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침례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62번째 줄: 62번째 줄:


=== 신앙고백의 의의===
=== 신앙고백의 의의===
청교도들은 카톨릭과 성공회가 번갈아 획득한 국가 권력에 의해 탄압을 받았다. 이 시기에 장로파 청교도들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독립파의 사보이 신앙고백이 세상에 얼굴을 내밀었고, 침례파 청교도들도 1차, 2차에 걸처 런던신앙고백을 발표되기도 했다. 침례파 청교도들은 장로파나 독립파 청교도들에 비해 더 많은 박해와 반대를 받았는데, 다른 청교도들에 비해 정권 참여도가 낮았고 상대적으로 교세가 약했기 때문이었다. 생존과 교회 자립에 분투해야만 했던 침례파 청교도 지도자들은 다른 청교도들과 마찬가지로 탁월한 신학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신학 논문과 저술에 그들의 역량을 사용하지 못했고 오직 교회 개척과 목회적 사명에 에너지를 쏟아야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것은 정부의 핍박이 거의 사라진 후, 정치에 깊게 발을 담궜던 장로파와 독립파 청교도들이 정치적으로 축출되어 교회들의 교세가 크게 위축된 시기에도 오히려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일익을 담당했다.
청교도들은 카톨릭과 성공회가 번갈아 획득한 국가 권력에 의해 탄압을 받았다. 이 시기에 장로파 청교도들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독립파의 사보이 신앙고백은 세상에 얼굴을 내밀었고, 침례파 청교도들 또한 1차, 2차에 걸처 런던신앙고백을 발표했다. 침례파 청교도들은 장로파나 독립파 청교도들에 비해 더 많은 박해와 반대를 받았다. 다른 청교도들에 비해 정권 참여도가 낮았고 상대적으로 교세가 약했기 때문이었다. 생존과 교회 자립에 분투해야 했던 침례파 청교도 지도자들은 다른 청교도들과 마찬가지로 탁월한 신학 지식을 소요하고 있었지만, 신학 논문과 저술을 많이 남기지 못했다. 이유는 교회 개척과 목회에 에너지를 쏟았기 때문이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것은 정부의 핍박이 거의 사라진 후, 정치에 깊게 관여한 장로파와 독립파 청교도들이 정치적으로 축출될 때에도 특수 침례교회들이 위축되기 보다 오히려 안정과 성장을 이루게 했다.




특수 침례교회의 신앙고백은 정권의 박해 속에서 빛난 지도자들의 순수함까지 더해 지역 교회의 결집된 단결력과 교회 간의 연합을 이끌었다. 실천적으로는 성경적 교리의 건전성과 삶의 순수함을 사회에 드러냄으로써 영국 사람들로부터 지지와 사랑을 받게 한 원동력이었다. 그 결과로 특수 침례교회는 잉글랜드 각 지역에 뿌리 내리며 잉글랜드의 주류 교회가 되었다. 그 중에서도 특수 침례교회의 '1689 신앙고백'(제2차 런던신앙고백)은지금도 영미권과 세계 각 국에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함께 개혁파 교회들의 가장 건전한 교리와 신앙문서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특수 침례교회의 신앙고백은 정권의 박해 속에서 빛난 지도자들의 순수함까지 더해졌다. 지역 교회 간의 결집된 단결력과 교회 간의 연합을 이끌어 내는 원동력도 되었다. 또한 성경적 교리의 건전성과 삶의 순수함을 사회에 드러냄으로써 영국 사람들로부터 지지와 사랑을 받게 했다. 그 결과, 특수 침례교회는 잉글랜드 각 지역에 뿌리 내렸고 지금 잉글랜드의 주류 교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수 침례교회의 '1689 신앙고백'(제2차 런던신앙고백) 오늘날 영미와 세계 각 국에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함께 개혁 신앙을 따르는 교회들의 가장 영향력 있고 건전한 신앙문서로 채택되고 있다.





2015년 10월 29일 (목) 09:47 판

개혁 침례교 또는 개혁파 침례교(Reformed Baptists)는 칼빈주의 구원론을 따르는 침례교(Calvinistic Baptists)로 분류할 수 있으나[1] 엄밀하게 말해서 개혁파 신앙을 따르는 침례교회(Reformed Baptist Churches)를 지칭(指稱)한다.[2]


개혁파 침례교회는 "제2차 런던신앙고백(1689)"으로 불리는 "1689 신앙고백서"를 신앙표준 문서로 수용(受容)한다.[3]


개혁파 침례교회의 태동

개혁파 침례교회는 재세례파 영향에서 태동한 일반 침례교회와 다른 기원을 가진다. 개혁파 침례교회의 기원은 몇 가지 설이 있으나 유럽 종교개혁의 칼빈과 제네바 운동에 영향을 받은 온건 분리파 청교도들이 형성한 특수 침례교회(Particular Baptists)로 보는 것이 지배적이다.[4]


일반 침례교(General Batists)는 재침례파 중 메노파(Mennonite)와 연대한 존 스미스(John Smyth, 1554-1612)에 의해 시작되었고, 특수 침례교(Particular Baptists)는 국교회를 탈퇴한 비국교회파 헨리 제이콥(Henry Jocob, 1563-1624)의 제일 회중교회에서 비롯되었다.[5]


장로파 청교도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1647)

Title page of a 1647 printing of the Confession

청교도들은 가장 먼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작성에 참여하였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은 1643년 7월 1일에 트위세 박사의 설교를 시작으로 1649년 2월 22일까지 5년 6개월 간 1,163회의 정규 모임을 거친 최고의 결과물이었다.


151명의 총회 대표 중 2~3명이 국교회파 출신이었고, 7명의 독립파 출신들도 있었다. 이들을 뺀 나머지는 모두 장로파였다. 그 중에 6명의 스코틀랜드 대표단들은 총회 진행 중 외회파와 왕정파 사이에 벌어진 시민 전쟁에서 스코틀랜드 원병의 도움으로 의회파가 승리하게 된 이후로 회의 과정에서 막강한 발언권을 행사했다. 드디어 1646년에 청교도들의 소망을 담은 개혁파 신앙의 정수인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이 탄생했다.


독립파 청교도의 사보이 신앙고백(1658)

사보이 신앙고백(1658) 표지

독립파 청교도들은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 숫자는 적었으나 큰 영향력을 발휘한 바 있다. 토마스 굿윈(Thomas Goodwin, 1600-1680)은 박식한 신학지식과 출중한 리더쉽으로 신앙고백 작성 초안에 큰 영향을 끼쳤고,[6] 제레마야 버로우스(Jeremiah Burroughs, 1600-1646)는 경건함과 인품을 바탕으로 교회 정치에 관한 청교도들간의 불일치를 해소하는데 큰 활약을 하였다.[7] 필립 네이(Philip Nye, 1595-1672)는 웨스트민스터 총회 회의에 관한 존 R. 허버트의 그림에서 토론 가운데 일어나 회장인 윌리엄 트위세(wiliam Twisse, 1578-1646)에게 발언하고 있는 장면의 주인공으로 유명하다.[8]


1658년 10월 12일 독립파 청교도들은 청교도의 황태자, 청교도 신학의 최고봉이라 일컫는 존 오웬(John Owen, 1616-1683)의 주도로 사보이 궁에 모여 회중교회의 신앙고백인 “The Savoy Declaration”을 발표했다. 사보이 신앙고백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단, 교회 정치 부분에서 상당 부분 의견을 달리하였다. 독립파 청교도들이 장로파 장로정치가 감독주의의 온건한 형태로 보았기 때문에 성경적으로 개혁이 불가피하다고 보았다. 그래서 사보이 신앙고백은 독립파 청교도들에게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교회정치를 성경적으로 개혁한 문서로 여겨진다.


웨스트민스터 총회에 대표로 참석했던 토마스 굿윈(Thomas Goodwin), 필립 네이(Philip Nye), 윌리엄 브릿지(William Bridge, 1600-1670), 조셉 카릴(Joseph Caryl), 윌리엄 그린힐(William Greenhill)이 재차 신앙고백 작성에 참여하였고, 존 하웨(John Howe)와 같은 당대 유명한 설교자를 포함한 약 120 여 교회 대표들이 사보이 신앙고백에 서명했다.


런던신앙고백(1644) 표지

침례파 청교도의 첫 신앙고백(1644)

1630-40년대에 비국교회파 청교도 내에 성경적 교회개혁의 움직임들은 교회 정치와 세례 부분에서 활발히 일어났다. 그 중에서 Jacob-Lanthrop-Jessey(J-L-J)의 제일 회중교회에서 나온 무리들과 다른 배경에서 생겨난 청교도들은 런던을 중심으로 특수 침례교회(Particular Baptists)를 이루었다. 1640년 중반까지 적어도 일곱 교회가 런던 부근에서 생겨났다.[9]


런던의 특수 침례교회들은 1644년에 처음으로 신앙고백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자신들의 존재를 세상에 알렸다. 교회들은 신앙고백 표지 서두에 "A CONFESSION OF FAITH of seven congregations or churches of Christ in London, which are commonly, but unjustly, called Anabaptists.." ("재침례파로 널리, 그러나 잘못되게 일컫는 일곱 교회들이 우리의 신앙을 고백한다.")라고 밝혔는데, 유아가 아닌 믿는 자에게 세례를 베푼 "신자의 세례"(Believer's Baptism)를 시행했기 때문에 재침례파로 여겨진 오해와 알미니우스 구원관을 가진 일반 침례교회와 구별하지 못했던 일반인들의 혼란을 종식시키기 위함이었다. [10] 침례파 청교도들의 첫 신앙고백은 발표된 곳의 지명에 의해 "런던신앙고백”(1644)이라고 부른다. 이 신앙고백은 유럽대륙의 제네바 운동과 개혁파 신앙을 계승하고 있음을 공표(公表)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11]


특수 침례교회의 첫 신앙고백은 그들이 재침례파나 일반 침례교회와 구별된 교회이고, 정통성과 교리적인 부분에서 다른 개혁파 청교도들과 형제된 교회임을 보여준 의미 있는 문서였다.


두 번째 신앙고백(1677/1689)

제2차 런던신앙고백(1689) 표지

1677년에 작성

침례파 청교도들은 1677년에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1647)와 사보이 신앙고백 선언서(1658)를 기초로 새 신앙고백 문서를 작성했다.[12] 세 신앙고백 간의 차이는 교회 정치와 세례 부분이다.[13] 개혁파 신학과 교리에서는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다.[14]

침례파 청교도들은 새로운 신앙고백서에서 '오직 성경'(Sola Scriptura)에 입각한 교회개혁 의지와 교회언약(church covenant)에 기초한 교회 조직과 운영에 대한 신념으로 일관성 있게 성경적 세례와 성경적 교회 정치를 표명하였다. 초안 작성은 윌리엄 콜린스(William Collins)와 느헤마야 콕세(Nehemiah Coxe)가 맡았다.[15] 그러나 왕당파가 재집권하고 이를 지탱하는 국교회가 비국교회파 청교도들을 극심하게 탄압하자 공식적 채택은 뒤로 무기한 연기되었다.


1689년에 공표: 제2차 런던 신앙고백(1689)

1689년 관용령(Act of Toleration)이 내려지자, 침례파 청교도들은 회의를 소집했다. 런던에서 7월 3일부터 11일까지 공식 모임을 가졌다. 주 안건은 1677년에 이미 작성된 새 신앙고백을 채택하는 것이었다. 새 신앙고백 발표는 장로파나 독립파 청교도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명실상부(名實相符)한 개혁파 신앙문서를 침례파 청교도들이 공식적으로 보유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회의에 웨일즈를 포함한 잉글랜드 전 지역의 특수 침례교회 대표단이 참석했다. 그들을 파송한 교회가 무려 100 여개나 되었다. 이는 곧 국교회의 박해 속에서도 특수 침례교회들이 얼마나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신앙고백의 의의

청교도들은 카톨릭과 성공회가 번갈아 획득한 국가 권력에 의해 탄압을 받았다. 이 시기에 장로파 청교도들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독립파의 사보이 신앙고백은 세상에 얼굴을 내밀었고, 침례파 청교도들 또한 1차, 2차에 걸처 런던신앙고백을 발표했다. 침례파 청교도들은 장로파나 독립파 청교도들에 비해 더 많은 박해와 반대를 받았다. 다른 청교도들에 비해 정권 참여도가 낮았고 상대적으로 교세가 약했기 때문이었다. 생존과 교회 자립에 분투해야 했던 침례파 청교도 지도자들은 다른 청교도들과 마찬가지로 탁월한 신학 지식을 소요하고 있었지만, 신학 논문과 저술을 많이 남기지 못했다. 그 이유는 교회 개척과 목회에 온 에너지를 쏟았기 때문이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것은 정부의 핍박이 거의 사라진 후, 정치에 깊게 관여한 장로파와 독립파 청교도들이 정치적으로 축출될 때에도 특수 침례교회들이 위축되기 보다 오히려 안정과 성장을 이루게 했다.


특수 침례교회의 신앙고백은 정권의 박해 속에서 빛난 지도자들의 순수함까지 더해졌다. 지역 교회 간의 결집된 단결력과 교회 간의 연합을 이끌어 내는 원동력도 되었다. 또한 성경적 교리의 건전성과 삶의 순수함을 사회에 드러냄으로써 영국 사람들로부터 지지와 사랑을 받게 했다. 그 결과, 특수 침례교회는 잉글랜드 각 지역에 뿌리 내렸고 지금 잉글랜드의 주류 교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수 침례교회의 '1689 신앙고백'(제2차 런던신앙고백)은 오늘날 영미와 세계 각 국에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함께 개혁 신앙을 따르는 교회들의 가장 영향력 있고 건전한 신앙문서로 채택되고 있다.


1677/1689 confession of faith 표지

1689 신앙고백의 명칭

1644년에 이어 1689년에 두 번째로 런던에서 채택된 특수 침례교회의 신앙고백은 런던에서 두 번째로 채택되었다는 뜻에서 “제2차 런던신앙고백”(The Second London Confession)이라고 하거나, 명확한 구분을 위해서 채택된 년도를 부각시켜 “1689 신앙고백”이라고도 한다. 오늘날 대부분의 개혁파 침례교회들은 간명하게 줄여 “1689 침례신앙고백”으로 즐겨 부른다. 간혹 학자들 사이에서 학문적 목적으로 작성된 년도(1677)와 채택된 년도(1689)를 동시에 표시해 “1677/1689 런던신앙고백”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특수 침례교회 지도자

1689 신앙고백에 서명한 특수 침례교회 지도자들로는 케임브리지 출신이며 탁월한 설교가였던 핸서드 놀리즈(Hanserd Knollys, 1598-1691)와 특수 침례교회 개척에 탁월한 역량을 발휘한 제일 회중교회 출신의 윌리엄 키핀(William Kiffin, 1616-1701)과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침례교버전으로 유명한 정통요리문답(Orthodox Catechism, 1680)을 만든 허쿨리즈 콜린스(Hercules Collins, 1646-1702)와 특수 침례교회에게 경건한 찬송을 장려하고 성경 비유와 은유(parables and metaphors of Scripture)에 관한 책으로 이름을 떨친 벤자민 키이치(Benjamin Keach, 1640-1704)가 있었다. 천로역정의 저자이자, 베드포드 교회 목회자였던 최고의 설교자 존 번연(John Bunyan 1628-1688)은 신앙고백이 채택되던 전 해에 주의 품에 안기게 되어 신앙고백을 서명하는 영예(榮譽)를 얻지 못했다.


청교도들의 세 가지 개혁파 신앙고백

This painting by John Rogers Herbert depicts a particularly controversial speech before the Assembly by Philip Nye against presbyterian church government.[16]

개혁파 교회들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1647), 사보이 신앙고백(1658), 제2차 런던신앙고백(1689)을 청교도들의 대표 신앙고백으로 손꼽는다.[17] 세 신앙고백서의 비교는 2007년 Don Lowe & James N. Anderson에 의해 체계화되었다.[18]


참조

  1. Ward, Rowland; Humphreys, Robert (1995). Religious Bodies in Australia: A comprehensive Guide (3rd ed.). New Melbourne Press. p. 119.
  2. Jim Savastio, What is a Reformed Baptist Church?, Simpson Publishing, 2003. p.3-7.
  3. Jim Savastio, What is a Reformed Baptist Church?, Simpson Publishing, 2003. p.2-3.
  4. Tom Nettles, The Baptists: Key People Involved in Forming a Baptist Identity, vol. 1, Fearn, Ross-Shire, Scotland: Christian Focus, 2005, p. 111.
  5. 특수 침례교회의 기원에 대하여는 D. M. Lloyd-Jones, John Bunyan: Church Union, The 1978 Westminster Conference, 87~88.을 참조하라.
  6. 오덕교, 청교도 이야기, 이레서원, p.122-123.
  7. Joel Beeke and Randall J. Pederson, Meet the Puritans, RHB, 2006, p.119-120.
  8. http://www.bbc.co.uk/arts/yourpaintings/paintings/assertion-of-liberty-of-conscience-by-the-independence-of213923
  9. 조엘비키, 칼빈주의: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는 삶, 지평서원, p.75.
  10. B.S. Poh, A Garden Enclosed: A historical study and evaluation of the form of church government practiced by the Particular Baptist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Good News Enterprise, 2013, p.4.
  11. 조엘비키, 칼빈주의: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는 삶, 지평서원, p.75.
  12. Erroll Hulse, Who are the Puritans?... and what do they teach?, Darlington: Evangelical Press, p.57.
  13. Michael A. G. Haykin, Kiffin, Knollys and Keach: Rediscovering our English Baptist heritage (Leeds:Reformation Today Trust, 1996), p.62-63.
  14. 조엘비키, 칼빈주의: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는 삶, 지평서원, p.77.
  15. 조엘비키, 칼빈주의: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는 삶, 지평서원, p.77.
  16. de Witt 1969, 112쪽.
  17. Malcom H. Watts, etc. Affirmation 2010, Bible League, p.13
  18. http://www.proginosko.com/docs/wcf_sdfo_lbcf.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