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경궁주: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bend (토론 | 기여)
반복 내용 정리, 반복 링크 생략, 해당 위키 문서가 존재하는 경우 한자 생략으로 가독성 확보
61번째 줄: 61번째 줄:
}}
}}


'''승경궁주'''(承慶宮主, 생몰년 미상)는 [[고려]] 시대의 왕족이다. [[고려 인종|인종]]과 [[공예왕후|공예태후 임씨]]의 장녀이다. '''승경궁공주'''(承慶宮公主)라고도 한다.
'''승경궁주'''(承慶宮主, 생몰년 미상)는 [[고려]] 시대의 왕족이다. [[고려 인종|인종]]과 [[공예왕후|공예태후 임씨]]의 장녀이다. '''승경궁공주'''(承慶宮公主)라고도 한다. [[성씨|성]]은 [[왕씨|왕]](王), [[본관]]은 [[개성 왕씨|개성]](開城)이다. [[고려 의종|의종]]과 [[고려 명종|명종]], [[고려 신종|신종]] 등의 친남매이며, [[고려 희종|희종]]과 [[고려 강종|강종]] 등에게는 고모가 된다.


== 생애 ==
== 생애 ==


생몰년은 명확하지 않으며, 의종이 즉위한 후인 [[1148년]](의종 2년) [[음력 11월 6일]], 동생인 [[덕녕궁주]]와 함께 궁주로 책봉되어 '''승경궁주'''(承慶宮主)의 작호를 받았다<ref>[http://db.history.go.kr/KOREA/result.do?type=search&searchWord=%E5%86%8A%E7%8E%8B%E5%A6%B9%E4%B8%8A%E5%85%AC%E4%B8%BB%E7%88%B2%E6%89%BF%E6%85%B6%E5%AE%AE%E4%B8%BB&x=33&y=9 《고려사》권17〈세가〉권17 - 의종 2년 11월 - 왕의 누이들을 궁주로 책봉하다]</ref>. 이후 승경궁주는 [[고려 문종|문종]]의 손자 [[강릉공|강릉공 온]](江陵公 溫)의 아들 [[공화후|공화백]] 영(恭化伯 瑛)과 혼인하여<ref name="do">[http://db.history.go.kr/KOREA/result.do?type=search&searchWord=%E5%AD%97%E7%8E%84%E8%99%9B&x=19&y=10 《고려사》권90〈열전〉권3 - 조선공 왕도]</ref> 1남 1녀를 낳았다<ref name="myo">[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319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왕영녀왕씨묘지명〉]</ref>. 공화백은 후에 공화후(恭化侯)로 진봉되었으며<ref name="myo"></ref>, [[1186년]](명종 16년) 61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시호]]는 정의(定懿)이다<ref name="do"></ref>.
생몰년은 명확하지 않으며, [[고려]]의 제17대 [[왕]]인 [[고려 인종|인종]](仁宗)과 그 [[왕비]] [[공예왕후|공예태후 임씨]](恭睿太后 任氏)의 장녀로 태어났다. [[성씨|성]]은 [[왕씨|왕]](王), [[본관]]은 [[개성 왕씨|개성]](開城)이다. [[고려 의종|의종]](毅宗)과 [[고려 명종|명종]](明宗), [[고려 신종|신종]](神宗) 등의 친남매이며, [[고려 희종|희종]](熙宗)과 [[고려 강종|강종]](康宗) 등에게는 고모가 된다.
한편 공화백과 승경궁주의 혼인은 7촌 숙질간에 이루어진 [[근친혼]]이다<ref>'''승경궁주''' ← 인종 ← 예종 ← 숙종 ← '''문종''' → 조선공 → 강릉공 → '''공화후'''</ref>.


한편 이후의 승경궁주의 자세한 삶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는 것이 없어 알 수 없다.
[[고려 의종|의종]]이 즉위한 후인 [[1148년]](의종 2년) [[음력 11월 6일]], 동생인 [[덕녕궁주]](德寧宮主)와 함께 궁주로 책봉되어 '''승경궁주'''(承慶宮主)의 작호를 받았다<ref>[http://db.history.go.kr/KOREA/result.do?type=search&searchWord=%E5%86%8A%E7%8E%8B%E5%A6%B9%E4%B8%8A%E5%85%AC%E4%B8%BB%E7%88%B2%E6%89%BF%E6%85%B6%E5%AE%AE%E4%B8%BB&x=33&y=9 《고려사》권17〈세가〉권17 - 의종 2년 11월 - 왕의 누이들을 궁주로 책봉하다]</ref>. 이후 승경궁주는 [[고려 문종|문종]](文宗)의 손자 [[강릉공]](江陵公 溫)의 아들 [[공화후|공화백]] 영(恭化伯 瑛)과 혼인하여<ref name="do">[http://db.history.go.kr/KOREA/result.do?type=search&searchWord=%E5%AD%97%E7%8E%84%E8%99%9B&x=19&y=10 《고려사》권90〈열전〉권3 - 조선공 왕도]</ref> 1남 1녀를 낳았다<ref name="myo">[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319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왕영녀왕씨묘지명〉]</ref>. 한편 공화백과 승경궁주의 혼인은 7촌 숙질간에 이루어진 [[근친혼]]이다<ref>'''승경궁주''' ← 인종 ← 예종 ← 숙종 ← '''문종''' → 조선공 → 강릉공 → '''공화후'''</ref>.

한편 이후의 승경궁주의 자세한 삶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는 것이 없어 알 수 없다. [[호 (이름)|호]]는 '''승경궁주'''(承慶宮主) 또는 '''승경궁공주'''(承慶宮公主)<ref name="myo"></ref>이다.


== 가족 관계 ==
== 가족 관계 ==


승경궁주의 아들은 [[광릉공|광릉후]](廣陵侯)에 봉해진 왕면(王沔)이다. 왕면은 후에 광릉공(廣陵公)으로 진봉되었으며, 승경궁주의 남매 의종의 딸 [[화순궁주]]와 혼인하였다. 성격이 순수하고 후덕하며, 침착하고 냉정하였다고 한다. 또 여러 기술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고도 한다. 왕면은 [[1218년]](고종 5년)에 사망하였다<ref name="do"></ref>. 한편 승경궁주의 딸은 혼인은 하지 않았고, [[1185년]](명종 15년) 36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현재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승경궁주의 딸의 묘지명이 남아있다<ref name="myo"></ref>.
승경궁주는 [[강릉공]]의 아들 [[공화후|공화백]]과 혼인하여 1남 1녀를 낳았다. 공화백은 후에 공화후(恭化侯)로 진봉되었으며<ref name="myo"></ref>, [[1186년]](명종 16년) 61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시호]]는 정의(定懿)이다<ref name="do"></ref>.

승경궁주의 아들은 [[광릉공|광릉후]](廣陵侯)에 봉해진 왕면(王沔)이다. 왕면은 후에 광릉공(廣陵公)으로 진봉되었으며, 승경궁주의 남매 [[고려 의종|의종]]의 딸 [[화순궁주]](和順宮主)와 혼인하였다. 성격이 순수하고 후덕하며, 침착하고 냉정하였다고 한다. 또 여러 기술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고도 한다. 왕면은 [[1218년]](고종 5년)에 사망하였다<ref name="do"></ref>. 한편 승경궁주의 딸은 혼인은 하지 않았고, [[1185년]](명종 15년) 36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현재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승경궁주의 딸의 묘지명이 남아있다<ref name="myo"></ref>.


한편 승경궁주의 시아버지인 [[강릉공]]은 자신의 아들을 [[고려 인종|인종]]의 딸과 결혼시키고, 자신의 세 딸은 모두 인종의 아들과 결혼시켜 왕비가 되는 등 인종과 무려 네 겹사돈 관계를 맺고 있다<ref>[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5COb_A9999_2_0005594&curSetPos=0&curSPos=0&isEQ=true&kristalSearchArea=B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선정태후〉]</ref>.
한편 승경궁주의 시아버지인 강릉공은 자신의 아들을 인종의 딸과 결혼시키고, 자신의 세 딸은 모두 인종의 아들과 결혼시켜 왕비가 되는 등 인종과 무려 네 겹사돈 관계를 맺고 있다<ref>[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5COb_A9999_2_0005594&curSetPos=0&curSPos=0&isEQ=true&kristalSearchArea=B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선정태후〉]</ref>.


* 아버지 : [[고려 인종|인종]] (仁宗, [[1109년]] ~ [[1146년]], 재위 : [[1122년]] ~ [[1146년]]) - [[고려]]의 제17대 [[왕]]
* 아버지 : [[고려 인종|인종]] (仁宗, [[1109년]] ~ [[1146년]], 재위 : [[1122년]] ~ [[1146년]]) - [[고려]]의 제17대 [[왕]]

2013년 5월 21일 (화) 14:41 판

승경궁주
궁주 (공주)
이름
별호 승경궁공주 (承慶宮公主)
신상정보
출생일 미상
출생지 고려
사망일 미상
사망지 고려
국적 고려
왕조 고려 왕조
부친 고려 인종
모친 공예태후 임씨
배우자 공화후 왕영
자녀 광릉공 왕면, 딸 1명
묘소 미상

승경궁주(承慶宮主, 생몰년 미상)는 고려 시대의 왕족이다. 인종공예태후 임씨의 장녀이다. 승경궁공주(承慶宮公主)라고도 한다. (王), 본관개성(開城)이다. 의종명종, 신종 등의 친남매이며, 희종강종 등에게는 고모가 된다.

생애

생몰년은 명확하지 않으며, 의종이 즉위한 후인 1148년(의종 2년) 음력 11월 6일, 동생인 덕녕궁주와 함께 궁주로 책봉되어 승경궁주(承慶宮主)의 작호를 받았다[1]. 이후 승경궁주는 문종의 손자 강릉공 온(江陵公 溫)의 아들 공화백 영(恭化伯 瑛)과 혼인하여[2] 1남 1녀를 낳았다[3]. 공화백은 후에 공화후(恭化侯)로 진봉되었으며[3], 1186년(명종 16년) 61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시호는 정의(定懿)이다[2]. 한편 공화백과 승경궁주의 혼인은 7촌 숙질간에 이루어진 근친혼이다[4].

한편 이후의 승경궁주의 자세한 삶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는 것이 없어 알 수 없다.

가족 관계

승경궁주의 아들은 광릉후(廣陵侯)에 봉해진 왕면(王沔)이다. 왕면은 후에 광릉공(廣陵公)으로 진봉되었으며, 승경궁주의 남매 의종의 딸 화순궁주와 혼인하였다. 성격이 순수하고 후덕하며, 침착하고 냉정하였다고 한다. 또 여러 기술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고도 한다. 왕면은 1218년(고종 5년)에 사망하였다[2]. 한편 승경궁주의 딸은 혼인은 하지 않았고, 1185년(명종 15년) 36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현재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승경궁주의 딸의 묘지명이 남아있다[3].

한편 승경궁주의 시아버지인 강릉공은 자신의 아들을 인종의 딸과 결혼시키고, 자신의 세 딸은 모두 인종의 아들과 결혼시켜 왕비가 되는 등 인종과 무려 네 겹사돈 관계를 맺고 있다[5].

외부 연결

출처 및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