 열세를 드러 내어 큰 피해를 입고 후퇴하는데 급급하였다. 일본군 포병도 소련군 포병의 압도적인 화력과 기세에 눌렸다. 일본군에게 점차적으로 위기가 다가오고 있었다.

전투 후반-주코프의 반격, 소, 몽 연합의 압도적 승리

7월 2-3일에 80대의 전차와 100문이 넘는 대포로 일본군 10,000여 명이 공격해 왔으나 446대의 전차와 장갑차를 장비하고 있던 소련군에게 대패했다. 일본군은 악착같이 맞서 싸우기는 했으나 결국 수천여 명의 사상자를 낸 채 4-5일에 걸쳐 일방적으로 패주했다. 일본군 전사자들 가운데는 익사자도 적지 않았다. 소련군도 수천여 명에 달하는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할하 강을 도하 중인 소련군 전차

일본군의 공세가 소진되기를 기다린 주코프는 현대화된 기갑 전력을 이용하여 8월 20일 대규모의 포병력과 차량화 보병을 이용한 화력지원을 하고 폭격기와 전투기를 동원한 공중지원과 함께 기갑전력(3개 기갑여단, 2개 기계화여단)과 보병을 포함한 50,000여 명의 대병력으로 하여금 강을 도하하게 하는 대담한 기동 작전을 감행했다.

또한 500여 대의 전투기폭격기가 20일 새벽 5시 45분부터 일본군 진지에 대규모 폭격을 가했다. 이와 동시에 대규모의 포격도 일본군 진지를 향해 가해졌다. 2만 수천여 명의 잔존 일본군은 강력히 저항하면서 소련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지만[6], 소련-몽골군의 500여 전차와 50,000여 병(3개 보병사단, 1개 전차여단)은 피해에 아랑곳하지 않고 일본군을 포위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일본군 제 23사단은 8월 25일에 이르러 소련군의 넓은 포위망 안에 갇혀버렸다.

포로로 잡힌 일본군

8월 26일에 일본군은 제 23사단을 구원하기 위한 작전을 펼쳤지만, 실패하였다. 그 다음날인 27일에는 제 23사단이 포위망을 돌파하였지만 이마저 실패하였다. 일본군이 항복에 머뭇거리는 사이, 소련의 포격과 항공 폭격이 일본군 진영에 계속인 타격을 가하였다. 31일에 이르자, 일본군은 사실상 붕괴하였다. 제 23사단의 잔여병력은 만주국 국경으로 겨우겨우 빠져나갔다. 관동군은 투입된 병력의 절반을 손실하였다. 전투가 벌어졌던 할힌골은 드넓고 황량한 평야 지대였기에, 기계화되고 근대화된 소련군이 역량을 펼치기에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것이었다.(일본의 '총검 백병주의'도 이 때 무참히 깨졌다.)

노획된 일본군 전차

관동군 6군 전체가 소련군 포위망에 갇혀버렸는데, 특히, 관동군 6군 제 23사단은 피해율이 70%-80%에 달할 정도였다.[7] 제 23사단의 대부분이, 전투가 벌어지기 불과 1년 전에 만들어진 사단이었고, 병력의 거의 대부분이 신참 징집병이며, 물자도 다른 보병사단보다 형편이 없었다.[8][9]

2주 만에 관동군은 할힌골 전장에서 처참하게 전멸당한채 후퇴했다. 중국군과의 전투에서 항상 승승장구 하였던 일본 육군은 최초의 대참패를 맛보았다.

이후

하산 호 전투 및 할힌골 전투에서의 패배로 인해 일본은 극동 지방으로의 진출을 다시 고려해야 했다. 이 무렵 일본은 중국과 전쟁 상태에 있었고, 독일 및 이탈리아와 방공 협정을 맺어 국제적으로도 고립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1940년 일본은 소련과 소련-일본 중립 조약을 체결했다. 이후 일본은 극동 지방을 공략하는 대신, 중국 본토를 침공하였다. 1941년부터 실제로 두 국가는 전쟁을 거의 벌이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일본의 경우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미국 및 연합국과의 전쟁에 휘말렸기 때문이고, 소련의 경우에는 바르바로사 작전 이후 독일과 전쟁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후 얄타 회담에서 소련의 일본 침공안이 협의되기 전까지 두 나라 사이에 직접적인 전투가 없었다. 실제로 독일은 일본에게 소련 침공을 요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소련을 공격하지 않은 이유는 할힌골 전투의 패배 이후 소련-일본 중립 조약이 큰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각주

  1. Charles Otterstedt, Kwantung Army and the Nomonhan Incident: Its Impact on National security
  2. 단, 전차는 양측에 모두 단 한 대도 존재하지 않았다.
  3. [1]
  4. 특히 BT-5의 경우, 그 명칭이 '경전차'임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의 중전차를 압도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었다. 크리스티 현가장치를 채용하여 기동력이 매우 좋았으며, 탑재된 45mm 주포도 성능과 위력이 매우 뛰어나서 1,000m 이상의 거리에 있는 일본군 전차의 정면장갑을 관통할 정도였다. 또한, BT-5는 나중에 제 2차 세계대전의 소련군의 주력 전차로 쓰일 유명한 T-34의 모델이 된다. 그 대신에, 경전차답게 비록 이동 능력은 뛰어났으나 그 대가로 BT-5는 전차로서의 방어력은 거의 포기 직전(경사 장갑을 채용하긴 했지만)에 이르렀다.)
  5. T-26은 소련에서 대량으로 생산되어 에스파냐 내전당시 에스파냐 공화파에 지원한적이 있었다.
  6. 주로 화염병으로 인한 피해가 컸다. 또한, 당시 소련군에 맞서는 일본군의 주력이자 거의 유일한 대전차무기였다. 화염병으로 인해 소련군은 200-300대의 전차와 장갑차를 손실당했다.소련군의 전차가 대량으로 격파된 이유는 주코프의 공명심과 작전 미숙에도 문제가 있었지만, 방어력 문제도 한몫 단단히 거들고 있었다.
  7. 일반적으로 전멸은 30%-40% 정도의 피해율을 입었을 때에 쓰는 용어이다.
  8. アルビィン.D.クックス著 『ノモンハン 草原の日ソ戦-1939(下)朝日新聞社 1989年12月発行 第252頁~第253頁(앨빈 D. 쿡스(Alvin D. Coox) 저(著) {노몬한 초원의 일본-소련전 1939 (하) 아사히 신문사 1989년 12월 발행 제 252면 ~ 제 253면}
  9. 다나카 카츠히코 히토츠바시 대학 명예교수가 펴낸 책 노몬한 전쟁 제 2면에서는 일본군은 2만여명이 넘는 병사들의 목숨을 바쳐...라는 내용이 쓰여져 있다. 또한, 일본의 작가 한도 카츠토시(일본어: 半藤一利)는 자신의 저서 노몬한의 여름'에서 1966년 10월 20일의 야스쿠니 신사에서 전투 전몰자들을 위한 위령제가 치러진 다음날 신문은 일본측 전사자를 18,000여 명이라고 보도했다고 썼다. 우시지마 야스치카는 저서에서 일본군이 발표한 소련 사상자 숫자가 실제보다 2배 부풀려져 있고, 반대로 일본군 사상자는 절반으로 깎였다고 썼다.

참고 문헌

  • Coox, Alvin D.: Nomonhan: Japan Against Russia, 1939. Two volumes; 1985,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0-8047-11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