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불교}}
{{불교}}


'''여래'''(如來)는 [[불10호]](佛十號) 즉 [[부처]]의 [[10가지 명호]](名號) 중의 하나이며 그 유래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범어]]의 '''타타가타'''(tathagata)를 번역한 것이라고 한다.<ref name="글로벌-여래">[[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세계의 종교/불 교/불교의 사상#여래|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여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br />"여래 如來: 여래는 부처의 10가지 명호(名號:佛十號) 중의 하나이며 그 유래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범어의 타타가타(tathagata)를 번역한 것이라고 한다. 이 말은 타타가타(tatha­gata)로 보는가 타타 아가타(tatha­agata)로 하는가에 따라 2가지 뜻으로 나뉜다. 불교 교리상에는 이 2가지 뜻을 내포한다고 한다. 즉, 타타가타는 {{nowrap|'여(如)로부터 온다'}}, 타타아 가타는 {{nowrap|'여(如)에로 간다'}}라는 뜻으로서 여(如)라는 것은 '있는 그대로의 진실[眞如]', '진리 그 자체'를 뜻한다. 따라서 고타마가 진리를 깨달았다는 체험 위에서 깨달음으로 향하는 지혜를 주로 한다면 '진리에로 간다', 즉 '여거(如去)'가 되며, 반대로 진리를 깨달은 결과 나타난 힘, 즉 자비의 이타행(利他行)이라는 면에서 본다면 '진리에서 우리들 쪽으로 오는 것', 즉 '여래(如來)'가 되는 것이다. 한역(漢譯)에서는 진리에 따라 이 세상에 와서 진리를 가르치는 사람이란 뜻으로 '여래'가 사용되고 있다."</ref> 음역하여 '''다아갈'''(多阿竭){{.cw}}'''다타아가도'''(多陀阿伽度 또는 多他阿伽度){{.cw}}'''다타아가타'''(多陀阿伽陀){{.cw}}'''다타아가태'''(多陀阿伽馱){{.cw}}'''달살아갈'''(怛薩阿竭){{.cw}}'''달타벽다'''(怛他蘗多) 또는 '''달타아다'''(怛他誐多)라고도 한다.{{sfn|혜원 찬|T.1851|loc=제20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44n1851_p0863b17 T44n1851_p0863b17 - T44n1851_p0863c05]. 여래(如來)|quote=<br>"初如來者。外國名為多陀阿伽度。亦云多陀阿伽馱也。此云如來。斯乃就德以立其名。德中不定。解有兩義。一約佛解。如涅槃釋。如三世佛所說不變。故名為如。佛如而來故名如來。若從此釋。就義立名。二約理釋。如者如理。來者是德。故龍樹云。乘如實道來成正覺故曰如來。涅槃宣說。乘六波羅蜜十一空來。故曰如來。當知。此亦約理釋矣。若從是義。如來之名境德合目。又就此等分為異釋。道言乘如來成正覺名如來者。就其證道解如來義。非不如說名如來者。就其教道解釋如來。乘六波羅蜜十一空來名如來者。就不住道以解如來。分相且然。究尋此等共成一義。佛依理成故。說乘如來成正覺。乘如猶行。行謂六度。故復宣說。乘六波羅蜜十一空來。十一空義。如上廣辨。此猶如也。內證難彰。寄言以顯。是以復言非不如說。"}}
'''여래'''(如來)는 [[불10호]](佛十號) 즉 [[부처]]의 [[10가지 명호]](名號) 중의 하나이며 그 유래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범어]]의 '''타타가타'''(tathagata)를 번역한 것이라고 한다.<ref name="글로벌-여래">[[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세계의 종교/불 교/불교의 사상#여래|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여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br />"여래 如來: 여래는 부처의 10가지 명호(名號:佛十號) 중의 하나이며 그 유래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범어의 타타가타(tathagata)를 번역한 것이라고 한다. 이 말은 타타가타(tatha­gata)로 보는가 타타 아가타(tatha­agata)로 하는가에 따라 2가지 뜻으로 나뉜다. 불교 교리상에는 이 2가지 뜻을 내포한다고 한다. 즉, 타타가타는 {{nowrap|'여(如)로부터 온다'}}, 타타아 가타는 {{nowrap|'여(如)에로 간다'}}라는 뜻으로서 여(如)라는 것은 '있는 그대로의 진실[眞如]', '진리 그 자체'를 뜻한다. 따라서 고타마가 진리를 깨달았다는 체험 위에서 깨달음으로 향하는 지혜를 주로 한다면 '진리에로 간다', 즉 '여거(如去)'가 되며, 반대로 진리를 깨달은 결과 나타난 힘, 즉 자비의 이타행(利他行)이라는 면에서 본다면 '진리에서 우리들 쪽으로 오는 것', 즉 '여래(如來)'가 되는 것이다. 한역(漢譯)에서는 진리에 따라 이 세상에 와서 진리를 가르치는 사람이란 뜻으로 '여래'가 사용되고 있다."</ref> 음역하여 '''다아갈'''(多阿竭){{.cw}}'''다타아가도'''(多陀阿伽度 또는 多他阿伽度){{.cw}}'''다타아가타'''(多陀阿伽陀){{.cw}}'''다타아가태'''(多陀阿伽馱){{.cw}}'''달살아갈'''(怛薩阿竭){{.cw}}'''달타벽다'''(怛他蘗多) 또는 '''달타아다'''(怛他誐多)라고도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A6%82%E4%BE%86&rowno=50 如來(여래)]". 2013년 4월 20일에 확인|quote=<br>"如來(여래):
【범】 Tathāgata 부처님 10호의 하나. 다타아가타(多陀阿伽陀)ㆍ다타아가도(多陀阿伽度)ㆍ달타벽다(怛他蘗多)라 음역. 이 말 뜻에 대하여는 이 말을 조성하는 두 단어(單語)로 나누어 볼 수 있음. 첫말을 tatha 또는 tathā, 둘째 말을 gata 또는 āgata라고 하는 차이가 있음. tatha는 진실ㆍ진리란 뜻. tathā는 같이, 곧 여시(如是) 또는 여실(如實)의 뜻. gata는 가다(逝)의 뜻. āgata는 도달ㆍ오다(來格)의 뜻. 그러므로 만일 (1) tathā+gata라 하면 지금까지의 부처님들과 같이 저들과 같은 길을 걸어서 열반의 피안(彼岸)에 간 사람이란 뜻, 곧 선서(善逝)ㆍ도피안(到彼岸) 등과 같은 뜻. (2) tatha+āgata라 하면 진리에 도달한 사람이란 뜻. (3) tathā+āgata라 하면 지금까지의 제불과 같이 저들과 같은 길을 걸어서 동일한 이상경(理想境)에 도달한 사람이란 뜻. 또 이 밖에도 āgata를 오다(來格)의 뜻이라 하면 여래라는 것은 부처님들과 같은 길을 걸어서 이 세상에 내현(來現)한 사람, 또는 여실한 진리에 수순하여 이 세상에 와서 진리를 보여주는 사람이란 뜻. 한역(漢譯)에서는 이 뜻에 의하여 여래를 해석하되 여(如)로서 내생(來生)한 사람이라고 한 것임. ⇒다타아가도(多陀阿迦度)ㆍ여거(如去)"}}{{sfn|혜원 찬|T.1851|loc=제20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44n1851_p0863b17 T44n1851_p0863b17 - T44n1851_p0863c05]. 여래(如來)|quote=<br>"初如來者。外國名為多陀阿伽度。亦云多陀阿伽馱也。此云如來。斯乃就德以立其名。德中不定。解有兩義。一約佛解。如涅槃釋。如三世佛所說不變。故名為如。佛如而來故名如來。若從此釋。就義立名。二約理釋。如者如理。來者是德。故龍樹云。乘如實道來成正覺故曰如來。涅槃宣說。乘六波羅蜜十一空來。故曰如來。當知。此亦約理釋矣。若從是義。如來之名境德合目。又就此等分為異釋。道言乘如來成正覺名如來者。就其證道解如來義。非不如說名如來者。就其教道解釋如來。乘六波羅蜜十一空來名如來者。就不住道以解如來。分相且然。究尋此等共成一義。佛依理成故。說乘如來成正覺。乘如猶行。行謂六度。故復宣說。乘六波羅蜜十一空來。十一空義。如上廣辨。此猶如也。內證難彰。寄言以顯。是以復言非不如說。"}}


원어를 '''타타가타'''(tatha­gata)로 보는가 '''타타아가타'''(tatha­agata)로 하는가에 따라 여래(如來)에는 2가지 뜻이 있는데, [[불교]]의 교학에서는 여래(如來)라는 낱말에는 이 2가지 뜻이 모두 들어 있다고 본다. 즉, [[여 (불교)|여]](如)는 있는 그대로의 진실(眞如), [[진리 (불교)|진리]] 그 자체를 뜻하는데, [[여 (불교)|여]](如)로부터 온다느 [[타타가타]]의 뜻과 [[여 (불교)|여]](如)에로 간다는 [[타타아가타]]의 뜻이 '''여래'''(如來)라는 낱말에 모두 들어 있다고 본다.<ref name="글로벌-여래"/>{{sfn|혜원 찬|T.1851|loc=제20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44n1851_p0863b17 T44n1851_p0863b17 - T44n1851_p0863c05]. 여래(如來)}}
원어를 '''타타가타'''(tatha­gata)로 보는가 '''타타아가타'''(tatha­agata)로 하는가에 따라 여래(如來)에는 2가지 뜻이 있는데, [[불교]]의 교학에서는 여래(如來)라는 낱말에는 이 2가지 뜻이 모두 들어 있다고 본다. 즉, [[여 (불교)|여]](如)는 있는 그대로의 진실(眞如), [[진리 (불교)|진리]] 그 자체를 뜻하는데, [[여 (불교)|여]](如)로부터 온다느 [[타타가타]]의 뜻과 [[여 (불교)|여]](如)에로 간다는 [[타타아가타]]의 뜻이 '''여래'''(如來)라는 낱말에 모두 들어 있다고 본다.<ref name="글로벌-여래"/>{{sfn|혜원 찬|T.1851|loc=제20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44n1851_p0863b17 T44n1851_p0863b17 - T44n1851_p0863c05]. 여래(如來)}}

2013년 4월 20일 (토) 00:34 판

여래(如來)는 불10호(佛十號) 즉 부처10가지 명호(名號) 중의 하나이며 그 유래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범어타타가타(tathagata)를 번역한 것이라고 한다.[1] 음역하여 다아갈(多阿竭) · 다타아가도(多陀阿伽度 또는 多他阿伽度) · 다타아가타(多陀阿伽陀) · 다타아가태(多陀阿伽馱) · 달살아갈(怛薩阿竭) · 달타벽다(怛他蘗多) 또는 달타아다(怛他誐多)라고도 한다.[2][3]

원어를 타타가타(tatha­gata)로 보는가 타타아가타(tatha­agata)로 하는가에 따라 여래(如來)에는 2가지 뜻이 있는데, 불교의 교학에서는 여래(如來)라는 낱말에는 이 2가지 뜻이 모두 들어 있다고 본다. 즉, (如)는 있는 그대로의 진실(眞如), 진리 그 자체를 뜻하는데, (如)로부터 온다느 타타가타의 뜻과 (如)에로 간다는 타타아가타의 뜻이 여래(如來)라는 낱말에 모두 들어 있다고 본다.[1][3]

따라서 고타마진리를 깨달았다는 체험 위에서 깨달음으로 향하는 지혜를 주로 한다면 '진리에로 간다', 즉 여거(如去)가 되며, 반대로 진리를 깨달은 결과 나타난 힘, 즉 자비이타행(利他行)이라는 면에서 본다면 '진리에서 우리들 쪽으로 오는 것', 즉 여래(如來)가 된다. 한역(漢譯)에서는 단어의 문자 그대로의 뜻으로는 진리에 따라 이 세상에 와서 진리를 가르치는 사람이란 뜻의 '여래(如來)'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내포하는 의미로는 여거(如去)와 여래(如來)를 모두 뜻한다.[1][3]

여래와 연기법

잡아함경》 제12권 제299경 〈연기법경(緣起法經)〉에서 고타마 붓다는 여래(如來)들은 법계(우주)에 본래부터 항상 존재하는[常住] 법칙[法] 즉 우주 법칙으로서의 연기법(緣起法)을 완전히 깨달은[等正覺] 존재들로서, 완전한 깨달음[等正覺]을 성취한 후에 다른 이들도 자신들처럼 이 우주 법칙을 완전히 깨달을[等正覺]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여러 형태로 가르침을 펴는 존재들이라고 말하고 있다.

한편, 고타마 붓다의 이 설법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여래(如來)는 여거(如去)가 아니라, 한자어 문자 그대로, '진리[如]로부터 온[來] 자' 또는 '진리와 같아진[如, '等'正覺] 후, 즉 진리와 하나가 된[如, '等'正覺] 후, 즉 진리를 완전히 깨달은[如, '等'正覺] 후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세상으로 나온[來] 자'를 가리키는 낱말이다. 그리고, 고타마 붓다는 이러한 의미의 여래(如來)의 전형적인 경우들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有異比丘來詣佛所。稽首禮足。退坐一面。白佛言。

世尊。謂緣起法為世尊作。為餘人作耶。 
佛告比丘。緣起法者。非我所作。亦非餘人作。然彼如來出世及未出世。法界常住。
彼如來自覺此法。成等正覺。為諸眾生分別演說。開發顯示。
所謂此有故彼有。此起故彼起。謂緣無明行。乃至純大苦聚集。無明滅故行滅。乃至純大苦聚滅。

— 《잡아함경》 제12권 제299경 〈연기법경(緣起法經)〉. 한문본

이 때 어떤 비구가 고타마 붓다가 있는 곳에 나아가 머리를 조아려 그 발에 예배하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서 고타마 붓다에게 물었다.



"세존이시여, 이른바 연기법(緣起法)은 당신께서 만든 것입니까? 아니면 다른 깨달은 이[餘人]가 만든 것입니까?"

고타마 붓다는 그 비구에게 답하였다.

"연기법은 내가 만든 것[所作]도 아니요, 또한 다른 깨달은 이[餘人]가 만든 것[作]도 아니다. 그러므로 연기법은 저들[彼] 여래들[如來]이 세상에 출현하거나 세상에 출현하지 않거나 항상 법계(法界)에 존재한다[常住].

저들[彼] 여래들[如來]은 이 [우주적인] 법칙[法]을 스스로 깨달아 완전한 깨달음[等正覺]을 이룬다. 그런 뒤에, 모든 중생들을 위해 [이 우주 법칙을 중생들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여러 형태로] 분별해 연설하고[分別演說] [중생들에게] 드러내어 보인다[開發顯示].

말하자면, [나의 경우에는 12연기설의 형태로 이 우주 법칙을 분별해 연설하고 드러내어 보이는데, 나는] '이것이 있기 때문에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나기 때문에 저것이 일어난다'고 말하고, '무명을 인연하여 이 있고 ……(내지)…… 완전 괴로움뿐인 큰 무더기[純大苦聚, 즉 5취온]가 발생하며, 무명이 소멸하기 때문에 이 소멸하고 ……(내지)…… 완전 괴로움뿐인 큰 무더기[純大苦聚, 즉 5취온]가 소멸한다'고 말한다."

— 《잡아함경》 제12권 제299경 〈연기법경(緣起法經)〉. 한글본

함께 보기

참고 문헌

주석

  1.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여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여래 如來: 여래는 부처의 10가지 명호(名號:佛十號) 중의 하나이며 그 유래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범어의 타타가타(tathagata)를 번역한 것이라고 한다. 이 말은 타타가타(tatha­gata)로 보는가 타타 아가타(tatha­agata)로 하는가에 따라 2가지 뜻으로 나뉜다. 불교 교리상에는 이 2가지 뜻을 내포한다고 한다. 즉, 타타가타는 '여(如)로부터 온다', 타타아 가타는 '여(如)에로 간다'라는 뜻으로서 여(如)라는 것은 '있는 그대로의 진실[眞如]', '진리 그 자체'를 뜻한다. 따라서 고타마가 진리를 깨달았다는 체험 위에서 깨달음으로 향하는 지혜를 주로 한다면 '진리에로 간다', 즉 '여거(如去)'가 되며, 반대로 진리를 깨달은 결과 나타난 힘, 즉 자비의 이타행(利他行)이라는 면에서 본다면 '진리에서 우리들 쪽으로 오는 것', 즉 '여래(如來)'가 되는 것이다. 한역(漢譯)에서는 진리에 따라 이 세상에 와서 진리를 가르치는 사람이란 뜻으로 '여래'가 사용되고 있다."
  2. 운허, "如來(여래)". 2013년 4월 20일에 확인.
  3. 혜원 찬 & T.1851, 제20권. p. T44n1851_p0863b17 - T44n1851_p0863c05. 여래(如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