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의 역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52번째 줄: 52번째 줄:
! width="50%"| 구 행정구역 !! width="50%" | 신 행정구역
! width="50%"| 구 행정구역 !! width="50%" | 신 행정구역
|-
|-
| 안동면 일원 || 안동군 '''안동읍'''
| 안동면 일원 || '''안동읍'''
|-
|-
| 임현내면, 임서면 일원 || 안동군 '''임하면'''
| 임현내면·임서면 일원 || '''[[임하면]]'''
|}
|}


65번째 줄: 65번째 줄:
! width="50%"| 구 행정구역 !! width="50%" | 신 행정구역
! width="50%"| 구 행정구역 !! width="50%" | 신 행정구역
|-
|-
| 풍남면 일원, 풍서면(소산동 제외) || '''풍천면'''
| 풍남면·풍서면 일원(소산동 제외) || '''풍천면'''
|-
|-
| 풍산면, 풍북면 일원, 풍서면(소산동) || '''풍산면'''
| 풍산면·풍북면 일원, 풍서면 소산동 || '''풍산면'''
|-
|-
| 임북면, 동후면 일원 || '''월곡면'''
| 임북면·동후면 일원 || '''월곡면'''
|}
|}



2016년 11월 30일 (수) 16:18 판

안동의 지방조직 변천
- 창녕국
신라 초
상주 고타야군
757년
상주 고창군
930년
영남도 안동부 · 영가군
995년
경상도 길주
1030년
경상도 안동부
1204년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1308년
경상도 복주목
1361년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1392년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1895년
안동부 안동군
1896년
경상북도 안동군
1963년
경상북도 안동시 · 안동군
1995년
경상북도 안동시

안동시의 역사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의 역사에 대해서 다룬다.

고대 이전

고려

  • 고려 태조 13년(신라 경순왕 4년, 서기 930년) 이곳 병산에서 태조왕건후백제견훤 싸움에서 이 고을 성주 김선평(金宣平)과 고을 인물 권행(본래 김씨), 장길(일명 정필) 등이 왕건을 도와 크게 공을 세움으로써 고창군을 안동부로 승격시켰으며, 그 후 영가군(永嘉郡)으로 고쳤다.
  • 고려 성종 14년 (995년) 길주(吉州)로 고쳐 칙사(勅史)를 두었다.
  • 고려 현종 3년(1012년) 안무사를 두었다가 동9년(1018년) 지길주사(知吉州使)로 고치고 동 21년 다시 안동부(安東府)로 하였다.
  • 고려 명종 27년(1197년) 김사미, 효심 등이 주(州), 군(郡)을 약탈하자 부(府)에서 이를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도호부(都護府)로 승격했다.
  • 고려 신종 7년에는 (1204년) 동경(東京) 야별초(野別抄) 패좌(悖佐) 등의 무리를 모아 반란을 일으켜 부에서 이를 평정함에 유공하여 대도호부(大都護府)로 승격했다.
  • 고려 충렬왕 34년(1308년) 복주목(福州牧)으로 고쳐 목사(牧使)를 두었다. 고려 공민왕 10년(1361) 공민왕 10년(1361) 홍건적 난리에 왕이 이곳까지 피난할 당시 고을 사람들이 정성껏 받들어 다시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로 승격했다.
  • 고려 우왕 9년 (1383년) 안동도로 고쳐 원사 겸 부사를 두었다가 동 14년(1388년) 부사로 환원하였다.

조선

  • 조선 세조 때 진을(鎭) 두고 부사(府使)로 병마절도부사를 겸하게 했다가 얼마 안 가서 부사는 폐지했다.
  • 조선 선조 9년 (1576년) 관내에 패륜아가 그 어머니를 죽인 변이 있어 현(縣)으로 격하되었다. 선조 14년 (1581) 고장 사람들의 상소로 다시 부로(府) 회복됨.
  • 조선 영조 52년 (1776년) 도현(道縣)의 모반으로 다시 현(縣)으로 격하하였으나 정조 9년 (1785) 다시 부(府)로 회복되었다.
  • 조선 고종 32년 (1895년) 양력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지방제도를 개정하여 팔도를 폐하고 전국을 23관찰부로 고치면서 안동에 관찰부를 두고 안동군 등 경상도 동북부 17개군을 관할토록 하였다. [1]
  • 건양 원년 (1896년) 양력 8월 4일 23개 관찰부를 폐하고 13도로 개편하게 됨으로써 안동 관찰부는 만 1년 1개월 만에 폐지되고, 경상북도의 관할로 바뀌었다. 안동군 감천면은 예천군에, 내성면·춘양면·소천면·재산면은 봉화군에 각각 편입되었다. [2]

일제침략기

경상북도령 제2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안동군 동선면 일원, 북선면 일원 안동군 와룡면 일원
안동군 임남면 일원, 길안면 일원 안동군 길안면 일원
안동군 서선면 일원, 풍현내면 일원 안동군 풍산면 일원
예안군 읍내면 일원, 동상면 일원, 동하면 일원 안동군 예안면 일원
예안군 북면 일원, 서면 일원 안동군 녹전면 일원
예안군 의동면 일원, 의서면 일원 안동군 도산면 일원
  • 1931년 4월 1일 안동면이 안동읍으로 승격하고, [5] 일부 면을 통폐합함으로써 1읍 15개면 218개동으로 개편되었다.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안동면 일원 안동읍
임현내면·임서면 일원 임하면
경상북도령 제83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풍남면·풍서면 일원(소산동 제외) 풍천면
풍산면·풍북면 일원, 풍서면 소산동 풍산면
임북면·동후면 일원 월곡면
  • 1944년 경북선 점촌 ~ 안동 구간이 폐선되었다.(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며 원인은 태평양전쟁에 동원할 고철의 부족 때문이었음)

대한민국

  • 1947년 1월 1일 일본식 정(町) 체계가 동(洞)으로 일괄 변경되었다.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안동읍 상반정·옥동정·팔현정·법상정1~5정목·팔굉정1~5정목·본정1~4정목·태사정·앵정·율세정·신세정·영남정·남문정1~2정목·명륜정1~2정목·안막정 안동읍 평화동·운안동·옥동·태화동·대석동·옥야동·광석동·당북동·법상동·금곡동·화성동·안흥동·삼산동·서부동·북문동·율세동·옥정동·신세동·남문동·법흥동·동부동·운흥동·천리동·남부동·목성동·명륜동·신안동·안막동·상아동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월곡면 나소리·가류리·도곡리·절강리 와룡면 일부
예안면 오천리 일부 와룡면 오천리
월곡면 마동리·사월리 임동면 일부
월곡면 노산리·석동리 임하면 일부
길안면 지례리·지리 임동면 일부
임하면 망천리 임동면 망천리
임하면 현하리 길안면 현하리
예안면 서부리·동부리·선양리 일부 도산면 서부리·동부리·선양리
월곡면 계곡리·구룡리·도목리·기사리·미질리·정산리·주진리 예안면 일부
  • 1983년 2월 15일 안동군 와룡면, 남선면, 임하면, 남후면 일부가 안동시에 편입[11]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와룡면 서지1·2리 일부 안동시 상아동 일부 (명륜동사무소 관할)
남후면 수상1·2리, 수하1·2리 안동시 수상동, 수하동 (강남동사무소 관할)
남선면 정상리, 정하리 안동시 정상동, 정하동 (강남동사무소 관할)
임하면 송천1·2·3리, 석동리 안동시 송천동, 석동동 (송천동사무소 관할)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풍산읍 단호1·2리 안동군 남후면 단호1·2리
와룡면 서현2리 안동군 북후면 대현리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안동군 지례출장소 안동군 임동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안동군 임하면 사의1·2리 폐지
안동군 임동면 지례1·2리 안동군 길안면 지례리
안동군 임동면 수곡2리 폐지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안동시 중구동, 동남동 안동시 중구동
안동시 명륜동, 안막동 안동시 명륜동
안동시 옥률동, 신흥동 안동시 동구동
안동시 대흥동, 대신동, 당북동 안동시 서구동
안동시 화성동(중구동사무소 관할) 안동시 화성동(법상동사무소 관할)
안동시 운안동(안기동사무소 관할) 안동시 안기동(평화동사무소 관할)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안동시 중구동, 동구동 안동시 중구동
안동시 용성동, 송천동 안동시 용상동
안동시 서구동, 강남동 안동시 서구동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법정동
안동시 법상동 안동시 서구동 법상동, 금곡동, 화성동
안동시 서구동 안흥동, 대석동, 옥야동, 광석동, 당북동
안동시 강남동 정상동, 정하동, 수상동, 수하동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안동시 어담출장소 안동시 풍천면사무소 관할
안동시 삼계출장소 안동시 예안면사무소 관할
안동시 서부출장소 안동시 도산면사무소 관할
안동시 송천민원중계소 안동시 용상동사무소 관할
안동시 법상민원중계소 안동시 서구동사무소 관할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