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동: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 112.168.60.193(토론)의 편집을 Gray eyes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2번째 줄: 2번째 줄:
{{대한민국 행정구역 단위}}
{{대한민국 행정구역 단위}}
[[File:Bongpyeongdong Community Service Center.JPG|thumb|250px|동주민센터(경남 통영시 봉평동)]]
[[File:Bongpyeongdong Community Service Center.JPG|thumb|250px|동주민센터(경남 통영시 봉평동)]]
'''동'''(洞)은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의 하나로 [[구 (행정 구역)|구]] 또는 [[시 (행정 구역)|시]]의 하부 행정 구역이다. '''행정운영동'''(行政運營洞) 또는 '''행정동'''(行政洞)이라고 불리어 [[법정동]]과 구별하고 있으며, 모든 행정동 청사는 [[대한민국의 지방 관청|동주민센터]](동사무소)라고 부르고 있다.
'''동'''(洞)은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의 하나로 [[구 (행정 구역)|구]] 또는 [[시 (행정 구역)|시]]의 하부 행정 구역이다. '''행정운영동'''(行政運營洞) 또는 '''행정동'''(行政洞)이라고 불리어 [[법정동]]과 구별하고 있으며, 모든 행정동 청사는 [[동주민센터]](동사무소)라고 부르고 있다.


== 행정동 설치 유형 ==
== 행정동 설치 유형 ==

2017년 9월 28일 (목) 08:58 판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광역시·도*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시·군·자치구**
(목록) (특례시)
(목록)
자치구 (목록)
지방정부가 아닌 시·구
행정시
행정구 (목록)
읍·면·동
(목록)
(목록)
행정동
동·리와 하부 조직
법정동
(목록)
*: 광역자치단체 **: 기초자치단체

v  d  e  h

동주민센터(경남 통영시 봉평동)

(洞)은 대한민국행정 구역의 하나로 또는 의 하부 행정 구역이다. 행정운영동(行政運營洞) 또는 행정동(行政洞)이라고 불리어 법정동과 구별하고 있으며, 모든 행정동 청사는 동주민센터(동사무소)라고 부르고 있다.

행정동 설치 유형

  1. 하나의 법정동을 하나의 행정동이 관할하는 경우: 대체로 행정동의 명칭은 법정동과 동일하게 정해진다.
    (예: 행정동인 수원시 권선구 구운동은 온전한 구운동 전체만을 관할함)
  2. 하나의 법정동을 복수의 행정동이 일부분씩 관할하는 경우: 행정동의 이름은 대체로 해당 법정동의 이름에 숫자를 붙여 구분한다.
    (예: 법정동인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은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세 개의 행정동이 각각 관할함)
  3. 복수의 법정동을 하나의 행정동이 관할하는 경우:
    1. 행정동의 이름은 비교적 규모나 대표성이 큰 법정동명 하나를 따서 짓는다.
      (예: 법정동인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벽제동 그리고 대자동선유동은 '고양동' 하나의 행정동이 관할함)
    2. 행정동 관할 내 법정동들의 이름의 맨 앞 글자를 조합하기도 한다.
      (예: 법정동인 경상남도 김해시 삼방동과 안동의 행정동 명칭은 삼안동)
    3. 행정동 관할 내 법정동들의 이름의 맨 뒷 글자와 앞 글자 또는 맨 앞 글자와 뒷 글자를 조합하기도 한다.
      (예:법정동인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흥동도내동의 행정동 명칭은 흥도동)
    4. 행정동 관할 내 법정동들의 이름 전체를 조합하기도 한다.
      (예: 법정동인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 + 서창동 = 행정동인 장수서창동)
  4. 하나의 행정동이 어떤 법정동의 일부와 또다른 법정동의 일부에 걸쳐 관할하기도 있다.
    (예: 행정동인 서울 강남구 신사동은 법정동인 압구정동의 서쪽 1/3과 신사동의 서쪽 1/3을 관할함)
  5. 읍/면을 동으로 전환할 때, 기존 읍/면의 명칭을 따라 정하기도 한다.
    (예 - 김해시 장유면: 장유1동 ~ 장유3동, 양주군 회천읍: 양주시 회천1동 ~ 회천4동, 당진군 당진읍: 당진시 당진1동 ~ 당진3동)
  6. 행정동의 이름이 반드시 법정동과 직접 연관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 행정동인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룡동은 법정동인 박호동, 서봉동, 선암동, 운수동, 소촌동을 관할함. 경기도 의왕시 부곡동은 삼동, 이동, 월암동, 초평동을 관할함.)

역사

행정동의 기원은 일제 강점기의 정회(町會)에 두고 있다. 정회는 (일본어 : 町), 정목(丁目)을 단위로 하여 설치된 부(府)의 말단협력 보조기관으로 예컨대 당시 경성부에는 280여 개의 정회가 있었다. 이 정회 제도는 일제 강점기 말기에 생긴 것으로 군정기에도 그대로 유지되었다.[1] 정(町)을 동(洞)으로, 통(通)을 로(路)로, 정목(丁目)을 가(街)로 명칭 환원이 이루어질 때 동회로 개칭하여 사용하였고, 점차 동으로 명칭 일원화가 되었다.

행정 구역 동은 초기에 법정동과 행정동을 구분하지 않았다. 법정동이 곧 행정 구역 단위였다. 그러나 세분화된 동은 행정력 낭비로 이어졌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법정동을 묶을 필요가 생겨났다. 그리하여 기존 동과 구별되는 명칭으로 동회(洞會)를 사용하였다(예: 1965년 대구 중구에서는 시내 번화가의 38개의 법정동을 동성동회, 남성동회, 종로동회, 북성동회, 서성동회로 나누었다). 반면 넓은 동을 나누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였고 이 경우에는 동구(洞區)를 사용하였다.(예: 1965년 대구 서구에서는 내당동을 내당동1구, 내당동2구, 내당동3구, 내당동4구로 나누었다.) 이렇게 행정동이 생겨났다. 1960년대 후반 동회는 모두 동으로 명칭 일원화가 이루어졌다.

현재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의 하위 행정 구역에 반 대신 동을 사용하고 있다.

함께 보기

각주

  1. “행정기구”. 《서울六百年史》. 서울특별시. 2008년 4월 22일에 확인함.  이것은 종래의 행정기구는 종전대로 존속한다고 하는 1945년 9월 11일자의 포고에 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