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다양체: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 정의 ==
== 정의 ==
<math>K</math>가 [[대수적으로 닫힌 체]]라고 하자. <math>k</math>에 대한 '''대수다양체'''는 국소적으로 [[아핀 대수다양체]]와 동형인 [[환 달린 공간]]이다. 즉, [[환 달린 공간]] <math>X</math> 위에 [[열린 덮개]] <math>\{U_\alpha\}</math>가 존재하여, <math>U_\alpha</math> 각각이 [[아핀 대수다양체]]를 이루는 경우다.<ref name="Hartshorne">{{책 인용 | 이름=Robin|성=Hartshorne| 날짜 = 1977|제목=[[대수기하학 (하츠혼)|Algebraic geometry]]|저자고리=로빈 하츠혼|고리=|출판사=Springer| isbn = 978-0-387-90244-9|mr=0463157 | zbl = 0367.14001 | 언어고리=en|doi=10.1007/978-1-4757-3849-0|총서=Graduate Texts in Mathematics|권=52|issn=0072-5285}}</ref>{{rp|58}}
<math>K</math>가 [[대수적으로 닫힌 체]]라고 하자. <math>k</math>에 대한 '''대수다양체'''는 국소적으로 아핀 대수다양체와 동형인 [[환 달린 공간]]이다. 즉, [[환 달린 공간]] <math>X</math> 위에 [[열린 덮개]] <math>\{U_\alpha\}</math>가 존재하여, <math>U_\alpha</math> 각각이 아핀 대수다양체를 이루는 경우다.<ref name="Hartshorne">{{책 인용 | 이름=Robin|성=Hartshorne| 날짜 = 1977|제목=[[대수기하학 (하츠혼)|Algebraic geometry]]|저자고리=로빈 하츠혼|고리=|출판사=Springer| isbn = 978-0-387-90244-9|mr=0463157 | zbl = 0367.14001 | 언어고리=en|doi=10.1007/978-1-4757-3849-0|총서=Graduate Texts in Mathematics|권=52|issn=0072-5285}}</ref>{{rp|58}}


정의를 바탕으로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는 대수다양체를 일반화한 [[스킴 (수학)|스킴]] 개념을 정의하였다. [[스킴 (수학)|스킴]] 용어를 사용하면, [[대수적으로 닫힌 체]] <math>K</math>에 대하여, <math>K</math>-대수다양체는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math>K</math>-스킴 <math>X\to\operatorname{Spec}K</math>이다.<ref name="Hartshorne"/>{{rp|105}}
정의는 [[스킴 (수학)|스킴 이론]] 사용하여 서술할 있다. [[대수적으로 닫힌 체]] <math>K</math>에 대하여, '''<math>K</math>-대수다양체'''는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math>K</math>-스킴 <math>X\to\operatorname{Spec}K</math>이다.<ref name="Hartshorne"/>{{rp|105}}
* 기약 스킴({{llang|en|irreducible scheme}})이다. 이는 대수다양체를 기약 대수 집합으로 국한시키는 것이며, 위상 공간으로서의 [[연결 공간|연결성]]보다 더 강한 조건이다.
* 기약 스킴({{llang|en|irreducible scheme}})이다. 이는 대수다양체를 기약 대수 집합으로 국한시키는 것이며, 위상 공간으로서의 [[연결 공간|연결성]]보다 더 강한 조건이다.
* 축소 스킴({{llang|en|reduced scheme}})이다. 이는 <math>K[x,y]/(y^2)</math>와 같은 [[멱영원]]의 부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멱영원은 기하학적으로 [[싹 (수학)|싹]]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축소 스킴({{llang|en|reduced scheme}})이다. 이는 <math>K[x,y]/(y^2)</math>와 같은 [[멱영원]]의 부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멱영원은 기하학적으로 [[싹 (수학)|싹]]으로 해석할 수 있다.

2015년 2월 14일 (토) 10:34 판

대수기하학에서, 대수다양체(代數多樣體, 영어: algebraic variety)란 다항식들로 주어지는 방정식들의 집합이다. 고전적인 대수기하학에서 다루는 기본적인 대상이다. 방정식을 정의하는 공간에 따라 아핀 대수다양체사영 대수다양체 등이 있다.

정의

대수적으로 닫힌 체라고 하자. 에 대한 대수다양체는 국소적으로 아핀 대수다양체와 동형인 환 달린 공간이다. 즉, 환 달린 공간 위에 열린 덮개 가 존재하여, 각각이 아핀 대수다양체를 이루는 경우다.[1]:58

이 정의는 스킴 이론을 사용하여 서술할 수 있다. 대수적으로 닫힌 체 에 대하여, -대수다양체는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스킴 이다.[1]:105

  • 기약 스킴(영어: irreducible scheme)이다. 이는 대수다양체를 기약 대수 집합으로 국한시키는 것이며, 위상 공간으로서의 연결성보다 더 강한 조건이다.
  • 축소 스킴(영어: reduced scheme)이다. 이는 와 같은 멱영원의 부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멱영원은 기하학적으로 으로 해석할 수 있다.
  • 분리 스킴(영어: separated scheme)이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아핀 직선 을, 0을 제외한 열린 집합 에서 이어붙여, 원점이 두 개가 있는 아핀 직선을 만들 수 있는데, 이는 분리 스킴이 아니다.[1]:75–76, Example 2.3.6 이는 위상 공간하우스도르프 조건에 대응한다.
  • 사상 유한형 사상이다. 이는 대수다양체가 국소적으로 다항식환 의 몫대수의 꼴임을 뜻하며, 이에 따라 대수다양체는 유한한 차원을 갖는다.

종류

고전적 대수기하학에서는 보통

  • 아핀 다양체(affine代數多樣體, 영어: affine variety)
  • 준아핀 다양체(準affine代數多樣體, quasiaffine variety)
  • 사영 다양체(射影代數多樣體, 영어: projective variety)
  • 준사영 다양체(準射影代數多樣體, 영어: projective variety)

를 정의한다.

아핀 다양체

대수적으로 닫힌 체 (복소수체 등)라고 하자. 에 대한 아핀 공간이라고 하자. 가 다항식환 의 부분 집합이라고 할 때, 의 원소들의 근의 교집합이라고 하자. 즉

이다. 그렇다면 아핀 대수 집합(affine代數集合, affine algebraic set) 이란 이 존재하는 부분 집합이다. 아핀 다양체는 두 개의 아핀 대수 집합의 자명하지 않는 합집합(즉, 둘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부분집합이 아닌 경우)으로 나타낼 수 없는 아핀 대수 집합이다.

아핀 대수집합에는 자리스키 위상이라는 자연스러운 위상이 존재한다. 따라서 모든 아핀 대수집합은 위상 공간을 이룬다.

준아핀 다양체는 아핀 다양체의 (자리스키 위상에 따라) 열린 부분 집합이다.

사영 다양체

대수적으로 닫힌 체 (복소수체 등)라고 하자. 에 대한 사영 공간이라고 하자. 동차 다항식으로만 이루어져 있다고 하자. 그렇다면 의 원소들의 근의 교집합이라고 하자. 즉

이다. (다항식이 동차 다항식이 아닌 경우에는 사영 공간에서의 근을 정의할 수 없다.) 사영 대수 집합(射影代數集合, 영어: projective algebraic set) 이란 동차 다항식 부분 집합 이 존재하는 부분 집합이다. 사영 다양체는 두 개의 사영 대수집합의 자명하지 않는 합집합(즉, 둘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부분 집합이 아닌 경우)으로 나타낼 수 없는 사영 대수집합이다. 준사영 다양체는 사영 대수다양체의 (자리스키 위상에 따라) 열린 집합이다. 아핀 공간사영공간의 열린 부분집합이므로, 모든 아핀 다양체는 준사영 다양체다.

성질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대수다양체들에 대하여, 다음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아핀 다양체 ⊊ 준아핀 다양체 ⊊ 준사영 다양체 ⊊ 대수다양체 ⊊ -스킴
사영 다양체 ⊊ 준사영 다양체 ⊊ 대수다양체 ⊊ -스킴
아핀 다양체 ⊊ 아핀 대수 집합 ⊊ -스킴
사영 다양체 ⊊ 사영 대수 집합 ⊊ -스킴

이는 아핀 공간 사영 공간 자리스키 열린 집합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아핀 다양체는 사영 다양체일 필요가 없고, 반대로 사영 다양체는 아핀 다양체일 필요가 없다. 아핀/사영 다양체가 아닌 아핀/사영 대수 집합은 대수다양체가 아니다.

역사

아핀 다양체는 고대부터 유클리드 공간초곡면으로 오랫동안 연구되었다. 이후 복소수의 등장으로 대수기하학이 대수적으로 닫힌 체에서 훨씬 더 쉽다는 사실이 발견되었고, 또 사영기하학이 발달하면서 사영 공간 속의 (준)사영 다양체의 개념이 대두되었다.

"국소적으로 아핀 다양체와 동형인 공간"이라는, 대수다양체의 추상적인 정의는 앙드레 베유가 1946년에 제안하였다.[2] 베유는 원래 추상적 대수다양체의 개념을 야코비 다양체를 정의하려고 정의했는데,[3] 베유는 야코비 다양체가 사실 (준)사영 대수다양체라는 것을 보일 수 없었다. 이후 1954년에 저우웨이량이 사실은 사영 다양체라는 것을 보였다.[4]

베유 이후, 장피에르 세르가 대수다양체를 환 달린 공간의 개념을 사용하여 재정의하였다.[5] 이 정의는 복소수에 대한 기존의 복소 대수기하학을 임의의 위에서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후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스킴 이론이 등장하면서, 대수다양체는 적절한 성질을 만족시키는 스킴으로 다시 한 번 재정의되었다.

참고 문헌

  1. Hartshorne, Robin (1977). 《Algebraic geomet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52. Springer. doi:10.1007/978-1-4757-3849-0. ISBN 978-0-387-90244-9. ISSN 0072-5285. MR 0463157. Zbl 0367.14001. 
  2. Weil, André (1946). 《Foundations of Algebraic Geometry》.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Colloquium Publications 29. Providence, Rhode Island: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3. A. Weil, "Courbes algébriques et variétés abéliennes. Variétés abéliennes et courbes algébriques", Hermann (1946,1971) MR0029522 Zbl 0208.49202
  4. W.L. Chow, "The Jacobian variety of an algebraic curve" Amer. J. Math., 76 (1954) pp. 453–476 MR0061421 Zbl 0056.14404
  5. Serre, Jean-Pierre (1955년 3월). “Faisceaux algébriques cohérents” (PDF). 《Annals of Mathematics61 (2): 197-278. doi:10.2307/1969915.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