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37번째 줄: 37번째 줄:


-->
-->
* [[상좌부]]와 [[대승불교]]의 [[색계 18천]](色界十天)의 체계에서 13번째 [[하늘 (불교)|하늘]][天]로, 12번째 [[하늘 (불교)|하늘]]인 [[광과천]](廣果天) 위에 존재한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99&docId=900922&categoryId=1885 색계십칠천(色界十七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064&DTITLE=%B5L%B7Q%A4%D1 無想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link=DGUL_BS_T_011312 十八天(십팔천)]". 2013년 1월 9일에 확인|quote=<br>"十八天(십팔천): 색계의 열여덟 하늘. 범중천(梵衆天)ㆍ범보천(梵輔天)ㆍ대범천(大梵天)(이상 초선천)ㆍ소광천(少光天)ㆍ무량광천(無量光天)ㆍ광음천(光音天)(이상 2선천)ㆍ소정천(少淨天)ㆍ무량정천(無量淨天)ㆍ변정천(遍淨天)(이상 3선천)ㆍ무운천(無雲天)ㆍ복생천(福生天)ㆍ광과천(廣果天)ㆍ무상천(無想天)ㆍ무번천(無煩天)ㆍ무열천(無熱天)ㆍ선견천(善見天)ㆍ선현천 (善現天)ㆍ색구경천(色究竟天)(이상 4선천). ⇒색계십팔천(色界十八天)"}}{{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716&DTITLE=%A6%E2%AC%C9%A4Q%A4K%A4%D1 色界十八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quote=<br>"色界十八天: 據大毘婆沙論卷一三六載,色界之初禪、二禪、三禪、四禪共十八天。初禪三天,梵輔天、梵眾天、大梵天;二禪三天,少光天、無量光天、光音天;三禪三天,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四禪九天,小嚴飾天、無量嚴飾天、嚴飾果實天、無想天、無造天、無熱天、善見天、大善見天、阿迦尼吒天。然亦有經論主張色界有二十二天、二十一天、十七天、十六天者。〔立世阿毘曇論卷六、雜阿毘曇心論卷二、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六)(參閱「色界」)"}}<br style="margin-bottom: 5px"><!--
* [[상좌부]]와 [[대승불교]]의 [[색계 18천]](色界十天)의 체계에서 13번째 [[하늘 (불교)|하늘]][天]로, 12번째 [[하늘 (불교)|하늘]]인 [[광과천]](廣果天) 위에 존재한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99&docId=900922&categoryId=1885 색계십칠천(色界十七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064&DTITLE=%B5L%B7Q%A4%D1 無想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link=DGUL_BS_T_011312 十八天(십팔천)]". 2013년 1월 9일에 확인|quote=<br>"十八天(십팔천): 색계의 열여덟 하늘. 범중천(梵衆天)ㆍ범보천(梵輔天)ㆍ대범천(大梵天)(이상 초선천)ㆍ소광천(少光天)ㆍ무량광천(無量光天)ㆍ광음천(光音天)(이상 2선천)ㆍ소정천(少淨天)ㆍ무량정천(無量淨天)ㆍ변정천(遍淨天)(이상 3선천)ㆍ무운천(無雲天)ㆍ복생천(福生天)ㆍ광과천(廣果天)ㆍ무상천(無想天)ㆍ무번천(無煩天)ㆍ무열천(無熱天)ㆍ선견천(善見天)ㆍ선현천 (善現天)ㆍ색구경천(色究竟天)(이상 4선천). ⇒색계십팔천(色界十八天)"}}{{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716&DTITLE=%A6%E2%AC%C9%A4Q%A4K%A4%D1 色界十八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quote=<br>"色界十八天: 據大毘婆沙論卷一三六載,色界之初禪、二禪、三禪、四禪共十八天。初禪三天,梵輔天、梵眾天、大梵天;二禪三天,少光天、無量光天、光音天;三禪三天,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四禪九天,小嚴飾天、無量嚴飾天、嚴飾果實天、無想天、無造天、無熱天、善見天、大善見天、阿迦尼吒天。然亦有經論主張色界有二十二天、二十一天、十七天、十六天者。〔立世阿毘曇論卷六、雜阿毘曇心論卷二、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六)(參閱「色界」)"}}<br style="margin-bottom: 5px"><!--





2013년 6월 9일 (일) 16:34 판

무상천(無想天, 산스크리트어: asaṃjñi-devānām, 티베트어: 'du shes med pa'i lha, 영어: non-conception heaven[1])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무상천(無想天, 산스크리트어: asaṃjñi-devānām)은 무상(無想) · 무상계(無想界) · 무상처(無想處) · 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 산스크리트어: asaṁjñisattvāh· 무상중생천(無想眾生天, 산스크리트어: asaṁjñisattvāh· 소광천(少廣天) 또는 복덕천(福德天)이라고도 한다.[5][3]

부파불교설일체유부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이번 생에서 무상정(無想定)을 닦아서 성취하면 그 힘에 의해 다음 생에는 무상천에 태어난다. 무상천에 태어나는 유정소의신(所依身, 즉 신체)의 키는 500유순(由旬)이고 수명은 500대겁(大劫)이다. 그리고 그 수명인 500대겁(大劫)동안 마음(즉 6식)이 현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무심(無心)의 상태로 지내게 되는데, 외도(外道)는 이 상태를 열반 또는 해탈의 경지로 간주한다고 한다. 하지만, 500대겁이 지나면 마치 긴 잠에서 깨어나듯이 다시 욕계로 태어난다고 한다.[3][28][29][30]

부파불교설일체유부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무상정을 닦고 그 과보로 무상천에 태어나는 것은 모두 이생범부외도가 닦거나 희구하는 것으로, 성자가 닦거나 희구하는 것이 아니다. 성자무심(無心) 즉 적정(寂靜)의 상태에 들기 위하여 닦는 선정멸진정이다.[3][30]

색계와 무상천

색계 17천과 무상천

색계 18천과 무상천

심불상응행법으로서의 무상천

부파불교

아비달마품류족론: 무상사

아비달마품류족론》에 따르면, 무상사(無想事)는 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에 태어나서 갖는 심소가 소멸된 상태의 삶을 말한다.[31][32]

아비달마구사론: 무상과

아비달마구사론》에 따르면, 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 색계 제4선의 제3천인 광과천)에 태어나면 그곳에 사는 동안에는 능히 미래의 심법 · 심소법을 차단하여 생기하지 않게 하는 이 작용하는데 그 무상과(無想果)라고 한다.[33][34]

아비달마순정리론: 무상과

무상과(無想果, 산스크리트어: āsaṃjñika)는 무상(無想, 산스크리트어: āsaṃjña)이라고도 하며, 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 색계 제4선의 제3천인 광과천)에서 작용하는 [實有物]으로서, 유정무상유정천에 있는 동안에는 마치 방죽이 강물을 막는 것처럼 미래의 심법심소법을 차단하여 생기하지 않게 한다. 이런 뜻에서 무상과를 심 · 심소를 소멸시키는 법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 무상정(無想定)에 의해 초래되는 이숙과(異熟果)이다. 그리고 무상정에 의해 초래된 수명의 양이 그 세력을 다하면 반드시 다시 욕계에 태어난다.[35][36]

대승불교

유가사지론: 무상이숙

무상이숙(無想異熟)은 색계에 존재하는 3가지 승생(勝生: 뛰어나게 태어남) 가운데 하나이다.

색계에서의 3가지 승생 중 첫째는 이생(異生: 즉 범부)이 무상천(無想天)에 태어나는 것 즉 무상이숙이고, 둘째는 유정유상천(有想天)에 태어나는 것으로 색계 18천(十八天) 가운데 광과천(廣果天) 이하에 태어나는 것을 말한다. 셋째는 성자정거천(淨居天)에 태어나는 것으로, 정거천이란 색계 18천(十八天) 가운데 무번천(無煩天) 이상의 5정거천(五淨居天), 즉 무번천(無煩天) · 무열천(無熱天) · 선현천(善現天) · 선견천(善見天) · 색구경천(色究竟天)을 말하며, 성문(聲聞) 제3과인 아나함과(불환과)를 증득한 성자가 태어나는 곳이다.[37][38][39][40]

현양성교론: 무상천

무상천(無想天, 산스크리트어: asaṁjñā-deva)은 여기 이 세간(世間, 산스크리트어: loka)에서 무상정(得)하면 그것으로 인하여 다음 생에서 태어나는 곳이다. 이 하늘 세계[天]에서는 '항상 현행(現行: 현재적으로 작용함)하는 것은 아닌 모든 마음마음작용[不恒現行諸心心法: 전6식(前六識)과 이들과 상응하는 마음작용들]'을 소멸시키는 성질이 작용하는데, 무상천이라는 낱말은 이 하늘 세계뿐만 아니라 그것이 지닌 이 성질, 그리고 무상정의 과보로써 이 하늘 세계에 태어나는 것을 함께 의미한다.[28][29]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무상이숙

대승오온론·광오온론: 무상소유

대승백법명문론·해: 무상보

성유식론: 무상천

참고 문헌

  • 고려대장경연구소. 《고려대장경 전자 불교용어사전》. 고려대장경 지식베이스 / (사)장경도량 고려대장경연구소.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권오민 (1991). 《경량부철학의 비판적 체계 연구》. 동국대학원 철학박사 학위논문.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K.571, T.1602). 《현양성교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1(16-1), T.1602(31-480).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49,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49(25-149), T.1542(26-692).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44, T.1614). 《대승백법명문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44(17-808), T.1614(31-855).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2).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우 조, 현장 한역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대정신수대장경. T26, No. 154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4).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4,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주석

  1. 고려대장경연구소, "무상천 無想天". 2013년 2월 2일에 확인.
  2. 곽철환 2003, "색계십칠천(色界十七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
  3. 星雲, "無想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
  4. 운허, "無想天(무상천)". 2013년 1월 9일에 확인.
  5. 곽철환 2003, "무상천(無想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
  6. 운허, "十八天(십팔천)". 2013년 1월 9일에 확인.
  7. 星雲, "色界十八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
  8. 운허, "色界十八天(색계십팔천)". 2013년 1월 9일에 확인.
  9.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22a04 - T29n1558_p0022a09.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10.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p. 190-191 / 1397.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11.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2, 제12권. p. T29n1562_p0396c07 - T29n1562_p0396c19.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12.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2권. pp. 538-539 / 3087.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13.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2c05 - T26n1542_p0692c09.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14.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2 / 448.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15. 곽철환 2003, "무상과(無想果)". 2013년 1월 9일에 확인.
  16. 운허, "無想果(무상과)". 2013년 1월 9일에 확인.
  17. 星雲, "無想果". 2013년 1월 9일에 확인.
  18.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2, 제1권. p. T31n1602_p0484a22 - T31n1602_p0484a28.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19. 무착 지음, 현장 한역 & K.571, T.1602, 제1권. p. 35 / 293.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20. 미륵 조, 현장 한역 & T.1579, 제3권. p. T30n1579_p0293c07 - T30n1579_p0293c11. 불상응행(不相應行).
  21.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 K.614, T.1579, 제3권. pp. 99-100 / 829. 불상응행(不相應行).
  22.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b28 - T31n1605_p0665c02.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23.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7 / 159.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24. 세친 조, 현장 한역 & T.1614, p. T31n1614_p0855c10 - T31n1614_p0855c16.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25.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644, T.1614, pp. 2-3 / 3.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26. 세친 조, 현장 한역 & T.1612, p. T31n1612_p0849b29 - T31n1612_p0849c05.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27.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618, T.1612, p. 8 / 12.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28.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2, 제1권. p. T31n1602_p0484b09 - T31n1602_p0484b11. 무상천(無想天).
  29. 무착 지음, 현장 한역 & K.571, T.1602, 제1권. p. 37 / 293. 무상천(無想天).
  30. 미륵 조, 현장 한역 & T.1579, 제56권. p. T30n1579_p0607a28 - T30n1579_p0607b14. 무상천(無想天).
  31.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4a22 - T26n1542_p0694a23. 무상사(無想事).
  32.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11 / 448. 무상사(無想事).
  33.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5권. p. T29n1558_p0024b12 - T29n1558_p0024b28. 무상과(無想果).
  34.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5권. pp. 215-216 / 1397. 무상과(無想果).
  35.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2, 제12권. p. T29n1562_p0400c07 - T29n1562_p0401a01. 무상과(無想果).
  36.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2권. pp. 572-574 / 3087. 무상과(無想果).
  37. 미륵 조, 현장 한역 & T.1579, 제9권. p. T30n1579_p0320c10 - T30n1579_p0320c11. 색계에서의 3가지 승생.
  38.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 K.614, T.1579, 제9권. p. 256 / 829. 색계에서의 3가지 승생.
  39. 운허, "淨居天(정거천)". 2012년 12월 19일에 확인.
  40. 운허, "五淨居天(오정거천)". 2012년 12월 19일에 확인.

틀:12처 틀:18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