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제국: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독일 이외의 제3제국 추가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제3제국'''({{llang|de|Drittes Reich|드리테스 라이히}})은 [[기독교 신학]]에서 미래의 이상 국가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나치 독일]]에 대한 호칭으로 잘 알려져 있다.
'''제3제국'''({{llang|de|Drittes Reich|드리테스 라이히}})은 [[기독교 신학]]에서 미래의 이상 국가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나치 독일]]에 대한 호칭으로 잘 알려져 있다.

드리테스 라이히에서 '''라이히'''는 나라;(Kaiserreich) 제국;(Königreich) 왕국;영토의 뜻이지만 독일어에서는 기독교의 예배와 종교적 색채가 강한 단어로, 이 단어는 성서 가운데서나 일상의 기도에서 '당신의 나라가 임하옵기를'(Dein Reiche komme)이라 표현된다. 기독교적 용어를 독일의 반자유주의적 ‘보수혁명’의 사상적 기초를 제공한 문화사가이자 작가인 [[아르투르 묄러 판 덴 브루크]](Arthur Moeller van den Bruck)가 정치적인 것으로 변질시켜 만든 용어이다. <ref>J.F.노이로르《제3제국의 신화-나치즘의 정신사》(한길사,P23)</ref>)
드리테스 라이히에서 '''라이히'''(Reich)'나라'라는 뜻이지만 독일어에서는 기독교의 예배와 종교적 색채가 강한 단어로, 이 단어는 성서 가운데서나 일상의 기도에서 '당신의 나라가 임하옵기를'(Dein Reiche komme)이라 표현된다. 기독교적 용어를 독일의 반자유주의적 ‘보수혁명’의 사상적 기초를 제공한 문화사가이자 작가인 [[아르투르 묄러 판 덴 브루크]](Arthur Moeller van den Bruck)가 정치적인 것으로 변질시켜 만든 용어이다. <ref>J.F.노이로르《제3제국의 신화-나치즘의 정신사》(한길사,P23)</ref>)

==독일의 제3제국==
==독일의 제3제국==
보수 혁명의 사상가 [[아르투르 묄러 판 덴 브루크]](Arthur Moeller van den Bruck)는 1923년에 저술한 《[[제3제국론]]》에서 [[신성 로마 제국]]과 [[독일 제국]]의 정통성을 계승하는 제3의 제국의 창설을 주창했다.
보수 혁명의 사상가 [[아르투르 묄러 판 덴 브루크]](Arthur Moeller van den Bruck)는 1923년에 저술한 《[[제3국론]]》에서 [[신성 로마 제국]]과 [[독일 제국]]의 정통성을 계승하는 제3의 제국의 창설을 주창했다.
제3제국은 [[나치당]]의 용어로 사용되었는데 나치당의 기관지 [[푈키셔 베오바흐터]]는 [[전권위임법]]이 통과된 다음 날 "독일은 눈을 떴다.위대한 일이 시작됐다. 제3제국의 날이 온 것이다."라고 썼다.
제3제국은 [[나치당]]의 용어로 사용되었는데 나치당의 기관지 [[푈키셔 베오바흐터]]는 [[전권위임법]]이 통과된 다음 날 "독일은 눈을 떴다.위대한 일이 시작됐다. 제3제국의 날이 온 것이다."라고 썼다.



2018년 5월 13일 (일) 10:10 판

제3제국(독일어: Drittes Reich 드리테스 라이히[*])은 기독교 신학에서 미래의 이상 국가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나치 독일에 대한 호칭으로 잘 알려져 있다.

드리테스 라이히에서 라이히(Reich)는 '나라'라는 뜻이지만 독일어에서는 기독교의 예배와 종교적 색채가 강한 단어로, 이 단어는 성서 가운데서나 일상의 기도에서 '당신의 나라가 임하옵기를'(Dein Reiche komme)이라 표현된다. 기독교적 용어를 독일의 반자유주의적 ‘보수혁명’의 사상적 기초를 제공한 문화사가이자 작가인 아르투르 묄러 판 덴 브루크(Arthur Moeller van den Bruck)가 정치적인 것으로 변질시켜 만든 용어이다. [1])

독일의 제3제국

보수 혁명의 사상가 아르투르 묄러 판 덴 브루크(Arthur Moeller van den Bruck)는 1923년에 저술한 《제3국론》에서 신성 로마 제국독일 제국의 정통성을 계승하는 제3의 제국의 창설을 주창했다. 제3제국은 나치당의 용어로 사용되었는데 나치당의 기관지 푈키셔 베오바흐터전권위임법이 통과된 다음 날 "독일은 눈을 떴다.위대한 일이 시작됐다. 제3제국의 날이 온 것이다."라고 썼다.

독일 이외의 제3제국

헨리크 입센은 1873년 희곡 《황제와 갈릴리인(영어판)》에서 중세 기독교 문명을 "영혼의 제국", 고대 그리스사상 문명을 "고기의 제국"이라며 이 두가지를 가진 이상 국가를 " 제3 제국"이라고 말했다.

각주

  1. J.F.노이로르《제3제국의 신화-나치즘의 정신사》(한길사,P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