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45번째 줄: 145번째 줄:
{{증명 시작}}
{{증명 시작}}
* '''(⇐)''' <math>\operatorname{ord}(1\oplus1)=\operatorname{ord}(1\oplus0)\operatorname{ord}(0\oplus1)=mn</math>
* '''(⇐)''' <math>\operatorname{ord}(1\oplus1)=\operatorname{ord}(1\oplus0)\operatorname{ord}(0\oplus1)=mn</math>
* '''(⇒)''' 만약 <math>\gcd\{m,n\}\ne1</math>이라면, <math>|\{a\oplus b\in Z_m\oplus Z_n\colon(a\oplus b)^\frac{mn}{\gcd\{m,n\}}=1\}|=|Z_m\oplus Z_n|=mn>\frac{mn}{\gcd\{m,n\}}</math>
* '''(⇒)''' 만약 <math>\gcd\{m,n\}\ne1</math>이라면, <math>|\{a\oplus b\in Z_m\oplus Z_n\colon(a\oplus b)^\frac{mn}{\gcd\{m,n\}}=1\}|=|Z_m\oplus Z_n|=mn>\frac{mn}{\gcd\{m,n\}}</math>이므로, <math>Z_m\oplus Z_n\not\cong Z_{mn}</math>이다.
{{증명 끝}}
{{증명 끝}}
[[코시 정리]]에 따르면, 임의의 소인수 <math>p\mid|G|</math>에 대하여, <math>\operatorname{ord}g_p=p</math>인 <math>g_p\in G</math>가 존재한다.
[[코시 정리]]에 따르면, 임의의 소인수 <math>p\mid|G|</math>에 대하여, <math>\operatorname{ord}g_p=p</math>인 <math>g_p\in G</math>가 존재한다.

2017년 12월 13일 (수) 02:09 판

군론에서, 순환군(循環群, 영어: cyclic group)은 하나의 원소에 의하여 생성되는 이다. 즉, 순환군의 모든 원소는 어떤 고정 원소의 거듭제곱이다. (가법군의 경우, 모든 원소는 어떤 고정 원소의 정수배이다.)

정의

의 원소 가 생성하는 순환군 은 다음과 같다.

위수

위수(位數, 영어: order) 집합의 크기이다.

군의 원소 위수 는 그 원소가 생성하는 순환군의 위수이다. 즉, 거듭제곱하여 항등원이 되는 최소 지수와 같거나, 그러한 지수가 없다면 무한대와 같다.

지수

지수(指數, 영어: exponent) 는 모든 원소를 거듭제곱하여 항등원이 되는 최소 지수와 같거나, 그러한 지수가 없다면 무한대와 같다.

분류

순환군은 정수군 또는 그 몫군동형이다. 무한 순환군은 정수군, 유한 순환군은 정수군의 몫군과 동형이다.

성질

위수와 지수

약수 관계

군의 유한 위수 원소 및 정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증명:

  • (⇐) 이라면, 가 존재하므로, 이다.
  • (⇒) 이라면, 의 나머지 있는 나눗셈을 라고 하면, 이므로, 위수의 정의에 따라 이다. 즉, 이다.

지수가 유한한 군 및 정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증명:

  • (⇐) 이라면, 가 존재하므로,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라면, 임의의 에 대하여 이므로, 지수의 정의에 따라 이다.

유한군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약수 관계가 성립한다.

군의 유한 위수 원소 정규 부분군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약수 관계가 성립한다.

증명:

항등식

군의 유한 위수 원소 및 정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항등식이 성립한다.

증명:

다음 두 가지를 보이는 것으로 족하다.

    • 증명:
    • 증명: 이므로, 이므로, 이므로,

군의 원소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항등식이 성립한다.

증명:

다음 두 가지를 보이는 것으로 족하다.

    • 증명:
    • 증명: 이므로, 이므로, 이다. 비슷하게, 이다. 따라서, 이다.

반대로, 군의 원소 의 위수를 다음과 같은 꼴로 나타낼 수 있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증명:

베주 항등식에 따라,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조건을 만족시키는 를 다음과 같이 취할 수 있다.

다음 두 가지를 보이는 것으로 족하다.

  • ,
    • 증명:
  • ,
    • 증명:

유한 아벨 군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즉,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증명:

최대 위수 원소 를 취하자. 임의의 에 대하여,

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를 만족시키는 소인수 가 존재한다. 이 경우,

이므로,

이며, 이는 모순이다.

순환군

모든 순환군은 유한 생성 아벨 군이다.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소수이다.
  • 는 순환 단순군이다.
  • 아벨 단순군이다.

순환군의 부분군 역시 순환군이다. 구체적으로, 의 부분군은 다음과 같은 꼴로 나타낼 수 있다.

순환군의 몫군 역시 순환군이다.

유한군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는 순환군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증명:

실로우 정리를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순환군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증명:

  • (⇐)
  • (⇒) 만약 이라면, 이므로, 이다.

코시 정리에 따르면, 임의의 소인수 에 대하여, 가 존재한다.

응용

유한 아벨 군의 분해

유한 아벨 군의 분해에 응용되는 한 가지 핵심적인 보조정리는 다음과 같다. 가 아벨 유한 p-군, 가 그 최대 위수 원소라고 하자. 그렇다면, 가 존재한다.

증명:

이제 가 가장 작은 반례라고 하자. (1의 경우 반례가 아님이 자명하다.) 그렇다면, 최소 위수 원소 를 취할 수 있다. 이제 다음과 같은 일련의 명제를 증명하기만 하면 된다.

    • 증명: 그렇지 않다면, ()이며, 이므로, 이다.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므로, 이다. 따라서, 이며, 인데, 이는 의 선택과 모순이다.
    • 증명: ()라고 하자. 그렇다면, 가 존재하며, 이다. 이는 모순이다.
  • 은 최대 위수 원소이다.
    • 증명: 우선 이다. 라고 가정하면, 이므로, 이다. 이는 모순이다.
  • 가 존재한다.
    • 증명:
    • 증명: 우선, 이므로, 이다. 또한, 이므로, 이며, 이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