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리학: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KoreaNurse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메이 (토론 | 기여)
잔글 KoreaNurse(토론)의 편집을 Ykhwong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2번째 줄: 2번째 줄:


'''병리학''' (病理學, {{lang|en|pathology}})은 병의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의 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지기로는 [[세포]], [[조직 (생물학)|조직]], [[기관 (생물)|장기]]의 표본을 육안이나 [[현미경]]등을 이용하여 검사해, 그것들이 [[질병]]에 침범되었을 때에 어떤 변화를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병리학''' (病理學, {{lang|en|pathology}})은 병의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의 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지기로는 [[세포]], [[조직 (생물학)|조직]], [[기관 (생물)|장기]]의 표본을 육안이나 [[현미경]]등을 이용하여 검사해, 그것들이 [[질병]]에 침범되었을 때에 어떤 변화를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병리학에서 다룰만한 범죄==
병리학은 질병의 근본을 다루는 학문이다.
일부 범죄가 발생하면 질병이 함께 발병하기도 하므로 병리학에서 해당 범죄를 다룰만한다.
무릎연골을 도려내는 징병기피죄가 발생하였을때 무릎연골이 절단되었을때의 관련 범죄(징병기피죄) 병리학에서 다루는 식이다.
 
== 분류 ==
== 분류 ==
학문의 하나로써는 일반에게 알려진 것보다 더 포괄적인 내용을 다루게 된다. 학자에 따라서 병리학은 사람을 다루는 인체병리학과 사람이외의 검체를 다루는 실험병리학으로 나누기도 하고, 연구 대상에 따라 외과병리학(별칭으로 조직병리학과 [[해부병리학]]이 있다.), 세포병리학, 임상병리학, 실험병리학으로 나눌 수도 있다. (인체)병리학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정상 구조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하므로 해부학 및 조직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병원에서 병리의사는 병리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임상의사들에게 병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병리학적 진단을 내려준다. 따라서 종종 의학분야에서 병리학은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의 중간자라고도 일컬어진다.
학문의 하나로써는 일반에게 알려진 것보다 더 포괄적인 내용을 다루게 된다. 학자에 따라서 병리학은 사람을 다루는 인체병리학과 사람이외의 검체를 다루는 실험병리학으로 나누기도 하고, 연구 대상에 따라 외과병리학(별칭으로 조직병리학과 [[해부병리학]]이 있다.), 세포병리학, 임상병리학, 실험병리학으로 나눌 수도 있다. (인체)병리학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정상 구조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하므로 해부학 및 조직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병원에서 병리의사는 병리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임상의사들에게 병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병리학적 진단을 내려준다. 따라서 종종 의학분야에서 병리학은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의 중간자라고도 일컬어진다.

2016년 5월 16일 (월) 09:58 판

병리학 (病理學, pathology)은 병의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의 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지기로는 세포, 조직, 장기의 표본을 육안이나 현미경등을 이용하여 검사해, 그것들이 질병에 침범되었을 때에 어떤 변화를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분류

학문의 하나로써는 일반에게 알려진 것보다 더 포괄적인 내용을 다루게 된다. 학자에 따라서 병리학은 사람을 다루는 인체병리학과 사람이외의 검체를 다루는 실험병리학으로 나누기도 하고, 연구 대상에 따라 외과병리학(별칭으로 조직병리학과 해부병리학이 있다.), 세포병리학, 임상병리학, 실험병리학으로 나눌 수도 있다. (인체)병리학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정상 구조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하므로 해부학 및 조직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병원에서 병리의사는 병리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임상의사들에게 병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병리학적 진단을 내려준다. 따라서 종종 의학분야에서 병리학은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의 중간자라고도 일컬어진다.

연관분야

의학에 있어 임상의사에게 채취된 인체의 표본으로 병리검사를 시행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리게 하여 준다. 법의학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이다. 대부분의 법의학자들은 병리학자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