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불로동 고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amobot (토론 | 기여)
인용 틀 변수 이름 수정
수정
1번째 줄: 1번째 줄:
{{유형문화재 정보
{{문화재 정보
| 이름 = 대구 불로동 고분군<br />(大邱 不老洞 古墳群)
|소재_국가 = [[대한민국]]
| 그림 =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 그림크기 = 150
|유형 =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 그림설명 =
|그림 =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 그림크기 = 150
| 국가 = {{KOR}}
|이름 = 대구 불로동 고분군<br />(大邱 不老洞 古墳群)
| 유형 = [[대한민국의 사적 (제201호 ~ 제300호)#제201호 ~ 제300호|사적]]
|지정_번호 = 262
| 번호 = 262
|지정연월일 = [[1978년]] [[6월 23일]]
| 지정 = [[1978년]] [[6월 23일]]
|해지연월일 =
| 해지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대구광역시)|동구]] [[불로동 (대구)|불로동]]
|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대구광역시)|동구]] [[불로동]] 335번지
|소유자 = 국유,사유
|수량 =
| 시대 = [[삼국시대]]
|연면적 = 298,824㎡
| 소유 =
| 참고 =
|좌표 = {{좌표3|35.9153864|N|128.6448402|E}}
| 면적 = 312,239㎡
|제작_시기 = [[삼국시대]]
| 수량 =
|비고 = 유적건조물 / 무덤 / 고분군
| 전승지 =
| 전승자 =
| 지도 = 대한민국
| 띄움 =
| 꼬리표 = 대구 불로동
| 너비 =
| 대체지도 =
| 설명 =
| 위도도 = 35 |위도분 = 54 |위도초 = 55.4 |남북 = N
| 경도도 = 128 |경도분 = 38 |경도초 = 39.1 |동서 = E
| 웹사이트 =
| 문화재청 = 13,02620000,22
}}
}}


'''대구 불로동 고분군'''(大邱 不老洞 古墳群)은 [[대구광역시]] [[동구 대구광역시)|동구]] [[불로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고분군이다. [[1978년]] [[6월 23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62호로 지정되었다.
'''대구 불로동 고분군'''(大邱 不老洞 古墳群)은 [[삼국시대]]의 무덤군이다. [[사적]] 제262호로 지정되어 있다. [[대구광역시]] [[동구 (대구광역시)|동구]] [[불로동 (대구)|불로동]]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 일대를 지배하고 있던 토착 지배 세력의 집단 무덤으로 알려져 있는데, 외형이 명확하지 않은 고분을 제외하고도 그 수가 무려 211기에 이른다. 언뜻 봐도 수백기가 족히 넘어 보이는데, 분구의 규모는 지름 15~20m, 높이 4m 전후하여 제법 웅장한 느낌을 준다. 매장 주체부인 수혈식석곽의 규모는 길이 4.5~8m, 너비 0.8~1.2m, 깊이 1.0~2.2m 정도이다. 석곽의 네 벽은 냇돌 또는 깬돌을 이용하여 쌓고, 바닥은 특별한 시설을 하지 않는다. 일부 석곽에는 간벽을 쌓아 유물을 부장하는 공간과 시신을 매장하는 것이다. 발굴 당시 이미 상당수의 금은제 유물이 도굴된 뒤였지만, 고대사회의 일면과 대구 분지의 옛 모습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1978년 한국의 고분군으로서는 최초로 사적 제262호로 지정되었다.<ref>{{서적 인용 |저자=사단법인 [[한국여행작가협회]] |기타= |제목=대한민국 걷기 좋은 길 111 |꺾쇠표= 예 |날짜=2009 |출판사=㈜위즈덤하우스 |id=ISBN 978-89-92879-05-7 |쪽=110 }}</ref>

== 개요 ==
대구시 불로동과 입석동 구릉 서남면에 있는 수십기의 크고 작은 무덤들이다.

무덤의 지름은 15∼20m, 높이 4∼7m 정도가 보통이며, 내부구조는 냇돌 또는 깬돌로 4벽을 쌓고, 판판하고 넓적한 돌로 뚜껑을 덮은 직사각형의 돌방이 있으며, 그 위에 자갈을 얹고 흙을 덮었다. 껴묻거리(부장품)로 금제 혹은 금동제 장신구와 철제무기 무늬를 새긴 토기 등 많은 출토물이 있다.

이 무덤들은 대개 5세기 전후경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 지역 일대를 지배하고 있던 토착 지배세력의 집단무덤으로 추측한다.

불로동 무덤들은 위치가 구릉이라는 점, 무덤 내부가 돌무지 무덤과 비슷하게 깬돌로 지은 점, 그리고 돌방이 지나치게 가늘고 긴 점에서 낙동강 중류 지역 계통임을 알게 해 준다. 그러나 유물의 형태나 질이 신라와 유사하여 이 지역 세력의 복잡한 문화양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 고분군 ==
[[대구광역시]] [[동구 (대구광역시)|동구]] [[불로동 (대구)|불로동]]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 일대를 지배하고 있던 토착 지배 세력의 집단 무덤으로 알려져 있는데, 외형이 명확하지 않은 고분을 제외하고도 그 수가 무려 211기에 이른다. 언뜻 봐도 수백기가 족히 넘어 보이는데, 분구의 규모는 지름 15~20m, 높이 4m 전후하여 제법 웅장한 느낌을 준다. 매장 주체부인 수혈식석곽의 규모는 길이 4.5~8m, 너비 0.8~1.2m, 깊이 1.0~2.2m 정도이다. 석곽의 네 벽은 냇돌 또는 깬돌을 이용하여 쌓고, 바닥은 특별한 시설을 하지 않는다. 일부 석곽에는 간벽을 쌓아 유물을 부장하는 공간과 시신을 매장하는 것이다. 발굴 당시 이미 상당수의 금은제 유물이 도굴된 뒤였지만, 고대사회의 일면과 대구 분지의 옛 모습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1978년 한국의 고분군으로서는 최초로 사적 제262호로 지정되었다.<ref>{{서적 인용 |저자=사단법인 [[한국여행작가협회]] |기타= |제목=대한민국 걷기 좋은 길 111 |꺾쇠표= 예 |날짜=2009 |출판사=㈜위즈덤하우스 |id=ISBN 978-89-92879-05-7 |쪽=110 }}</ref>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24번째 줄: 48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토막글|한국사}}

[[분류:대구광역시의 사적]]
[[분류:삼국 시대의 문화]]
[[분류:대구광역시의 무덤]]
[[분류:대구광역시의 무덤]]
[[분류:대구 동구]]
[[분류:대구광역시의 사적]]
[[분류:대구 동구의 문화재|불로동 고분군]]
[[분류:삼국시대의 무덤]]

2015년 6월 28일 (일) 19:24 판

대구 불로동 고분군
(大邱 不老洞 古墳群)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사적
종목사적 제262호
(1978년 6월 23일 지정)
면적312,239㎡
시대삼국시대
위치
주소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335번지
좌표북위 35° 54′ 55.4″ 동경 128° 38′ 39.1″ / 북위 35.915389° 동경 128.644194°  / 35.915389; 128.644194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대구 불로동 고분군(大邱 不老洞 古墳群)은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고분군이다. 1978년 6월 23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62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대구시 불로동과 입석동 구릉 서남면에 있는 수십기의 크고 작은 무덤들이다.

무덤의 지름은 15∼20m, 높이 4∼7m 정도가 보통이며, 내부구조는 냇돌 또는 깬돌로 4벽을 쌓고, 판판하고 넓적한 돌로 뚜껑을 덮은 직사각형의 돌방이 있으며, 그 위에 자갈을 얹고 흙을 덮었다. 껴묻거리(부장품)로 금제 혹은 금동제 장신구와 철제무기 무늬를 새긴 토기 등 많은 출토물이 있다.

이 무덤들은 대개 5세기 전후경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 지역 일대를 지배하고 있던 토착 지배세력의 집단무덤으로 추측한다.

불로동 무덤들은 위치가 구릉이라는 점, 무덤 내부가 돌무지 무덤과 비슷하게 깬돌로 지은 점, 그리고 돌방이 지나치게 가늘고 긴 점에서 낙동강 중류 지역 계통임을 알게 해 준다. 그러나 유물의 형태나 질이 신라와 유사하여 이 지역 세력의 복잡한 문화양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고분군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 일대를 지배하고 있던 토착 지배 세력의 집단 무덤으로 알려져 있는데, 외형이 명확하지 않은 고분을 제외하고도 그 수가 무려 211기에 이른다. 언뜻 봐도 수백기가 족히 넘어 보이는데, 분구의 규모는 지름 15~20m, 높이 4m 전후하여 제법 웅장한 느낌을 준다. 매장 주체부인 수혈식석곽의 규모는 길이 4.5~8m, 너비 0.8~1.2m, 깊이 1.0~2.2m 정도이다. 석곽의 네 벽은 냇돌 또는 깬돌을 이용하여 쌓고, 바닥은 특별한 시설을 하지 않는다. 일부 석곽에는 간벽을 쌓아 유물을 부장하는 공간과 시신을 매장하는 것이다. 발굴 당시 이미 상당수의 금은제 유물이 도굴된 뒤였지만, 고대사회의 일면과 대구 분지의 옛 모습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1978년 한국의 고분군으로서는 최초로 사적 제262호로 지정되었다.[1]

참고 자료

각주

  1. 사단법인 한국여행작가협회 (2009). 《대한민국 걷기 좋은 길 111》. ㈜위즈덤하우스. 110쪽. ISBN 978-89-92879-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