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침례교: 두 판 사이의 차이
→장로파 청교도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1647): 정보 및 출처 추가
(→장로파 청교도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1647): 정보 및 출처 추가) |
|||
== 장로파 청교도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1647) ''' ==
[[파일: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title page.jpg|섬네일|오른쪽|x250px|Title page of a 1647 printing of the Confession]]
청교도들은 영국 의회의 후원으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작성했다. 총회의장
== 독립파 청교도의 사보이 신앙고백(1658)==
[[파일:Savoyconfession.gif|섬네일|왼쪽|x250px|사보이 신앙고백(1658) 표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작성에 참가한 7명의 독립파 청교도들은 적은 숫자였으나 영향력이 상당했다. 토마스 굿윈(Thomas Goodwin, 1600-1680)은 박식한 신학지식과 출중한 리더쉽으로 고백서 초안 작성에 상당 부분 기여했다.<ref> 오덕교, 청교도 이야기, 이레서원, p.122-123.</ref> 제레마야 버로우스(Jeremiah Burroughs, 1600-1646)는 경건과 훌륭한 인품을 바탕으로 서로 간의 교회정치 불일치를 해소하는데 크게 활약했다.<ref> Joel Beeke and Randall J. Pederson, Meet the Puritans, RHB, 2006, p.119-120.</ref> 필립 네이(Philip Nye, 1595-1672)는 웨스트민스터 총회 회의 장면을 그린 존 R. 허버트의 그림에서 의장 윌리엄
1658년 10월 12일 독립파 청교도들은 사보이 궁에서 "사보이 신앙고백"(The Savoy Declaration)을 발표했다. 작성은 청교도의 황태자로 불리던 존 오웬(John Owen, 1616-1683)과 웨스트민스터 총회에 참가한 토마스 굿윈이 주도했다. 내용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기반으로 했으나 교회정치 부분은 수정했다. 장로교회의 장로주의가 감독주의의 온건한 형태와 다르지 않다고 보고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는 교회로의 개혁이 불가피하다고 본 것이다. 웨스트민스터 총회 참가자 토마스 굿윈(Thomas Goodwin), 필립 네이(Philip Nye), 윌리엄 브릿지(William Bridge, 1600-1670), 조셉 카릴(Joseph Caryl), 윌리엄 그린힐(William Greenhill) 등이 사보이 신앙고백서 작성에 참여했고 존 하웨(John Howe)를 포함한 약 120여개의 교회들이 서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