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갈: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태그: m 모바일 웹
61번째 줄: 61번째 줄:


=== 안차골부(安車骨部) ===
=== 안차골부(安車骨部) ===
안차골부는 백돌부의 동쪽에 있다고 되어 있다. 오늘날 [[아십하]](阿什河)를 [[만주어]]로 알추카(阿勒楚客, {{llang|mnc|{{만몽 유니코드|ᠠᠯᠴᡠᡴ᠋ᠠ}}|}})라 했고, 금대 [[여진어]]로는 안춘(按出虎, {{llang|juc|Antʃu-un}})라고 했다.<ref group="주">'금'을 의미한다.</ref> 이는 안차골과 발음이 아주 흡사하다. 이런 점에서 안차골을 아십하 유역에 있던 말갈이라 보는 데 많은 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다. 아십하 하류의 황가외자(黃家崴子), 황산(黃山) 남북산성자, 묵리가(墨里家)와 고태자(高台子) 등지에서 발견된 문물들이 곧 안차골부의 문화 유존이라고 보고 있다.
안차골부는 백돌부의 동쪽에 있다고 되어 있다. 오늘날 [[아센허]](阿什河)를 [[만주어]]로 알추카(阿勒楚客, {{llang|mnc|{{만몽 유니코드|ᠠᠯᠴᡠᡴ᠋ᠠ}}|}})라 했고, 금대 [[여진어]]로는 안춘(按出虎, {{llang|juc|Antʃu-un}})라고 했다.<ref group="주">'금'을 의미한다.</ref> 이와 안차골과 발음이 흡사하다고 추정하는 점에서 안차골을 아십하 유역에 있던 말갈이라 보는 데 많은 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다. 아십하 하류의 황가외자(黃家崴子), 황산(黃山) 남북산성자, 묵리가(墨里家)와 고태자(高台子) 등지에서 발견된 문물들이 곧 안차골부의 문화 유존이라고 보고 있다.<ref name="SUK"/>
 


이 유적들은 러시아인 러리에즈니에커부가 1937~1947년에 조사했다. 그 가운데 황가외자는 [[흑룡강성]] [[하얼빈시]]의 동쪽으로 10~11km 거리의 아십하 우안에 위치하고 있는 고분군이다. 황가외자둔에서 서남쪽으로 1km 떨어져 있다. 이 고분군에서 출토된 도기는 몸체 장식과 가장자리 테두리로 보아 황산고성 유지와 고태자 흙구릉상에서 발견된 도기와 유사하다고 한다. 흑회색·흑갈색·회갈색·황갈색의 도관이 발견되었는데, 모두 모래가 섞여 있으며 물레를 사용하여 만들거나 물레에서 다듬은 것이었다. 도기들에는 구연부나 경부에 화문 등의 무늬가 새겨져 있었으며,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구운 것이다.
 
이외에 귀걸이와 철촉 등도 출토되었고 인골과 말, 돼지, 개, 그리고 쥐의 뼈들도 발견되었다. 이 중 말뼈가 가장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대부분 턱뼈와 치아가 많았다고 하는데, 이는 "죽은 자를 묻을 적에는 관곽이 없었으며, 그가 타던 말을 잡아 제사한다."고 한 『신당서』의 구절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아마도 장례가 끝난 후 말을 순장하는 의례가 있었던 것이 아닌가 싶다. 발굴자는 이를 읍루족의 후예인 말갈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았는데, 위치로 보아 안차골 말갈의 유적일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 불녈부(拂涅部) ===
=== 불녈부(拂涅部) ===
불녈부는 위치 비정상 차이가 많은 부의 하나인데, 그 중에서도 [[흥개호]] 일대로 보는 설과 [[목단강]] 유역의 영안 지역으로 보는 설이 가장 많다. 영안에서는 말갈로부터 [[발해]] 시기로 이어지는 고분군이 대규모 발견되었는데, 다른 말갈 고분과 성격 차가 현저해서 주목 대상이 되고 있다. 영안시 발해진(渤海鎭)의 서석강고분군(西石崗古墳群), 즉 홍준어장고분군(虹鱒魚場古墳群)이 그것이다.
불녈부는 위치 비정상 차이가 많은 부의 하나인데, 그 중에서도 [[흥개호]] 일대로 보는 설과 [[목단강]] 유역의 영안 지역으로 보는 설이 가장 많다. 영안에서는 말갈로부터 [[발해]] 시기로 이어지는 고분군이 대규모 발견되었는데, 다른 말갈 고분과 성격 차가 현저해서 주목 대상이 되고 있다. 영안시 발해진(渤海鎭)의 서석강고분군(西石崗古墳群), 즉 홍준어장고분군(虹鱒魚場古墳群)이 그것이다.

2019년 6월 6일 (목) 22:14 판

말갈(靺鞨; 중국어: 靺鞨, 병음: Mòhé)은 《북제서》 무성제기(武成帝紀) 하청(河淸) 2년조(563년)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북제에 대한 말갈의 조공은 무평(武平) 6년(575년)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수서》 단계에 이르러서는 독립된 열전이 설정되었다.[1]

말갈 유적에서는 도기를 비롯하여 청동 장식품, 철제 공구, 무기, 갑옷, 마구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그런데 그 내용을 보면 철제 무기류가 많은데 비해 농기구류는 수량과 종류가 그다지 풍부하지 않은 편이다. 이는 말갈이 전형적인 농경인이 아니라 반농반수렵민이라는 것을 잘 보여 준다.[1]

어원

말갈 명칭의 출현과 처음 이 명칭을 쓴 대상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중국의 말갈사 연구 중 어원(語源)에 관한 것은 중요한 연구 중 하나가 되었다. 현재 물길과 말갈의 관계에 대해서는 동일한 대상의 전음 또는 이역(異譯)이었다는 것으로 정리가 되었다. 어원과 관련해서 최근 논의되고 있는 것은 거주지역 또는 특정 물건이 종족을 가리키는 고유명사가 되었다고 보는 견해와 종족 융합으로 새로운 명칭이 나왔다고 보는 견해들이 있다. 이러한 견해들은 새로운 것이 아니고 이전의 주장들을 계승·발전시킨 것에 해당한다.[2]

무커() 설

러시아의 학자 A. V. 그레벤쉬취코브(Grebenščikov)는 의하면 말갈이라는 명칭은 물(水)을 의미하는 만주어의 무커(만주어: ᠮᡠᡴᡝ Muke)에서 나오고, 읍루라는 명칭은 소굴(巢窟)·동혈(洞穴)을 뜻하는 만주어 예루(만주어: ᠶᡝᡵᡠ Yeru)에서 나왔다고 하였다.[3] 물길의 경우는 Wu-tsi라고 발음하는데, 여진어에서 삼림을 의미하는 Wei-ji·Veďi·Udi와 같은 말로 생각된다는 견해로 보면[4] 물길은 삼림에서 생활하던 사람들을 의미하게 된다. 이렇게 보면 말갈은 물가에서 생활하던 사람들을 가리키는 것이 된다. 따라서 물길과 말갈은 각각 삼림과 강을 생활의 터전으로 삼은 것이 되어 차이를 보이게 되지만, 크고 작은 산맥의 연속과 그 사이 곳곳에 강이 흐르는 만주의 지형을 보았을 때 과연 위와 같이 엄격하게 생활 터전을 구분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다.[5] 이에 대해서도 말갈을 물길의 고음을 ‘Muki’로 보아 말갈의 고음이라 추정되는 'Maxo'와 연결시킨 의견도 있다.[6]

물길 전음설

전음설을 살펴보면 대부분 물길과 말갈이 족칭이 바뀐 것이 아니라 동일한 단어가 시기적인 차이를 두고 다르게 번역된 것으로 본다. 물길과 말갈을 같은 음이라고 보는 가장 기본적인 근거는 《통지(通志)》로, ‘말갈(靺鞨)’ 이라는 단어의 주음에서 “물길, 말갈은 그 음이 서로 근접 한다(勿吉, 靺鞨其音相近)”라는 기록이다. 그런데 현대 중국어에서 물길(중국어 정체자: 勿吉, 병음: Wùjí)과 말갈(중국어 정체자: 靺鞨, 병음: Mòhé)은 음이 완전히 다르다. 게다가 말갈은 대부분 말갈(靺鞨)로 표기되었지만, 이역(異譯)으로 말갈(중국어 정체자: 靺羯, 병음: Mò jié)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길과 말갈을 같은 말로 보는 입장에서는 수당대의 독음을 연구하여 당시에는 비슷한 음이었음 밝히고 있다.[2]

웨이궈중은 당대의 ‘말갈(靺鞨)’ 은 ‘말갈(靺羯)’ , 즉 말걸(중국어 정체자: 末杰, 병음: Mòjié)로만 읽을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7]

쑨위량과 자오밍치는 말갈이 처음 출현했을 때 ‘靺鞨’ 이 아닌 ‘ 羯’ 로 썼고 'weijie'로 읽었다고 한다. 즉 ‘ ‘靺羯’이 물길의 음전이라는 것이다. ‘靺羯’ 이 말갈(靺鞨)로 개작(改作)된 것은 모양이 비슷해서가 아니라 독음상의 변화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것이 현대에 와서 중화서국(中華書局) 교점본(校點本) 『24사(二十四史)』가 간행되면서 ‘ ’ 을 전부 ‘靺’ 로 고치고, ‘ 羯’ 대신 철저하게 ‘靺鞨’ 을 사용하게 되었다 한다.[8][9]

자오잔은 한자의 옛 음에 따르면 말 물(勿)자는 막발절(莫勃切)로서, 그 음은 몰(沒, mo)이요, 길할 길(吉)자는 격질절(激質切)로서, 그 음은 길(拮, jie)이고, 《북제서(北齊書)》에 제일 먼저 물길(勿吉)을 말갈(靺鞨)[주 1] 어음상으로 보면 물길(勿吉)은 말갈(靺羯)과 독음이 매우 비슷하여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러나 羯자에는 양 양(羊)자의 변이 있어 종족의 명칭로서는 아마 점찮지 않은 말로 여겨져서 또 羯자를 鞨자로 고치게 되었을 것이라 추측했다. 또한 鞨자에는 여러 가지 음이 있는데, 하갈절(何葛切)은 그 음은 갈(曷, he)으로, 현재 말갈(靺鞨)의 갈(鞨)은 일반적으로 모두 갈(曷, he)의 독음을 취한다고 주장했다.[10]

거주지에서의 유래설

장보촨은 물길, 말갈, 발해의 명칭 모두 하나의 음이 변한 것이라는 주장하였다.[11] 퉁구스어족의 독음에서 m과 b, p, f는 서로 통하고, j, g는 서로 통하기 때문에 물길, 말갈(靺羯), 말갈(靺鞨)은 같은 음이었고 역시 발해로 변할 수도 있었다는 것이다. 물길, 말갈, 발해는 만주어의 워지(窩集, 만주어: ᠸᡝᡷᡳ Weji)로 그 뜻은 ‘산림’ 을 가리킨다. 물길 또는 말갈은 산과 물을 따라 거주했는데(居山水), 이들을 남북조 시기의 선비족이 물길이라고 불렀던 것이 중원에 전달된 것이라고 보았다. 우선 勿은 沒, 靺처럼 읽히고, 末의 소리에서부터 渤이 전음되었다는 것이다. 선비어에서 沒, 沒里라고 부른 것은 동호족의 물(水)을 가리키는 말인 木, 沐, 혹은 沐漣, 木倫과 같다고 한다. 吉, 羯, 鞨의 경우 하나의 음이 변한 것으로, j, g가 서로 변하고 k, h로 전독(轉讀)되었는데 그 뜻은 사람이다. 즉 물길·말갈계는 수변에 거주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것으로, 강인(江人)·강민(江民)을 북위가 물길로 불렀던 것이 말갈로 전음되었다는 것이다.[2] 일본의 시라토리 구라키치는 강의에서 말갈이 동북지방의 여진족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물길·말갈의 어원을 흑룡강을 뜻하는 ‘Magu’에서 유래하였다고 주장했다.[12]

특정 물건에서의 유래설

판언스는 말갈이라는 명칭 자체는 한반도에서 사용되었으며, 이것이 중국에 전해진 것은 고구려에 복속된 백산말갈이 중원과 접촉하게 되면서라고 보았다.[13] 그리고 말갈이라는 단어 자체는 숙신계의 석노(石砮)에서 유래했다고 보았다. ‘말갈(靺羯{鞨})’ 단어의 독음을 살펴보면, 먼저 (靺)은 mo, wa 두 개의 음이 있었다. 이중 비교적 일찍 나타난 것이 wa음이다. 중고한어의 a음류는 대부분 ə로 발전했고, 남북조 말기 이후에 말(靺)도 wə로 바뀌어 읽혔다. 말(靺)자가 mə로 읽히게 된 것은, 중고음 중에 w, m 두 개의 성모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아 m으로 많이 읽었기 때문이다. 갈(羯)자는 고대에 경전을 번역할 때 ka]음에 많이 이용되어 羯麻(karma), 羯那陀(kanada), 羯陵伽(kalinga)처럼 음역했다. 갈(羯)이 jie로 읽히면서 갈족(羯族)을 가리키게 된 것은 비교적 뒤늦게 나타난 현상으로 말갈(靺羯)의 갈(羯)은 ka로 읽어야 한다. 그리고 k, h는 동일하게 설근음(舌根音)으로 중고에서는 통음(通音)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갈(鞨)자로 바꿔 사용한 이후, 통전되어 갈(羯)자는 he로도 읽혔다. 말갈(靺羯)의 음은 현대 만주어의 석두(石頭, 만주어: ᠸᡝᡥᡝ Wehe)와 여진어의 석두(여진어: wəhə)의 음과 같다. 판언스는 백제·신라 사람이 석촉을 사용하던 숙신인의 종족적 특징 때문에 이들을 처음으로 말갈(靺羯, Wehe)라고 불렀던 것에서 말갈 명칭이 유래되었다고 보았다.[14]

그런데 위진남북조 시기에 이르러 입공물(入貢物)인 석촉이 일종의 홍색 보석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중원인이 이 보석을 말갈(靺羯)로 부르게 된 것이라고 봤다. 수당 이후에 와서는 성모학(聲母學)이 정식으로 생겨서 갈(羯)자의 독음이 ‘거알절(居謁切)’로 고정되었고 ‘갈(鞨)’ 자가 새롭게 만들어져 he음을 대체함으로써 ‘말갈(靺羯)’ 서술에서 점차 말갈(靺鞨)로 변화했다고 보았다.[15]

새로운 족명설

리더산(李德山)은 물길은 숙신과 예맥족이 융합되어 형성된 새로운 명칭으로 원래 ‘맥신(貊愼)' 인데, 북위가 독음할 때 ‘물길’ 로 발음하면서 전음된 것으로 보았다.[16] 리더산은 280년 고구려와의 전쟁으로 숙신인 600여 가가 고구려에 의해 사민 당하고, 6~7개 부락이 항복했던 사례와 매번 고구려를 노략했다는 기사, 북위 시기 부여가 물길에게 쫓겨난 기록, 고구려의 10부락을 공파한 사건 등을 들어 이 과정에서 예맥계와 숙신계가 융합되었다고 주장했다. 특히 고구려가 북위 등 선비계에 의해 압박을 받던 시기에, 새롭게 숙신계가 대거 남하하여 종족 융합이 이뤄졌다고 보았다. 이때 송화강 중하류 유역으로 진입한 숙신계의 일부가 부여인을 복속시키고, 옥저 지역으로 남하한 일부는 이들 지역을 장악한 후 각각 그 지역의 예맥계와 그 이전 시기에 남하했던 숙신인들과 융합하면서 숙신인이 주체가 된 새로운 민족을 탄생시키는데, 물길이라는 명칭은 이 때문에 생겼다고 보았다.[17]

삼국사기》의 말갈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초기 기사에서는 강원도와 함경도 지역으로 추정되는 지역 주민들을 말갈이라 지칭하고 있다. 그 성격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표명되었다. 대개는 후대의 말갈과는 별개의 집단으로 서 예족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18] 이를 세분하여 백제본기에 나타나는 말갈의 활동범위는 강원 영서와 경기 북부로서 이들은 맥계이며 적석총을 남긴 것으로 보고, 신라본기의 말갈은 강릉 이북의 예계라는 견해도 있다.[19] 만주 지역에 거주하던 숙신인 일부가 주변 외족들의 압력을 받아 동북방으로 옮겼는데, 일부는 연변지구로 들어갔고, 일부는 백두산을 넘어 자연조건이 훨씬 좋은 남쪽으로 내려가 원주민의 힘이 약한 옥저지구로 들어간 것이 《삼국사기》백제본기의 말갈이라는 설도 있다.[20]

《삼국사기》 편찬자의 입장에서는 강원도, 함경도 지역의 주민들을 무어라 지칭 할 것인지 고심하였을 것이다. 종족이나 정치체로서 읍루, 마한, 진한, 변한에 속하지 않고, 국명으로서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도 아닌 이들을 부르기 위한 명칭을 찾을 수 없는 제한된 현실에서 고육지책으로 사용한 용어가 말갈이라고 본다.[주 2] 이 말갈이 고구려 후기의 말갈과 동일한 실체일 수 없다.[21]

말갈의 7부의 위치

중국의 고구려 영역도

현대 중국 학계에서는 말갈 제부의 실제 규모와 상관없이 이들의 활동 지역을 곧 광역의 말갈 영역으로 인식함으로써 위 지도에서 보이듯 고구려의 동북 영역을 크게 축소시켜 놓았다. 특정 시기에는 적어도 속말부와 백산부의 영역이 고구려 영역에 포함되었고, 백돌ㆍ안거골ㆍ불열ㆍ호실부 역시 간접 통치의 범위에 속한다고 보는 한국 학계의 인식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고구려는 지방을 지배할 때 일부지역 집단에는 간접 지배의 방식을 취하면서 고구려 문화를 강제하지 않았다. 고구려가 말갈에 대해 직접지배 방식이나 고구려 문화를 강제하지 않은 것은 고구려의 세력이 상대적으로 약했기 때문이 아니라 지방통치의 효용성에 따른 것이었다. 그리고 말갈 제부 중 속말과 백산은 일찍이 직접지배로 전환된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속말말갈 지역인 길림시 일대에는 용담산성, 동단산성, 삼도령산성 등 고구려 산성이 축조되어 있었고, 백산말갈 지역에는 살기성을 중심으로 훈춘시 경내와 성자산산성 및 용정시와 연길시 경내 등에도 고구려 산성이 분포했다. 산성은 4세기 이후 고구려의 지방 지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적으로, 산성의 존재는 고구려의 지방관이 산성을 거점으로 지방 통치를 수행했던 흔적으로 추정된다.[22]   수, 당과의 전쟁시 고구려의 말갈병 동원상황을 통해서 볼 때 고구려의 말갈 지배가 원활하게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즉 고구려 후기에 이들 지역의 말갈족은 고구려민으로 존재했던 것이다. 백돌ㆍ안거골ㆍ불열ㆍ호실부의 경우 간접 지배를 받았지만 그들도 고구려민으로 존재했었기 때문에 고구려가 멸망하고 난 뒤 대부분 자신의 단위체를 유지하지 못하고 '분산미약(奔散微弱)'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유물이나 유적을 정치적 영역이나 세력권을 파악하는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는 것은 고구려에 적용하기 힘들며, 역으로 말갈 유적 분포 현황을 가지고 곧바로 말갈의 영역이나 세력권으로 보는 것도 실상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22]

말갈 특수부대의 활동이 본격적으로 가동된 것은 수·당 전쟁의 때로 국왕 직속 군대로 편제된 말갈족은 고구려 멸망기와 부흥운동의 과정에서 활동상을 보여주었는데, 이 경우 말갈족들은 고구려 주민의 일원으로서 외부의 적을 맞아 나라를 지키는 고구려군으로 활동했다고 본 것이다. 이 견해에 따르면 말갈족들이 부흥운동을 일으킨 것과 훗날 고구려 계승을 표방하는 발해 건국에 적극 참여한 것도 결국 그들이 고구려인으로 살았고 스스로도 고구려민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완전한 고구려인으로서 활동했던 말갈족이 바로 수·당대 말갈 7부 가운데 속말말갈과 백산말갈이라고 보았다.[23][24] 그러나 부락 공동생활을 해왔을 속말말갈의 경우 고구려에 귀부하여 한 세기도 경과하지 않은 동안, 고구려인과 달리 얼마나 고구려화하여 고구려인으로서 정체성을 갖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설혹 일부가 고구려인으로서 자부심을 갖고 살았다 하여 그들이 곧 고구려 종족은 아니다. 종족은 본인의 귀속의식과 무관한 자타공히 인지할 수 있는 혈통을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진 나름의 역사와 문화 등을 영유한 구별 가능한 인간집단으로, 송기도 전통적 관점에서 모종의 사료에 근거하여, 발해 건국 세력의 일부를 속말말갈 종으로 파악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25]

속말부(粟末部)

《수서》에는 속말부가 "고구려와 인접해 있다."고 서술하고 있다. 속말말갈은 흑수말갈과 함께 말갈 7부 가운데 위치 비정상 논란이 가장 적은 집단이다. 속말말갈과 흑수말갈은 모두 거주지 인근의 강 이름에 따라 부명(部名)이 일컬어졌다. 즉 속말말갈은 속말수, 지금의 송화강가에 사는 말갈이라고 보는 데 의견이 일치한다.[26]

속말말갈의 유적지는 제2 송화강 유역을 따라 분포되어 있다. 대표적인 유적으로 길림 영길(永吉) 양둔(楊屯) 대해맹(大海猛) 유적의 상층 문화층과 유수(楡樹) 노하심(老河深) 유적의 3기층, 그리고 영길 사리파(査理巴) 고분군 등이 있다. 이외에 길림시 북쪽 구태현(九台縣)의 송화강 서쪽 연안 상류 지역에서 발견된 산채(山寨) 7좌 유적이 있으며, 화전현(樺甸縣)과 덕혜현(德惠縣) 등 길림 인근 지역에서도 속말말갈의 주거지와 무덤이 발견되었다.[26]

속말말갈 유적에서 발견되는 공통점은 군사적인 색채가 강하다는 것이다. 양둔 대해맹을 비롯한 속말말갈 유적에서도 농기구류보다 무기류가 압도적으로 많이 출토되었다. 예를 들어 도, 검, 비수, 창, 화살과 갑옷, 마구 등이 나와 이미 비교적 완벽하게 무기 체계를 갖추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생산 공구는 도끼·자귀·낫 등이 있었지만 그 양이 무기류에 비해 적었고, 종류도 다양하지 않았다. 군사적인 성격이 강한 세력 집단이었다는 것이 유물을 통해서 입증이 되고 있는 것이다.[26]

문헌 자료에 의하면 속말말갈은 고구려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면은 고고학적인 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즉 속말말갈의 유적에서 출토된 손잡이가 달린 단지(雙耳罐)는 고구려의 그것과 매우 유사하다. 이 고분군에 존재하는 석광묘와 함께 고구려 문화의 영향을 잘 보여 주는 유물이다.[26]  

백돌부(伯咄部)

백돌부는 속말부 북쪽에 있으며 정병(精兵)이 7천이라고 한다. 백돌말갈에 대해서는 명칭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백도눌 지방으로 보는 설이 가장 다수를 점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유수도 백돌말갈의 거주지에 포함된다고 보는 연구자들이 늘어났다. 특히 이곳에 있는 노하심 유적을 백돌말갈의 유적지라고 구체적으로 지목한 연구 성과도 제출됐다.[26] 반면 부여(백도눌)와 납림하 유역 쌍성(雙城)을 포함한 주변 일대가 백돌말갈의 근거지였을 것이라 추측하기도 하지만 이 일대에서는 아직까지 말갈 관련 유적 보고는 현재까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26]  

안차골부(安車骨部)

안차골부는 백돌부의 동쪽에 있다고 되어 있다. 오늘날 아센허(阿什河)를 만주어로 알추카(阿勒楚客, 만주어: ᠠᠯᠴᡠᡴ᠋ᠠ)라 했고, 금대 여진어로는 안춘(按出虎, 여진어: Antʃu-un)라고 했다.[주 3] 이와 안차골과 발음이 흡사하다고 추정하는 점에서 안차골을 아십하 유역에 있던 말갈이라 보는 데 많은 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다. 아십하 하류의 황가외자(黃家崴子), 황산(黃山) 남북산성자, 묵리가(墨里家)와 고태자(高台子) 등지에서 발견된 문물들이 곧 안차골부의 문화 유존이라고 보고 있다.[26]  

불녈부(拂涅部)

불녈부는 위치 비정상 차이가 많은 부의 하나인데, 그 중에서도 흥개호 일대로 보는 설과 목단강 유역의 영안 지역으로 보는 설이 가장 많다. 영안에서는 말갈로부터 발해 시기로 이어지는 고분군이 대규모 발견되었는데, 다른 말갈 고분과 성격 차가 현저해서 주목 대상이 되고 있다. 영안시 발해진(渤海鎭)의 서석강고분군(西石崗古墳群), 즉 홍준어장고분군(虹鱒魚場古墳群)이 그것이다.

서석강 유적은 1990년에 성급 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는데, 양어장을 만드는 과정에서 더 많은 무덤이 발견되어 뒤에 조사 지역을 넓히게 되었다. 그리고 유적 이름도 홍준어장묘지(虹鱒魚場墓地)로 칭하게 되었다. 1992년부터 1995년까지 다시 발굴을 진행하여 323기의 고분과 제단 7기 및 거주지 1기를 조사했다. 이 유적지에서 출토된 유물은 총 2000여 건으로 최대 규모이다.

그러나 이 유적에 대한 종합적인 발굴 보고서가 나오지 않았다. 따라서 유적 내의 고분과 제단의 조성 시기가 모두 동일 시기인지, 시기 차가 있는지 등 구체적인 면을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접할 수 있는 정보 가운데 이 글과 관련된 부분만을 참고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그런데 이 고분군에서 출토된 도기의 일부는 양둔 대해맹 고분군의 도기보다 좀 더 이른 시기 것이라고 한다. 서석강 무덤과 홍준양어장의 일부에서 출토된 도기는 절대 다수가 진흙에 모래를 섞어서 손으로 빚어 만든 그릇이다. 그릇 표면 색깔은 누런 색깔, 붉은 색깔, 흑갈색 등 색깔이 고르지도 않은 편이다. 절대 다수 도기의 구연부에 거치상부가퇴문(鋸齒狀附加堆紋)으로 장식을 했으며, 말갈 도기의 전형적인 예인 심복관(深腹罐)과 장경고복관(長頸鼓腹罐)이 많다. 따라서 이 유적이 말갈 유적지인 것만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 고분군에서는 석광묘, 장방형의 석실 봉토분, 전실묘(磚室墓) 등만 확인되었으며 토광묘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것은 말갈과 발해의 문화 발전 단계를 논할 때, 토광묘가 석광묘나 석실분보다 시기적으로 앞선 것이라고 보는 일반론과 큰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이런 일반론과 달리 토광묘와 석광묘에는 일정한 지방 차별이 있을 뿐이라는 견해도 나오게 되었다.   이해에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영안 지역은 중국에 사신을 보내 그 존재를 알리기도 했던 숙신(肅愼)의 고지로서 이곳에 '숙신고성(肅愼古城)'이 존재했다는 이야기가 오랜 뒤에까지 전해졌다. 또 이곳의 정치 세력은 광개토왕대에 이미 고구려와 조공논사의 관계를 맺고 있었다. 즉 고구려에 조공을 하고 내부의 일을 논의하는 관계였다. 이처럼 일찍부터 외부 세력과 교류를 경험해왔으므로 말갈 단계에 이르러서도 다른 말갈 지역과 달리 고구려 묘제를 거부감 없이 수용하게 되었던 것이 아닌가 한다.   어떤 세력의 범위를 보여 주는 표지적인 유적과 유물로 묘제와 토기를 들 수 있다. 다른 유적과 유물에 비해 보수성이 강하기 때문에 어떤 집단의 정체성을 보여 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묘제는 토기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보수성이 강하기 때문에 잘 변화되지 않는다고 본다. 하지만 달리 보면 묘제는 정치적인 영향에 따라 급변하는 경우도 있다. 신라 적석목곽분과 전축분이 백제 무령왕릉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영안 지역 묘제가 다른 말갈 지역의 그것과 현저히 다른 이유도 이런 점에서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요컨대 서석강-홍준어장 유적에서도 역시 말갈관(靺鞨罐)으로 불리는 중순심복관(重脣深腹罐)을 비롯한 말갈도기들이 출토되었다. 그리고 그 중에서 일부 도기는 속말말갈인 양둔 대해맹 3기층에서 나온 도기보다 이른 시기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유적도 말갈 7부 가운데 한 부로 볼 수 있는데, 사료에 나오는 위치 설명으로 보아 이 유적은 불녈말갈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하기도 한다.  

호실부(號室部)

호실부의 위치에 대해서도 학자들 사이에 견해가 나누어져 있다. 사료에는 "불녈의 동쪽에 있다."고만 되어 있어 다른 정보가 없다. 불녈부의 위치도 학자들 사이에 논란이 있기 때문에 자연 호실부의 위치도 정설이 없는 것이다. 현재까지 확인된 말갈 유적의 분포를 고려하여 추정해 보건대 이곳은 수분하에서 연해주에 이르는 지역에 비정할 수 있다. 중국 학계에서 조사한 유적 중에서는 수분하 유역 동쪽 동녕전창(東寧磚厂) 유적 등이 호실말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호실은 옥저와 동음이라고 하면서 이 일대를 동옥저의 분포 지역이었다고 보는 설도 있다. 하지만 옥저의 범위는 수분하 유역까지 미치지 않았다. 옥저는 남옥저, 북옥저 모두 4세기 이전에 이미 고구려에서 지방관을 파견해 직접 통치를 시행했던 지역이다. 4세기 중반경에 조성된 연변 지역의 고구려 장성도 그것을 입증한다. 춘화-책성-연길-용정-화룡을 잇는 선까지 조성된 고구려 동북장성은 읍루와 숙신 등 반농반수렵민의 침략으로부터 고구려주민을 보호하기 위해 조성된 것이다. 따라서 옥저의 범위는 그 이하 선으로 보아야 한다.

연해주에 있는 말갈의 주거 유적과 고분 유적은 러시아에서 조사했다. 1980년대 이래 발굴 조사한 유적만 봐도 주거 유적으로 미하일로브까 유적, 아브라모브까 유적, 라꼬브까 유적 등이 있고, 매장 유적으로 까므이쇼브까 유적과 루자노브까 유적이 있다. 모두 5~8세기경에 조성된 말갈 유적으로 보고 있다.

이 가운데 관심을 끄는 유적이 미하일로브까 유적인데, 1984년에 극동대학 고고학연구소의 유.붸.크리불랴가 발견하여 1985년, 86년도와 1990년도에 조사를 했다. 모두 35기의 집자리가 확인되었고, 1990년도에 5기가 조사되었다. 철제 칼과 창, 교구와 도기 등이 출토되었다. 이 유적 조사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도끼날 철촉이 출토되었다는 점이다. 도끼날 철촉은 고구려의 특징적인 철촉으로 이후 발해 유적에서도 출토되고 있다. 따라서 발해 시기의 유물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고구려와의 관련성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고 보인다.  

흑수부(黑水部)

흑수말갈의 거주지는 흑룡강 주변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 흑수말갈 유적은 대단히 많이 조사되었다. 대표적인 유적으로 러시아 원동(遠東) 지구인 흑룡강 중하류 지역에 있는 나이펠트(乃伊費尒德) 고분군, 수빈(綏繽) 동인유적(同仁遺蹟), 몽북(夢北) 단결묘장(団結墓葬)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나이펠트 고분군은 1960년부터 1961년에 걸쳐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는데, 토광수혈봉토묘가 모두 40기였다. 이 유적은 6세기 말에서 7세기 초에 조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측에서 조사한 대표적인 흑수말갈 관련 유적인 동인유적은 흑룡강성 수빈현에 있는데 1972년에 발굴했다. 이 문화는 두 개의 분기로 나뉘어진다. 동인 1기는 남북조에서 당초, 동인 2기는 오대에서 요에 이르는 시기에 해당한다. 유물로는 도기, 칼, 낫, 자귀, 화살촉 등의 철기가 있다. 그러나 석기가 더 많고 철기는 보편적이지 않다. 거주지는 반지하식이다. 문은 동으로 향해 있고, 화덕은 중간부에서 약간 서쪽으로 치우친 곳에 있었다.

몽북 단결묘장은 1982년 8월에 가목사시(佳木斯市) 문물관리참에서 조사를 진행했다. 무덤 가운데 3기를 시굴해서 도기와 철기 등 표본 20여 개를 획득하였다. 그리고 다음 해인 1983년 가을에 흑룡강성 문물고고공작대에서 이 묘지를 정식 발굴했다. 10기의 무덤을 발굴, 조사했는데 모두 장방형 수혈토갱묘였다.

남아 있는 인골을 관찰한 결과 1인장도 있고, 2인장도 있으며, 1차장인 무덤과 2차장이 이루어진 무덤이 있었다. 또 반수 정도의 무덤에는 목탄 흔적이 남아 있었는데, 이는 화장으로 인한 결과물인 것으로 보고 있다. 확인된 무덤 가운데 반 정도에서는 묘실의 한 면 혹은 다리 부분에 있는 생토대 위에 대형 토기가 놓여 있었다. 이 유적에서는 도기, 철기 등 백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 가운데 토기는 모두 손으로 빚어 만든 것으로 태토는 모래가 섞인 진흙이었으며, 황갈색 혹은 회갈색을 띠고 있었다.

이 유적의 문화 특징을 보여 주는 가장 대표적인 토기는 반구세경심복대관(盤口細頸深腹大罐)이다. 이는 1973년 흑룡강성 수빈 동인유지 하층에서 발굴, 출토된 것과 그 풍격이 거의 일치한다. 이런 점에서 동인유적 하층과 몽북 단결묘장은 같은 고고 문화에 속하는 것으로, 전자는 취락 유적이고 후자는 고분 유적임을 알 수 있다. 유적 연대는 지금으로부터 약 1500년 전으로, 즉 남북조와 수·당 사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성격의 유적은 러시아 경내 흑룡강 중하류 연안에서 많이 발견된다.

흑수말갈로 소급되는 나이펠트 그룹은 7세기 말에는 제야–부레야 저지대에 출연했던 흔적이 발견된다.[27]  

백산부(白山部)

끝으로 백산말갈에 대해서는 백두산 주변과 연변 지역 일대로 보는 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는데, 최근 함경도 쪽으로 내려 보거나 연변 지역과 한반도 동북부 지역을 모두 포괄한 것으로 보는 설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정병이 수천, 또는 7천이라고 나오는 속말말갈, 백돌말갈과 달리 백산말갈은 3천이라고 나온다. 따라서 거주지가 다른 말갈 집단보다 넓지 않았을 것이다. 아마도 돈화와 백두산 일대 지역이 백산말갈의 중심지였고, 그 외 연길·용정·훈춘과 경성 주변 일대를 포함한 지역으로 한정될 것으로 본다.[28]

구당서》에 "백산부는 본시 고구려에 부속되어 있었다. 그로 인해 평양이 수복된 후에 부중(部衆)이 많이 중국으로 들어왔다."는 구절이 나오듯이, 백산말갈은 고구려 지배 아래 일찍부터 편입되었고 오랫동안 그 지배 아래 있었다. 따라서 백산말갈은 다른 어떤 집단보다도 고구려와 더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었다. 발해 건국지가 돈화였던 것도 무관하지 않다.[28]

그러나 백산말갈의 동쪽으로 비정되는 어떠한 말갈 세력도 없음을 감안하며 연해주 남부 일대까지를 고고학적으로 백산말갈의 맥락에서 이해해도 큰 지장은 없기 때문에, 고구려의 책성 치소로 꼽히는 연변과 함께 연해주 일대도 백산말갈의 거주지로 꼽힌다. 그런데 연변지역의 말갈에 대해서는 극히 적은 연구가 있을 뿐 그들의 고고학적 실체는 그리 뚜렷하지 않다. 말갈에 대한 지리적 비정을 한 20여 명의 관련 연구자들은 연변 일대를 중심으로 연변일대와 돈화, 백두산 일대로 본다.[29]

문헌기록을 참고하면 관구검의 침략으로 연변~연해주 일대의 토착 옥저 세력은 큰 타격을 입었고, 고고학적으로 보아도 3~4세기 이 지역 유적이 공백이기라는 점으로도 반증된다. 그런데 편년 논란이 다소 있지만4세기부터는 말갈 유적이 등장한다. 대표적인 예가 블라고슬로베노예 유적이다. 이들 초기 말갈 유적은 폴체문화의 늦은 단계인 줼토야로프기와 매우 유사하다. 말갈문화가 폴체문화를 기반으로 발전했음을 의미한다.[30] 백산말갈의 문화를 형성 주민들은 다른 곳에서 이주해 왔을 가능성은 별로 없다.[주 4] 말갈문화는 읍루(폴체문화)와 강한 친연성을 보여주는데, 이미 폴체문화는 연해주 지역으로 기원 전후한 시기에 남하해서 토착화(올가문화)가 된 상태이다. 원래 연해주 일대에서 옥저계 문화로 간주되는 크로우노프카 문화는 1세기 이후에는 거의 소멸한 상태이다. 따라서 관구검이 침략했을 당시에 옥저계 문화라고 하는 집단들은 폴체계 문화를 위주로 하고 옥저계통의 문화가 일부 섞여있는 정도의 물질문화상이었을 것이다.[31]

연해주 남부 일대의 백산말갈 지역에서 말갈토기는 아브라모프카, 라코프카 유적 등의 출토 예가 있다. 이들은 주변의 다른 말갈 지역의 토기와 비교했을 때 말갈관의 특징은 날렵한 편이며 동체의 상반부에 2~3열의 단사선문이 새겨진 것이 특징이다. 특히 아브라모프카 유적 출토의 말갈관은 무덤에서 출토되었고, 발해계통의 영향을 받은 흔적이 없다. 반면에 라코프카 유적에서는 병형 토기 및 물결무늬와 같은 발해의 영향을 받은 흔적이 확인된다. 이와 같이 연해주 일대는 무덤 유적을 중심으로 볼 때 5세기 이후 말갈계통의 문화가 성립되어서 발해의 유입 이전까지 독특한 자신들만의 문화를 이루었다고 추정된다. 이와 같이 백산말갈은 이 지역 토착민들이 북옥저와 읍루계통의 사람들이 기반이 되어 성립되었다.[32]

7세기 중반 이타인은 책성도독겸양병마(柵城都督兼揔兵馬)의 관직을 맡아 고구려의 12주와 함께 말갈의 37부를 총괄하였다고 하는데, 이는 책성이 지방행정의 중심지로서 주(州)와 같은 일반행정단위와 함께 말갈 제부를 관할했음을 말해준다.[33] 6~7세기 고구려의 지방제도는 제성(諸城)을 중심으로 하였는데, 제성은 규모와 기능에 따라 대성(大城)·성(城)·소성(小城) 등으로 구분되었고, 그마다 각급의 지방관이 파견되었으며 상하 통속관계에 있었다.[34] 책성은 이 중에서 대성에 해당하였다.[33]

돈화·용정·화룡 등에서 발해 시기 백산말갈의 6기의 주거 유적인 영안(永安) 유적은 확인되었다.[35]

같이 보기

각주

내용주
  1. 갈자는 기사절(居謁切)로 음은 '訐', jie)이다.
  2. 노태돈은 어느 시점에 예(濊)를 말갈로 개서하였다는 해석이 내린 바 있다. 노태돈(2003),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말갈의 실체」,『한반도와 만주의 역사와 문화』, 서울대학교한국문화연구소, 306~307쪽.
  3. '금'을 의미한다.
  4. 范恩實(2003), 「靺鞨族屬及渤海建國前的靺鞨與周邊關係」, 『盛唐時代與東北亞政局』(王小甫, 主編), 北京大學盛唐硏究叢書, 上海辭書出版社. 범은실은 고구려와 흑수부는 대립관계에 있었는데, 342년 고구려가 모용씨의 공격을 받으면서 북옥저 지구에 대한 세력이 약화되자 이 지역을 흑수부가 장악한 것으로 보았다. 그는 무구검의 고구려 침범으로 옥저 지역에 세력공백이 발생하자 숙신계가 이곳으로 진출하여 원래 이주해 있던 숙신 부락과 융합하여 백산부를 형성한 것으로 보았다. 그는 또 이들이 고구려에 신속하게 된 것은 영락 8년(399년) 식신토곡에 군대를 보내 굴복시켰기 때문이며, 이후 고구려의 도움을 받아 함께 중원에 조공하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백산부를 점거한 후에도 고구려가 그 지역으로 완전히 진입한 것은 아니라고 했다. 백산부 지역에 고구려의 유적유물이 매우 적고, 일부 지역에 집중된 고구려성도 신라, 백제에 대한 방어용일 뿐이고, 군사활동 양상에서 말갈이 매우 독립적인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참조주
  1. 김현숙 (2005).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모시는사람들. 438~439쪽. ISBN 9788990699305. 
  2. 정병준; 권은주; 이효형; 바이건싱; 윤영인; 김위현; 왕위랑. 《중국학계의 북방민족·국가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31쪽. ISBN 9788961870566. 
  3. A. V.Grebenščikov,『Contuibution to the Problem of the History of the Amurland』
  4. 國史編纂委員會,『中國正史朝鮮傳 譯註一』(1987), 570쪽
  5. 김락기, 《5~7世紀 高句麗의 東北方 境域과 勿吉․靺鞨》 仁荷大學校 大學院 史學科 韓國史專攻, 2007
  6. 國史編纂委員會,『中國正史朝鮮傳 譯註一』(1987), 572쪽
  7. 魏國忠, 「關於勿吉族的幾介問題」, 『東北民族史硏究(二)』, 中州古籍出版社, 1994.
  8. 張博泉(1998), 『東北古代民族·考古與彊域』, 吉林大學出版社.
  9. 정병준; 권은주; 이효형; 바이건싱; 윤영인; 김위현; 왕위랑. 《중국학계의 북방민족·국가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31~32쪽. ISBN 9788961870566. 
  10. 趙展, 「滿族歷史與宗敎硏究」, 『對皇太極所謂諸申的辨正』
  11. 孫玉良・趙鳴岐(1998), 『中國東北史』 제2권, 吉林文史出版社.
  12. 鳥山喜一(1915), 『渤海史考』, 奉公叢書 第3篇, 船木勝馬 校訂·解題(1977), 原書房.
  13. 範恩實, 「靺鞨族屬及渤海建國前的靺鞨與周邊關係」, 王小甫 主編, 『盛唐時代與東北亞政局』, 北京大學盛唐硏究叢書, 上海辭書出版社, 2003
  14. 정병준; 권은주; 이효형; 바이건싱; 윤영인; 김위현; 왕위랑. 《중국학계의 북방민족·국가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33쪽. ISBN 9788961870566. 
  15. 정병준; 권은주; 이효형; 바이건싱; 윤영인; 김위현; 왕위랑. 《중국학계의 북방민족·국가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33~34쪽. ISBN 9788961870566. 
  16. 李德山, 「六至九世紀東北邊疆民族與中央王朝關系史硏究」, 2006
  17. 정병준; 권은주; 이효형; 바이건싱; 윤영인; 김위현; 왕위랑. 《중국학계의 북방민족·국가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34쪽. ISBN 9788961870566. 
  18. 권오영(2018). 《백제와 부여의 계승성 여부에 대한 검토》, 동북아역사논총, 247쪽
  19. 김택균, 1997, 「삼국사기에 보이는 말갈의 실체」,『고구려발해연구』 3, 고구려발해학회.
  20. 范恩實(2003), 「‘靺鞨’族称新考」, 『北方文物』 2003-3, 68~70쪽.
  21. 권오영(2018), 《백제와 부여의 계승성 여부에 대한 검토》, 동북아역사논총, 247쪽
  22. 정병준; 권은주; 이효형; 바이건싱; 윤영인; 김위현; 왕위랑. 《중국학계의 북방민족·국가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50~56쪽. ISBN 9788961870566. 
  23. 김현숙(2003), 「6~7세기 고구려사에서의 말갈」, 『강좌한국고대사』 10,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4. 김현숙, 1992, 「高句麗의 靺鞨支配에 관한 試論的 考察」,『한국고대사연구』 6.
  25. 김기흥(2011), 「발해의 종족적 연원」, 『동북아역사논총』 33, 456쪽~457쪽
  26. 김현숙 (2005).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모시는사람들. 438~479쪽. ISBN 9788990699305. 
  27. 홍형우, 《서(西) 아무르 지역 말갈(靺鞨) 토기의 특성과 그 전개 : -최근 발굴 유적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28. 김현숙 (2005).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모시는사람들. 438~479쪽. ISBN 9788990699305. 
  29. 강인욱 (2018년). “고고자료로 본 백산말갈과 고구려의 책성”. 동북아역사논총 (61): 46~47. 
  30. 강인욱 (2018년). “고고자료로 본 백산말갈과 고구려의 책성”. 동북아역사논총 (61): 55. 
  31. 강인욱 (2018년). “고고자료로 본 백산말갈과 고구려의 책성”. 동북아역사논총 (61): 55~56. 
  32. 강인욱 (2018년). “고고자료로 본 백산말갈과 고구려의 책성”. 동북아역사논총 (61): 57~58. 
  33. 이정빈 (2018년). “6세기 중·후반 요서말갈(遼西靺鞨)과 돌궐·고구려”. 동북아역사논총 (61): 32~33. 
  34. 임기환 (2012년). “고구려의 연변 지역 경영-柵城과 新城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38): 92~94. 
  35. 송기호 (2011). 《발해 사회문화사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8쪽. ISBN 9788952111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