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8번째 줄:
|총인구=101,431
|총인구=101,431
|총인구_조사연도=<small>2018.2</small>
|총인구_조사연도=<small>2018.2</small>
|읍=3
|읍=3(홍성읍,광천읍,홍북읍)
|면=8
|면=8
|군수=김석환([[자유한국당]])//3선//
|군수=김석환([[자유한국당]])
|국회의원=[[홍문표]]([[자유한국당]])<small>(홍성군·예산군)</small>
|국회의원=[[홍문표]]([[자유한국당]])<small>(홍성군·예산군)</small>
|군청소재지=[[홍성읍]] [[아문길]] 27 (오관리 98)
|군청소재지=[[홍성읍]] [[아문길]] 27 (오관리 98)

2018년 10월 28일 (일) 01:46 판

홍성군
홍성군의 위치
홍성군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행정 구역3개 , 8개
청사 소재지홍성읍 아문길 27 (오관리 98)
단체장김석환(자유한국당)
국회의원홍문표(자유한국당)(홍성군·예산군)
지리
면적443.98km2
인문
인구101,431명 (2018.2년)
세대44,828세대 (2017.12년)
인구 밀도220명/㎢
상징
나무느티나무
개나리
까치
지역 부호
웹사이트http://www.hongseong.go.kr

홍성군(洪城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서부에 있는 이자, 충청남도청 소재지이다. 특산물로는 한우, 한돈, 토굴 새우젓, 대하, 광천김 등이 있다. 충청남도 7개 군(郡) 지역 가운데 인구가 가장 많다. 홍북읍 일대에 내포신도시를 조성하고 있으며, 2012년에 충청남도청이 대전에서 홍성으로 옮겨 왔다. 군청이 자리하고 있는 곳은 홍성읍이며, 면적은 444km²로 충청남도 면적(8,214km²)의 5.4%를 차지한다. 이는 세종특별자치시, 남양주시, 평택시와 비슷하다.

조선시대에는 홍주목(洪州牧)이 설치되어 충청도 서북부 5군 14현(태안군, 서산군, 면천군, 혜성군, 이산군, 해미현, 당진현, 덕산현, 예산현, 청양현, 보령현, 결성현, 대흥현, 신평현, 여향현, 고구현, 흥양현, 합덕현, 덕풍현)을 관할하던 행정과 군사의 중심지였으며, 1895년 23부제의 실시로 홍주부(洪州府)로 개편되어 부장관(府長官)이 파견되기도 하였다.

지리

충청남도 중서부에 자리한다. 서북쪽은 서산시, 동북쪽은 예산군, 동남쪽은 청양군, 남쪽은 보령시와 맞닿아 있고, 서쪽으로는 천수만을 사이로 태안군 안면도와 마주한다. 동쪽에는 봉수산(484m)과, 서쪽에는 백월산(394m), 남쪽에는 오서산(790m), 북쪽에는 용봉산(374m)을 중심으로 구릉을 이루어, 대체로 판판하며 천수만과 마주한다. 오서산에서 발원하여 장항선을 따라 홍성읍·홍동면·금마면·홍북읍의 4개 읍면을 거쳐, 북쪽으로 흐르는 삽교천 유역이 군내 최대 평야이자 미곡 산지다. 또한 장항선을 따라 남쪽으로 흐르는 상지천과, 오서산에서 발원한 광천천이 합류하는 광천읍 일대와 예산군 덕숭산에서 발원한 와룡천천수만으로 흘러드는 유역 일대가 넓은 평야를 이룬다.

기후

서부가 바다에 맞닿아 있어 대체로 따뜻하나 겨울에는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기온이 많이 내려간다. 연평균기온 11.7℃, 1월 평균기온 -3.6℃, 8월 평균기온 26.1℃이며, 연평균강수량은 1,167mm이다.

역사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홍주군 주남면(州南面), 주북면(州北面) 홍양면 일원
금동면(金洞面), 홍안송면(洪安松面), 번천면(番川面) 홍동면 일원
홍천면(洪州面), 대감개면(大甘介面), 치사면(雉寺面) 홍북면 일원
오사면(烏史面), 성지면(城枝面), 유곡면(酉谷面), 얼방면(乻方面) 장곡면 일원
송지곡면(松枝谷面), 원평면(坪面) 금마면 일원
고남상도면(高南上道面), 고남하도면(高南下道面) 고도면 일원
궁경면(躬耕面) 광천면 일원
결성군 광천면(廣川面)
상서면(上西面), 하서면(下西面) 서부면 일원
현내면(縣內面) 용천면 일부
가산면(加山面) 은하면 일부
두암면(斗巖面), 화산면(花山面) 구항면 일부
1914년의 행정구역[4]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1914년 현재
정·리 구·읍·면 동·리
홍양면
(洪陽面)
고암리, 남장리, 대교리, 소항리, 송월리, 신성리, 오관리, 옥암리, 월산리, 학계리 홍성군
홍성읍
고암리, 남장리, 대교리, 소항리, 송월리, 신성리, 오관리, 옥암리, 월산리, 학계리
금마면
(金馬面)
가산리, 덕정리, 봉서리, 부평리, 송강리, 송암리, 신곡리, 용흥리, 월암리, 인산리, 장성리, 죽림리, 화양리 홍성군
금마면
가산리, 덕정리, 봉서리, 부평리, 송강리, 송암리, 신곡리, 용흥리, 월암리, 인산리, 장성리, 죽림리, 화양리
구항면
(龜項面)
공리, 남산리, 내현리, 대정리, 마온리, 신곡리, 오봉리, 장양리, 지정리, 청광리, 태봉리, 황곡리 홍성군
구항면
공리, 남산리, 내현리, 대정리, 마온리, 신곡리, 오봉리, 장양리, 지정리, 청광리, 태봉리, 황곡리
장곡면
(長谷面)
가송리, 광성리, 대현리, 도산리, 산성리, 상송리, 신동리, 신풍리, 오성리, 옥계리, 월계리, 죽전리, 지정리, 천태리, 행정리, 화계리 홍성군
장곡면
가송리, 광성리, 대현리, 도산리, 산성리, 상송리, 신동리, 신풍리, 오성리, 옥계리, 월계리, 죽전리, 지정리, 천태리, 행정리, 화계리
홍동면
(洪東面)
구정리, 금당리, 금평리, 대영리, 문당리, 수란리, 신기리, 운월리, 원천리, 월현리, 팔괘리, 홍원리, 화신리, 효학리 홍성군
홍동면
구정리, 금당리, 금평리, 대영리, 문당리, 수란리, 신기리, 운월리, 원천리, 월현리, 팔괘리, 홍원리, 화산리, 효학리
대평리, 운용리, 월림리 홍성군
광천읍
대평리, 운용리, 월림리
구룡리 홍성군
홍성읍
구룡리
홍북면
(洪北面)
내법리 내법리
갈산리, 내덕리, 노은리, 대동리, 대인리, 봉신리, 산수리, 상하리, 석택리, 신경리, 신정리, 용산리, 중계리 홍성군
홍북읍
갈산리, 내덕리, 노은리, 대동리, 대인리, 봉신리, 산수리, 상하리, 석택리, 신경리, 신정리, 용산리, 중계리
고도면
(高道面)
가곡리, 갈오리, 기산리, 내갈리, 동산리, 동성리, 부기리, 상촌리, 신안리, 쌍천리, 오두리, 운곡리, 취생리, 행산리 홍성군
갈산면
가곡리, 갈오리, 기산리, 내갈리, 동산리, 동성리, 부기리, 상촌리, 신안리, 쌍천리, 오두리, 운곡리, 취생리, 행산리
용천면
(龍川面)
와리 와리
교항리, 금곡리, 무량리, 성곡리, 성남리, 성호리, 용호리, 읍내리, 형산리 홍성군
결성면
교항리, 금곡리, 무량리, 성곡리, 성남리, 성호리, 용호리, 읍내리, 형산리
중리 홍성군
서부면
중리
서부면
(西部面)
거차리, 광리, 궁리, 남당리, 상황리, 신리, 양곡리, 어사리, 이호리, 판교리 거차리, 광리, 궁리, 남당리, 상황리, 신리, 양곡리, 어사리, 이호리, 판교리
은하면
(銀河面)
금국리, 대율리, 대천리, 대판리, 덕실리, 목현리, 유송리, 장곡리, 장척리, 학산리, 화봉리 홍성군
은하면
금국리, 대율리, 대천리, 대판리, 덕실리, 목현리, 유송리, 장곡리, 장척리, 학산리, 화봉리
광천면
(廣川面)
가정리, 광천리, 내죽리, 담산리, 매현리, 벽계리, 상정리, 소암리, 신진리, 옹암리 홍성군
광천읍
가정리, 광천리, 내죽리, 담산리, 매현리, 벽계리, 상정리, 소암리, 신진리, 옹암리
대통령령 제11027호
대통령령 제11027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서산군 고북면 대사리 갈산면 일부
결성면 와리
결성면 중리 서부면 일부
홍북면 내법리 홍성읍 일부
홍동면 구룡리
홍동면 대평리, 운용리, 월림리 광천읍 일부

행정 구역

홍성군의 행정 구역은 3읍 8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홍성군의 면적은 443.98 km2이며, 인구는 1960년 14만4741 명에 이른 후 계속 감소 추세였으나, 내포신도시의 건설 이후 증가하고 있다.

주민등록 인구는 2017년 6월 말 기준으로 10만1232명, 4만5천여세대고,[9] 군 전체 인구의 40%가 홍성읍에, 25%가 홍북읍에, 10%가 광천읍에 거주하여 이들 3개 읍이 군 전체 인구의 75%를 차지한다. 특히, 2013년 1월 충청남도청이 관내의 내포신도시로 이전할 당시 4,900여 명이었던 홍북읍의 인구가 이후 계속 증가하여 2015년 1월광천읍의 인구를 넘어섰다.

읍면 한자 면적 (비율) 인구[10] 세대
홍성읍 洪城邑 30.48 6.87% 39,770 16,699
광천읍 廣川邑 35.04 7.88% 9,728 4,827
홍북읍 洪北邑 44.66 10.06% 24,508 9,283
금마면 金馬面 34.16 7.69% 3,650 1,763
홍동면 洪東面 37.99 8.56% 3,515 1,593
장곡면 長谷面 54.92 12.37% 3,212 1,631
은하면 銀河面 30.89 6.96% 2,591 1,306
결성면 結城面 29.15 6.57% 2,295 1,175
서부면 西部面 55.55 12.51% 3,552 1,687
갈산면 葛山面 54.35 12.24% 3,851 1,866
구항면 龜項面 36.80 8.29% 4,002 1,968
홍성군 洪城郡 443.98 100% 100,247 43,726

인구

  • 2017년 12월 31일 기준 101,570명(충남의 4.9%).
  • 2016년 6월중 10만 명 돌파(외국인포함).
  • 2016년 8월 10만 명 돌파(외국인포함).
  • 홍성군(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11]
연도 총인구  
1999년 97,472명
2005년 91,432명
2007년 89,539명
2008년 88,176명
2009년 87,631명
2010년 88,078명
2011년 88,108명
2012년 88,415명
2013년 89,704명
2014년 91,866명
2015년 94,553명
2016년 99,971명
2017년 101,533명

홍성예산권

2014년 국토교통부에서 확정한 20개 중추도시생활권에서 홍성군, 예산군홍성예산권으로 규정하고 있다.

산업

지역내 총생산

1차산업 위주로, 농업과 축산업, 수산업이 고루 발달해 있다. [12]

산업 별 종사자 수

2014년 홍성군 총 종사자 수는 33,161명으로 충청남도 총 종사자 수의 4.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립 어업(1차 산업)은 294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 5,311명으로 16%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27,499명으로 82.9%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충청남도 전체의 비중 (32.8%)보다 낮고 3차 산업은 충청남도 전체 비중(66.7%)보다 높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사업서비스업(3%) 도소매업(16.1%) 숙박 및 음식점업 10.9% 교육서비스업이 8.4%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3]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홍성군의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81,053명이고 주간인구는 85,274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05로 낮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999명, 유출인구는1,695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3,163명, 유출인구는 246명으로 전체 유입인구가 4,221명 더 많은데, 이는 충청남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또는 천안시나 수도권의 교통이 발달되어있기 때문이다.) [14]

농업

홍성군은 남쪽 오서산에서 용봉산으로 이어지는 낮은 산지를 기준으로 북동의 금마천 유역과 서쪽의 와룡천, 천수만 간척지(서산 A·B지구)를 중심으로 넓은 들판이 펼쳐져 있다. 특히 홍동면 문당리는 우리나라 최초 오리 농법을 시행한 곳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도 관심을 가졌던 곳이다.

축산업

대한민국의 최대 축산 단지이며,[15] 한우 브랜드 통합을 통해, 《홍성한우》를 생산하고 있는데, 《2012년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에서 ‘홍성한우’가 한우 부분 대상을 차지했다.[16]

수산업

서부면의 남당항을 중심으로 대하, 새조개를 비롯한 수산물이 나오고 있다.

어항 시설

교통

주요 도로

철도

장항선 홍성역

홍성역과 광천역 사이 신성역을 기준으로 천안 방면 노선은 개량 사업이 완료되었고, 광천, 청소 방면 노선은 현재 개량 사업이 진행 중이다.

버스

교육 기관

  
  
  
  

공공기관

문화 관광

문화재

  •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
  • 홍성 고산사 대웅전
  • 홍성 오관리 당간지주
  • 홍성 홍주읍성 : 홍성읍 오관리에 자리잡은 성으로 사적 231호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 동문인 조양문과 동헌인 안회당, 홍주아문과 여하정, 약 800m의 성벽이 남아있다. 최근 군에서 복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17]
  • 홍성 홍주의사총
  • 홍주향교
  • 결성향교
  • 홍성 사운 고택
  • 홍성 노은리 고택
  • 성삼문 선생 유허지
  • 김좌진 장군 생가지
  • 한용운 선생 생가지 : 독립운동가이자 승려이며 시인인 한용운 선생이 태어난 곳으로 충청남도의 기념물 76호로 지정되어 있다. 낮은 야산을 등진 양지 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생가가 쓰러져 없어진 것을 1992년에 생가를 중심으로 주변지역을 사적화하기 위해 복원사업을 시작하였다. 생가인 초가 외에 사당삼문, 관리사, 화장실 등을 건립하였으며, 주변 정비사업을 추진하였다. 가옥은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의 초가인데 양 옆으로 1칸을 달아내어 광과 헛간으로 사용하고 울타리는 싸리나무로 둘렀으며 바깥에 흙벽돌로 화장실을 만들었다. 선생의 애민애국 정신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자 이곳에 표석을 설치하였다.[18] 2013년 KBS 해피썬데이의 1박2일 시즌 2에서 촬영하기도 하였다.[19]
  • 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
  • 홍주성역사관
  • 결성농요박물관
  • 홍성민속테마박물관
  • 홍성조류탐사과학관(서부면)

축제

  • 홍성역사인물축제
  • 남당대하축제

인물

1910년 이전 출생

1910년 이후 출생

같이 보기

자매 도시

각주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2.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3.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4.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년)
  5. 도령 제8호 (1917년 9월 25일)
  6. 조선총독부령 제253호 읍면및읍면장에관한규정 (1941년 9월 29일)
  7. 조선총독부령 제243호 (1942년 9월 30일)
  8.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9. 인구/세대 홍성군홈페이지, 2015년 11월 29일 확인.
  10. 2017년 1월 말 기준
  11.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12. 충청남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13. 충청남도 사업체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14. 충청남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15. “명품 한우·돼지 지켜라” 횡성·홍성 방역 총력, 경향신문, 2010년 5월 3일
  16. 《홍성소식 2012년》 4월호
  17. 홍성군, 천년홍주 역사 되살리는 홍주성 복원 로드맵 구상(대전투데이)
  18. 홍성팔경-만해한용운 생가, 2012년 4월 28일 확인
  19. 홍성소식 2013년 12월호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