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소참진드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118.38.196.173(토론)의 15393812판 편집을 되돌림
1번째 줄: 1번째 줄:
{{생물 분류
{{생물 분류
| 이름 = 섹스킹
| 이름 = 작은소참진드기
| 그림 = Haemaphysalis longicornis 1.jpg
| 그림 = Haemaphysalis longicornis 1.jpg
| 그림2 = Haemaphysalis longicornis 3.jpg
| 그림2 = Haemaphysalis longicornis 3.jpg

2016년 4월 1일 (금) 01:47 판

작은소참진드기

충혈된 암컷 진드기.
충혈된 암컷 진드기.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거미강
아강: 진드기아강
상목: 기생진드기상목
목: 후기문진드기목
과: 끈끈참진드기과
속: 가시들피참진드기속
종: 작은소참진드기
(H. longicornis)
학명
Haemaphysalis longicornis
Neumann, 1901

작은소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는 진드기의 한 종이다.[1] 라임병반점열, 리케차의 매개체이다.[2]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 바이러스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작은소참진드기는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 서식하며, 국내에서는 부산, 제주, 서울, 경기도등 전국적 분포가 확인되고 있다.[4] 성충의 몸길이는 약 3밀리미터이지만 피를 빨면 약 10밀리미터까지 커진다.[5]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 감염

작은소참진드기를 통해 발생하는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은 주로 동북아를 중심으로 발견되고 있다.

중꿔에서는 2007년 5월 ~ 2010년 9월 557명의 환자가 발생하였고 18명이 목숨을 잃었다. [6]

2013년 1월 30일 일본 후생노동성은 야마구치 현의 여성이 이 진드기가 옮기는 바이러스 전염병인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FTS)으로 숨졌다고 발표한 이래, 2013년 2월 13일에도 2명이 숨졌다고 발표했다. 사망자는 에히메 현미야기 현에 사는 성인 남성으로 2012년 가을에 사망하였다. [7]

2013년 5월 16일 제주도에서 이 진드기가 옮기는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FTS)에 걸려 숨진 것으로 추정되는 환자가 발생하였다. 질병관리본부는 감염 의심 사례가 더 있다고 밝혔다. [8], 또한 제주도에서는 70대 노인이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려 숨졌다. 대한민국에서는 300명이 입원하여, 1명이 숨을 거둔 셈이다.

각주

  1. Peter J. Gosling (2005). 《Dictionary of parasitology》. CRC Press. 153–쪽. ISBN 978-0-415-30855-7. 
  2. Meng Z., Jiang L. P., Lu Q. Y., Cheng S. Y., Ye J. L. & Zhan L. (2008년 12월). “Detection of co-infection with Lyme spirochetes and spotted fever group rickettsiae in a group of Haemaphysalis longicornis”. 《Zhonghua Liu Xing Bing Xue Za Zhi》 (중국어) 29 (12): 1217–1220. PMID 19173967. 
  3. 연합뉴스 하채림 '살인 진드기' 바이러스 국내서도 확인(종합)
  4. 작은소참진드기, 한국동식물도감, 2013년 2월 15일 확인
  5. 야마니치현 위생환경 연구소 (2013)
  6. 中 '살인진드기' 공포…18명 목숨 앗아가
  7. 일본 살인 진드기 피해자 3명으로 늘어(종합), 연합뉴스, 2013년 2월 13일
  8. 질병관리본부 "살인진드기 감염사례 더 있다"전기연《아주경제》2013-05-16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