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어: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222.251.152.249(토론)의 20230799판 편집을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20번째 줄: 20번째 줄:
}}<!--{{다른 뜻 넘어옴|몽고어|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쓰이는 언어|몽고어 (아프리카)}}-->
}}<!--{{다른 뜻 넘어옴|몽고어|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쓰이는 언어|몽고어 (아프리카)}}-->


'''몽골어'''({{llang|mn|Монгол}})는 [[몽골]]의 공용어이다. 사용 지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내몽골 자치구]](內蒙古自治區)와 [[몽골]]을 중심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변경지구·[[아프가니스탄]]·[[볼가 강]] 유역 등 광대한 지역에 미친다. [[몽골 문자]](내몽골에서 사용)와 [[키릴 문자]](외몽골에서 사용) 두 가지로 표기한다.
'''몽골어'''({{lang|mn|Монгол}})는 [[몽골]]의 공용어이다. 사용 지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내몽골 자치구]](內蒙古自治區)와 [[몽골]]을 중심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변경지구·[[아프가니스탄]]·[[볼가 강]] 유역 등 광대한 지역에 미친다. [[몽골 문자]](내몽골에서 사용)와 [[키릴 문자]](외몽골에서 사용) 두 가지로 표기한다.


== 문자 ==
== 문자 ==

2018년 4월 12일 (목) 22:23 판

몽골어
Монгол
/ ᠮᠣᠩᠭᠣᠯ (Mongɣul)
사용 국가 몽골, 중화인민공화국
사용 지역 몽골 전역, 러시아의 부랴트 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의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내몽골 자치구
언어 인구 570만여 명 (2005)
어순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형용사-명사 후치사 사용
문자 키릴 문자(몽골)
몽골 문자(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
언어 계통 몽골어족
 오이라트-할하
  할하-부랴트
   몽골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몽골의 기 몽골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내몽골 자치구
언어 부호
ISO 639-1 mn
ISO 639-2 mon
ISO 639-3 다수:
mon – Mongolian (generic)
khk – Halh Mongolian
mvf – Peripheral Mongolian

몽골어(Монгол)는 몽골의 공용어이다. 사용 지역은 중화인민공화국내몽골 자치구(內蒙古自治區)와 몽골을 중심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변경지구·아프가니스탄·볼가 강 유역 등 광대한 지역에 미친다. 몽골 문자(내몽골에서 사용)와 키릴 문자(외몽골에서 사용) 두 가지로 표기한다.

문자

중세 몽골어는 몽골 문자 또는 한자로 표기되었었으며, 몽골문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세로쓰기로 쓰였고, 한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세로쓰기로 쓰였으며 표의보다는 몽골어에 대한 표음에 맞추어져 있었다. 현대에는 키릴 문자(몽골에서 사용)와 몽골 문자(내몽골 자치구에서 사용)의 두 가지 문자로 표기된다.

발음

모음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
단모음 장모음 단모음 장모음 단모음 장모음
협모음 i u
근협모음 ʊ ʊː
중고모음 e o [ɵ]
중저모음 ɔ ɔː
광모음 a

자음

순음 치음 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 구개음화 - 구개음화 구개음화 -
비강음 m n ŋ
파열음 무성 기식음 () (pʲʰ) tʲʰ (kʲʰ) ()
무성음 p t
유성음 ɡʲ ɡ ɢ
파찰음 무성 기식음 tsʰ tʃʰ
유성음 ts
마찰음 중설음 (f) s ʃ x
설측음 ɮ ɮʲ
전동음 r
접근음 w̜ʲ j

문법

몽골어는 유형론(類型論)상 교착어에 속한다. 비인칭 재귀 소유격, 인칭 소유격이 있다.(명사가 형용사, 부사와 연관이 있다)

어순은 '주어-목적어(보어)-서술어'(SOV) 형태이다. 수식어는 피수식어의 앞에 놓인다.

     Би    Монгол    хэлийг      сурна.   (나는 몽골 어를 배운다.)
  주어   수식어  피수식어
목적어(보     어)
  서술어

한국어에서처럼 관계대명사 용법은 연체형을 통한 수식어로 쓰인다.

    Миний   сурдаг   хэл   (내가 배우는 언어)
    주어   연체형   명사

체언의 격변화는 어간의 뒤에 교착적인 격어미(조사)를 통해 표현한다. 체언의 격은 주격속격(屬格)(-ын/-ы/-ийн/-ий)・대격(對格)(-ыг/-ийг/-г)・여위격(與位格)(-т/-д)・구격(具格)(-аар4)・탈격(奪格)(-аас4)・공동격(共同格)(-тай3)・방향격(方向格)(-руу2)의 8개가 있다. 격어미는 모음조화를 따른다.

  • Хаанаас ирсэн бэ? (어디에서 왔습니까?)
  • Улаангом оос ирсэн. (우랑곰에서 왔습니다.)

특수한 격으로, 비인칭 재귀 소유격과 인칭 소유격이 있다.

인칭대명사에는 1인칭 단수 би, 1인칭 복수бид, 2인칭 단수чи,та, 2인칭 복수та нар, 3인칭 단수тэр, 3인칭 복수 тэд가 있다. 2인칭 단수чи는 친칭(親稱), та는 경칭(敬稱)이다.

  • Чи солонгос хүн үү? (는 한국인인가?)
  • Та солонгос хүн үү? (당신은 한국인입니까?)

지시사는 근칭(近稱)과 원칭(遠稱)의 두 종류가 있다. энэ(이것)- тэр(저것), энд(여기)- тэнд(저기).

의문사에는 хэн(누구), юу(무엇), хаана(어디), аль(어느, 어느것), ямар(어떤), хэд(몇), хэзээ(언제), яах(어찌하다), яагаад(왜), яаж(어떻게) 따위가 있다. хэн, юу, хаана는 명사에 있는 격변화를 따른다. 현대 몽골어에서는 хаана는 Хаашаа변화한다.

  • Хаанаас ирсэн вэ? (어디에서 왔습니까?)
  • Хаашаа явах уу? (어디 갑니까?)

동사는 어간에 동사 어미를 수반하여 종지형・연체형(형용동사형)・연용형(부동사형). 명령형은 문법형식상 종지형. 동사의 사전형은 어간에 연체형어미 -х가 붙는다.

  • Би уншсан ном. (내가 읽 책.)
  • Би ном уншсан. (내가 책을 읽는다.)

동사 어간과 동사 어미의 사이에 삽입하는 접사는, (態)의 문법 범주를 나타낸다.

  • Удаан хүлээ-лгэ-чих-лээ.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 хлээ-:동사「기다리다」, -лгэ-:접사<사역>, -чих-:접사<완료>, -лээ:어미<과거>

형용사는 어형 불변화사이다.

  • Миний ээж хөөрхөн. (나의 어머니는 아름답다.)
  • Миний ээж хөөрхөн байсан. (나의 어머니는 아름다웠다.)

후치사는 명사의 뒤에 와서 격을 표시하거나 형용사나 부사 역할을 한다.

  • ширээн дээр (책상 위:격표시)
  • дээр тэнгэр (위 하늘:형용사)
  • дээр гарах (위로 오르다:부사)

조사(助詞)는 문장 끝에서 뉘앙스를 나타낸다.

  • Энд бич дээ. (여기에 쓰세요.)

어휘

현대 몽골어의 어휘에는 몽골어족의 독자적인 어휘를 비롯하여 외국어로부터 들어온 차용어들이 있는데, 많은 차용어들은 러시아어에서 왔거나 러시아어를 통해서 들어온 것들이다. 예시로는 'компьютер(컴퓨터)', 'принтер(프린터)', 'кофе(커피)' 등이 있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