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주명: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Shirobot (토론 | 기여)
잔글 白:사:Ysjbserver요청으로 {{주석}}을 {{각주}}로 바꿈 total:18220, replaced: {{주석 → {{각주 using AWB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 정보
{{인물 정보
|이름= 석주명 </br> 石宙明
|이름= 석주명 <br /> 石宙明
|그림=
|그림=
|그림제목=
|그림제목=
25번째 줄: 25번째 줄:


== 약력 ==
== 약력 ==
[[1908년]] [[평양직할시|평양]]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평양직할시|평양]] 시내에 종업원이 100여 명에 달하는 요리집을 운영할 정도로 부유한 사업가였는데, 사업으로 번 돈으로 독립 운동을 지원할 만큼 민족의식이 뚜렷했다. 어머니는 당시에는 귀한 신식 물자인 [[타자기]]를 구해줄 정도로 자식 교육에 많은 열정을 보였다. 이러한 가정 환경은 석주명이 [[민족 문제]]와 학문 연구에 관심을 갖게 했다.
[[1908년]] [[평양직할시|평양]]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평양직할시|평양]] 시내에 종업원이 100여 명에 달하는 요리집을 운영할 정도로 부유한 사업가였는데, 사업으로 번 돈으로 독립 운동을 지원할 만큼 민족의식이 뚜렷했다. 어머니는 당시에는 귀한 신식 물자인 [[타자기]]를 구해줄 정도로 자식 교육에 많은 열정을 보였다. 이러한 가정 환경은 석주명이 [[민족 문제]]와 학문 연구에 관심을 갖게 했다.


어릴 때부터 [[토끼]], [[비둘기]]같은 [[동물]]을 좋아해 집에서 길렀으며, [[1921년]] [[장로교]] [[선교사]] 베어드가 세운 [[숭실고등학교|숭실고등보통학교]]에 진학했다. 하지만 동맹휴학에 가담하여 [[개성]]의 [[송도고등학교|송도고등보통학교]]로 학교를 옮겼으며, 다시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 고등농림학교로 전학한 후 [[1927년]]에 졸업했다.
어릴 때부터 [[토끼]], [[비둘기]]같은 [[동물]]을 좋아해 집에서 길렀으며, [[1921년]] [[장로교]] [[선교사]] 베어드가 세운 [[숭실고등학교|숭실고등보통학교]]에 진학했다. 하지만 동맹휴학에 가담하여 [[개성]]의 [[송도고등학교|송도고등보통학교]]로 학교를 옮겼으며, 다시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 고등농림학교로 전학한 후 [[1927년]]에 졸업했다.


송도고보 학생 시절에 석주명은 집에서 떠나서 공부했는데, 한때 [[음악]]에 정신이 팔려 공부를 게을리 하기도 했다. 집에서 많은 생활비를 보내 주는 데다가, 공부를 감독할 부모가 옆에 없었기 때문이다.
송도고보 학생 시절에 석주명은 집에서 떠나서 공부했는데, 한때 [[음악]]에 정신이 팔려 공부를 게을리 하기도 했다. 집에서 많은 생활비를 보내 주는 데다가, 공부를 감독할 부모가 옆에 없었기 때문이다.


당연히 낙제 과목이 나올 정도로 성적이 나쁘게 나오자 그제서야 정신을 차리고 [[방학]] 동안 공부에 힘썼다. [[일본]] 최고의 농업 전문 학교의 하나인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鹿兒島高等農林學敎)에서 공부하여 [[1929년]] 졸업하였다.
당연히 낙제 과목이 나올 정도로 성적이 나쁘게 나오자 그제서야 정신을 차리고 [[방학]] 동안 공부에 힘썼다. [[일본]] 최고의 농업 전문 학교의 하나인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鹿兒島高等農林學敎)에서 공부하여 [[1929년]] 졸업하였다.


석주명은 [[중화민국]]의 [[타이완]]에서 곤충 채집 여행 때 비를 맞지 않으려고 나무에 모인 하루살이들을 채집할 만큼 끈기가 있는 학생이었다. [[일본]] [[가고시마 시|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 졸업 후에는 [[송도고등학교|송도중학교]]에서 생물 교사로 일하면서 [[한반도]]의 [[나비]]에 대해서 연구했다.
석주명은 [[중화민국]]의 [[타이완]]에서 곤충 채집 여행 때 비를 맞지 않으려고 나무에 모인 하루살이들을 채집할 만큼 끈기가 있는 학생이었다. [[일본]] [[가고시마 시|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 졸업 후에는 [[송도고등학교|송도중학교]]에서 생물 교사로 일하면서 [[한반도]]의 [[나비]]에 대해서 연구했다.


이는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 재학 시 지도 교수의 충고에 따른 것이었다. [[일본]]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를 졸업할 즈음의 석주명에게 교수는 장래를 물었는데, 석주명은 [[차별]] 때문에 학자가 될 수 없다고 하였다. 그러자 교수는 “한 분야에 10년간 집중하면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된다”며 [[한반도]]에 사는 [[나비]] 연구를 권했고, 석주명은 교수의 충고를 받아들여 나비를 연구하게 되었다.
이는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 재학 시 지도 교수의 충고에 따른 것이었다. [[일본]]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를 졸업할 즈음의 석주명에게 교수는 장래를 물었는데, 석주명은 [[차별]] 때문에 학자가 될 수 없다고 하였다. 그러자 교수는 “한 분야에 10년간 집중하면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된다”며 [[한반도]]에 사는 [[나비]] 연구를 권했고, 석주명은 교수의 충고를 받아들여 나비를 연구하게 되었다.


[[한국 전쟁]] 도중 [[1950년]] [[9월]] 말 [[서울특별시|서울]]에 있던 [[국립과학관]]이 폭격을 맞으면서 그가 20여 년 동안 75만 마리의 [[나비]]를 채집하여 만든 나비 표본이 모두 타고 말았다. 당시 석주명은 너무 상심이 커서 식음을 전폐할 정도였다. 석주명 자신도 [[1950년]] [[10월 6일]] [[조선인민군]]으로 오인받아 [[총]]에 맞아 죽었다. 제자들이 거적에 싸인 시체를 발견하였다.
[[한국 전쟁]] 도중 [[1950년]] [[9월]] 말 [[서울특별시|서울]]에 있던 [[국립과학관]]이 폭격을 맞으면서 그가 20여 년 동안 75만 마리의 [[나비]]를 채집하여 만든 나비 표본이 모두 타고 말았다. 당시 석주명은 너무 상심이 커서 식음을 전폐할 정도였다. 석주명 자신도 [[1950년]] [[10월 6일]] [[조선인민군]]으로 오인받아 [[총]]에 맞아 죽었다. 제자들이 거적에 싸인 시체를 발견하였다.
41번째 줄: 41번째 줄:
== 업적 ==
== 업적 ==
[[파일:Lycaena phlaeas3.jpg|thumb|부전나비.]]
[[파일:Lycaena phlaeas3.jpg|thumb|부전나비.]]
[[1931년]]부터 나비 연구를 시작한 그는 [[일본]] 동물학자들의 잘못된 나비 분류를 바로잡았다. 생물분류학의 새 장을 연 ‘개체변이에 따른 분포곡선 이론’을 창안해 내었던 것이다.<ref name="jeju"> {{뉴스 인용|url=http://www.jejunews.com/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30790|제목=나비박사 석주명과 제주|저자=김범훈|작성일자=2003-06-09|확인일자=2009-08-28|출판사=제주일보}} </ref>
[[1931년]]부터 나비 연구를 시작한 그는 [[일본]] 동물학자들의 잘못된 나비 분류를 바로잡았다. 생물분류학의 새 장을 연 ‘개체변이에 따른 분포곡선 이론’을 창안해 내었던 것이다.<ref name="jeju">{{뉴스 인용|url=http://www.jejunews.com/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30790|제목=나비박사 석주명과 제주|저자=김범훈|작성일자=2003-06-09|확인일자=2009-08-28|출판사=제주일보}}</ref>
당시 [[일본인]] 동물학자들은 조금만 다른 특징이 있으면 새로운 종류라고 주장하여 한국의 나비가 844종이라고 과장하고 있었다. 그런데, 석주명은 논문 〈조선산 나비 총목록〉([[1940년]])을 통해 [[한국]]의 나비는 248종이라고 바로잡았다.
당시 [[일본인]] 동물학자들은 조금만 다른 특징이 있으면 새로운 종류라고 주장하여 한국의 나비가 844종이라고 과장하고 있었다. 그런데, 석주명은 논문 〈조선산 나비 총목록〉([[1940년]])을 통해 [[한국]]의 나비는 248종이라고 바로잡았다.


당시 석주명은 [[배추흰나비]] 16만여 마리의 무늬를 비교했는데, 그 결과 무늬가 다르다고 하여 다른 종이라고 성급하게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나비]]는 같은 종류라고 할지라도 성, 계절 등에 따라 몸의 크기와 무늬가 다르다. 그런데도 성급하게 무늬와 색상만으로 다른 종류라고 잘못 생각하던 일본 학자들의 관행을 바로 잡은 것이다. 나비의 분류에 관한 80편이 넘는 논문을 남겼다.
당시 석주명은 [[배추흰나비]] 16만여 마리의 무늬를 비교했는데, 그 결과 무늬가 다르다고 하여 다른 종이라고 성급하게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나비]]는 같은 종류라고 할지라도 성, 계절 등에 따라 몸의 크기와 무늬가 다르다. 그런데도 성급하게 무늬와 색상만으로 다른 종류라고 잘못 생각하던 일본 학자들의 관행을 바로 잡은 것이다. 나비의 분류에 관한 80편이 넘는 논문을 남겼다.


또한 [[제주 방언]]에 대한 논문과 [[에스페란토]]어 [[교과서]]를 쓰는 등 [[언어학|언어학자]]로도 활동했다. 또한 제주도에 관한 것은 무엇이든 기록하고 정리하여, 일명 제주도학(濟州島學)의 창시자로 불린다.<ref name="jeju" />
또한 [[제주 방언]]에 대한 논문과 [[에스페란토]]어 [[교과서]]를 쓰는 등 [[언어학|언어학자]]로도 활동했다. 또한 제주도에 관한 것은 무엇이든 기록하고 정리하여, 일명 제주도학(濟州島學)의 창시자로 불린다.<ref name="jeju" />
[[1945년]]에는 [[국립과학박물관]] 동물학부장과 국립대학 강사직을 맡기도 하였다.
[[1945년]]에는 [[국립과학박물관]] 동물학부장과 국립대학 강사직을 맡기도 하였다.


석주명은 나비들의 이름을 붙여주었는데, 그가 붙여준 나비 이름으로는 신부나비([[천주교]] [[사제|신부]]들의 예복을 연상한 이름), [[도시처녀나비]], [[유리창나비]], [[수노랑나비]], [[부전나비]](부전은 어린이들의 장식용 노리개를 말한다고 하는데, 실제로 [[부전나비]]는 몸집이 작아서 귀엽고, 날개색상이 화려해서 예쁜 나비이다.), [[깊은산부전나비]] 등 다양하며, 학명에 그의 성씨인 ‘석’(Seok)을 붙였다.
석주명은 나비들의 이름을 붙여주었는데, 그가 붙여준 나비 이름으로는 신부나비([[천주교]] [[사제|신부]]들의 예복을 연상한 이름), [[도시처녀나비]], [[유리창나비]], [[수노랑나비]], [[부전나비]](부전은 어린이들의 장식용 노리개를 말한다고 하는데, 실제로 [[부전나비]]는 몸집이 작아서 귀엽고, 날개색상이 화려해서 예쁜 나비이다.), [[깊은산부전나비]] 등 다양하며, 학명에 그의 성씨인 ‘석’(Seok)을 붙였다.


[[1940년]]에 낸 나비에 관한 그의 저서는 현재 사이트 [[영국왕립학회]](The Royal Society of London for the Improvement of Natural Knowledge)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세계에 30여 명밖에 안되는 [[세계나비학회]]의 회원이 되었다. 전국 방방곡곡을 다니며 75만여 마리나 되는 나비를 채집하여 분류하고 연구했다. 또 그 성과를 모두 정리하여 지도에 표시(《한국산 접류 분포도》)했는데, 이것은 세계의 걸작으로 손꼽히고 있다.
[[1940년]]에 낸 나비에 관한 그의 저서는 현재 사이트 [[영국왕립학회]](The Royal Society of London for the Improvement of Natural Knowledge)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세계에 30여 명밖에 안되는 [[세계나비학회]]의 회원이 되었다. 전국 방방곡곡을 다니며 75만여 마리나 되는 나비를 채집하여 분류하고 연구했다. 또 그 성과를 모두 정리하여 지도에 표시(《한국산 접류 분포도》)했는데, 이것은 세계의 걸작으로 손꼽히고 있다.


[[1947년]] [[한국산악회]]의 독도 학술 조사에 참가했다. 누이동생 [[석주선]]이 [[한국 전쟁]] 피난 시절 배낭에 넣고 다니며 보존했다가 [[1973년]]에 발간한 《[[한국산 접류 분포도]]》(The Distribution Maps of Butterflies in Korea)는, [[대한민국]] 나비 250종이 분포하는 지역을 종마다 각각 한국 지도와 세계 지도 한 장씩에 붉은 점으로 표시한 지도 500장으로 편집되어 있다. 석주명의 유품 및 관련 사료 50여 점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ref>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안내서 참조. </ref>
[[1947년]] [[한국산악회]]의 독도 학술 조사에 참가했다. 누이동생 [[석주선]]이 [[한국 전쟁]] 피난 시절 배낭에 넣고 다니며 보존했다가 [[1973년]]에 발간한 《[[한국산 접류 분포도]]》(The Distribution Maps of Butterflies in Korea)는, [[대한민국]] 나비 250종이 분포하는 지역을 종마다 각각 한국 지도와 세계 지도 한 장씩에 붉은 점으로 표시한 지도 500장으로 편집되어 있다. 석주명의 유품 및 관련 사료 50여 점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ref>[[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안내서 참조.</ref>


죽기 직전에 석주명은 “나는 나비밖에 모르는 사람”이라고 말했다고 한다.<ref name="jeju" />
죽기 직전에 석주명은 “나는 나비밖에 모르는 사람”이라고 말했다고 한다.<ref name="jeju" />
70번째 줄: 70번째 줄:


== 주석 ==
== 주석 ==
{{주석}}
{{각주}}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77번째 줄: 77번째 줄: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739299 "석주명 박사님, 무사 서울 안감수광?" 제주에서 나비박사 석주명의 체취를 더듬다 - 오마이뉴스 기사]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739299 "석주명 박사님, 무사 서울 안감수광?" 제주에서 나비박사 석주명의 체취를 더듬다 - 오마이뉴스 기사]


{{틀:1998년-이 달의 문화 인물}}
{{1998년-이 달의 문화 인물}}


[[분류:1908년 태어남]]
[[분류:1908년 태어남]]

2015년 1월 31일 (토) 23:13 판

석주명
石宙明
출생1908년 11월 13일(1908-11-13)
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평안남도 평양시
사망1950년 10월 6일(1950-10-06) (향년 41세)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
사인총격사
성별남성
국적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학력평안남도 평양 숭실고등보통학교 수료
경기도 개성 송도고등보통학교 수료
경상북도 대구고등농림학교 졸업
일본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 졸업
직업생물학자(生物學者)
곤충학자(昆蟲學者)
동물학자(動物學者)
언어학자(言語學者)
박물학자(博物學者)
대학 교수(大學 敎授)
소속국립과학관 동물학부 부장
부모석승서(부), 김의식(모)
친척석주선(누이동생)

석주명(石宙明, 1908년 11월 13일 ~ 1950년 10월 6일)은 대한민국나비 연구가이자 생물학자, 곤충학자, 동물학자, 언어학자, 박물학자이다.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약력

1908년 평양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평양 시내에 종업원이 100여 명에 달하는 요리집을 운영할 정도로 부유한 사업가였는데, 사업으로 번 돈으로 독립 운동을 지원할 만큼 민족의식이 뚜렷했다. 어머니는 당시에는 귀한 신식 물자인 타자기를 구해줄 정도로 자식 교육에 많은 열정을 보였다. 이러한 가정 환경은 석주명이 민족 문제와 학문 연구에 관심을 갖게 했다.

어릴 때부터 토끼, 비둘기같은 동물을 좋아해 집에서 길렀으며, 1921년 장로교 선교사 베어드가 세운 숭실고등보통학교에 진학했다. 하지만 동맹휴학에 가담하여 개성송도고등보통학교로 학교를 옮겼으며, 다시 경상북도 대구 고등농림학교로 전학한 후 1927년에 졸업했다.

송도고보 학생 시절에 석주명은 집에서 떠나서 공부했는데, 한때 음악에 정신이 팔려 공부를 게을리 하기도 했다. 집에서 많은 생활비를 보내 주는 데다가, 공부를 감독할 부모가 옆에 없었기 때문이다.

당연히 낙제 과목이 나올 정도로 성적이 나쁘게 나오자 그제서야 정신을 차리고 방학 동안 공부에 힘썼다. 일본 최고의 농업 전문 학교의 하나인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鹿兒島高等農林學敎)에서 공부하여 1929년 졸업하였다.

석주명은 중화민국타이완에서 곤충 채집 여행 때 비를 맞지 않으려고 나무에 모인 하루살이들을 채집할 만큼 끈기가 있는 학생이었다. 일본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 졸업 후에는 송도중학교에서 생물 교사로 일하면서 한반도나비에 대해서 연구했다.

이는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 재학 시 지도 교수의 충고에 따른 것이었다. 일본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를 졸업할 즈음의 석주명에게 교수는 장래를 물었는데, 석주명은 차별 때문에 학자가 될 수 없다고 하였다. 그러자 교수는 “한 분야에 10년간 집중하면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된다”며 한반도에 사는 나비 연구를 권했고, 석주명은 교수의 충고를 받아들여 나비를 연구하게 되었다.

한국 전쟁 도중 1950년 9월서울에 있던 국립과학관이 폭격을 맞으면서 그가 20여 년 동안 75만 마리의 나비를 채집하여 만든 나비 표본이 모두 타고 말았다. 당시 석주명은 너무 상심이 커서 식음을 전폐할 정도였다. 석주명 자신도 1950년 10월 6일 조선인민군으로 오인받아 에 맞아 죽었다. 제자들이 거적에 싸인 시체를 발견하였다.

업적

부전나비.

1931년부터 나비 연구를 시작한 그는 일본 동물학자들의 잘못된 나비 분류를 바로잡았다. 생물분류학의 새 장을 연 ‘개체변이에 따른 분포곡선 이론’을 창안해 내었던 것이다.[1] 당시 일본인 동물학자들은 조금만 다른 특징이 있으면 새로운 종류라고 주장하여 한국의 나비가 844종이라고 과장하고 있었다. 그런데, 석주명은 논문 〈조선산 나비 총목록〉(1940년)을 통해 한국의 나비는 248종이라고 바로잡았다.

당시 석주명은 배추흰나비 16만여 마리의 무늬를 비교했는데, 그 결과 무늬가 다르다고 하여 다른 종이라고 성급하게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나비는 같은 종류라고 할지라도 성, 계절 등에 따라 몸의 크기와 무늬가 다르다. 그런데도 성급하게 무늬와 색상만으로 다른 종류라고 잘못 생각하던 일본 학자들의 관행을 바로 잡은 것이다. 나비의 분류에 관한 80편이 넘는 논문을 남겼다.

또한 제주 방언에 대한 논문과 에스페란토교과서를 쓰는 등 언어학자로도 활동했다. 또한 제주도에 관한 것은 무엇이든 기록하고 정리하여, 일명 제주도학(濟州島學)의 창시자로 불린다.[1] 1945년에는 국립과학박물관 동물학부장과 국립대학 강사직을 맡기도 하였다.

석주명은 나비들의 이름을 붙여주었는데, 그가 붙여준 나비 이름으로는 신부나비(천주교 신부들의 예복을 연상한 이름), 도시처녀나비, 유리창나비, 수노랑나비, 부전나비(부전은 어린이들의 장식용 노리개를 말한다고 하는데, 실제로 부전나비는 몸집이 작아서 귀엽고, 날개색상이 화려해서 예쁜 나비이다.), 깊은산부전나비 등 다양하며, 학명에 그의 성씨인 ‘석’(Seok)을 붙였다.

1940년에 낸 나비에 관한 그의 저서는 현재 사이트 영국왕립학회(The Royal Society of London for the Improvement of Natural Knowledge)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세계에 30여 명밖에 안되는 세계나비학회의 회원이 되었다. 전국 방방곡곡을 다니며 75만여 마리나 되는 나비를 채집하여 분류하고 연구했다. 또 그 성과를 모두 정리하여 지도에 표시(《한국산 접류 분포도》)했는데, 이것은 세계의 걸작으로 손꼽히고 있다.

1947년 한국산악회의 독도 학술 조사에 참가했다. 누이동생 석주선한국 전쟁 피난 시절 배낭에 넣고 다니며 보존했다가 1973년에 발간한 《한국산 접류 분포도》(The Distribution Maps of Butterflies in Korea)는, 대한민국 나비 250종이 분포하는 지역을 종마다 각각 한국 지도와 세계 지도 한 장씩에 붉은 점으로 표시한 지도 500장으로 편집되어 있다. 석주명의 유품 및 관련 사료 50여 점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2]

죽기 직전에 석주명은 “나는 나비밖에 모르는 사람”이라고 말했다고 한다.[1]

저서 및 논문

  • 《A synonymic List Butterflies of Korea (조선산 나비 총목록)》, 1940
  • 《제주도 방언집》, 서울신문사, 1947
  • 《제주도 생명조사》, 서울신문사, 1948
  • 《제주도관계문헌집》, 1949
  • 《국제어 에스페란토 교과서》, 조선 에스페란토 학회, 1949
  • 《나비채집 20년의 회고록》, 신양사, 1992

외 논문 다수

가족 관계

누이동생 석주선, 매제 심학진

주석

  1. 김범훈. “나비박사 석주명과 제주”. 제주일보. 2009년 8월 28일에 확인함. 
  2.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안내서 참조.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