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이 말은 타타가타(tatha­gata)로 보는가 타타아가타(tatha­agata)로 하는가에 따라 2가지 뜻으로 나뉜다. [[불교]] 교리상에는 이 2가지 뜻을 내포한다고 한다. 즉, '''타타가타'''는 '여(如)로부터 온다', '''타타아가타'''는 '여(如)에로 간다'라는 뜻으로서 '여(如)라는 것은, 있는 그대로의 진실(眞如)', '진리 그 자체'를 뜻한다.<ref name="글로벌-여래"/>
이 말은 타타가타(tatha­gata)로 보는가 타타아가타(tatha­agata)로 하는가에 따라 2가지 뜻으로 나뉜다. [[불교]] 교리상에는 이 2가지 뜻을 내포한다고 한다. 즉, '''타타가타'''는 '여(如)로부터 온다', '''타타아가타'''는 '여(如)에로 간다'라는 뜻으로서 '여(如)라는 것은, 있는 그대로의 진실(眞如)', '진리 그 자체'를 뜻한다.<ref name="글로벌-여래"/>


따라서 [[고타마]]가 진리를 깨달았다는 체험 위에서 깨달음으로 향하는 지혜를 주로 한다면 '진리에로 간다', 즉 '여거(如去)'가 되며, 반대로 진리를 깨달은 결과 나타난 힘, 즉 자비의 이타행(利他行)이라는 면에서 본다면 '진리에서 우리들 쪽으로 오는 것', 즉 '여래(如來)'가 되는 것이다. 한역(漢譯)에서는 진리에 따라 이 세상에 와서 진리를 가르치는 사람이란 뜻으로 '여래'가 사용되고 있다.<ref name="글로벌-여래"/>
따라서 [[고타마]]가 [[진리 (불교)|진리]]를 깨달았다는 체험 위에서 [[깨달음]]으로 향하는 [[지혜 (불교)|지혜]]를 주로 한다면 '진리에로 간다', 즉 '여거(如去)'가 되며, 반대로 [[진리 (불교)|진리]]를 깨달은 결과 나타난 힘, 즉 [[자비]]의 [[이타행]](利他行)이라는 면에서 본다면 '진리에서 우리들 쪽으로 오는 것', 즉 '여래(如來)'가 되는 것이다. [[한역]](漢譯)에서는 [[진리 (불교)|진리]]에 따라 이 세상에 와서 [[진리 (불교)|진리]]를 가르치는 사람이란 뜻으로 '여래'가 사용되고 있다.<ref name="글로벌-여래"/>


==여래와 연기법==
==여래와 연기법==

2013년 4월 20일 (토) 00:11 판

여래(如來)는 불10호(佛十號) 즉 부처10가지 명호(名號) 중의 하나이며 그 유래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범어타타가타(tathagata)를 번역한 것이라고 한다.[1]

이 말은 타타가타(tatha­gata)로 보는가 타타아가타(tatha­agata)로 하는가에 따라 2가지 뜻으로 나뉜다. 불교 교리상에는 이 2가지 뜻을 내포한다고 한다. 즉, 타타가타는 '여(如)로부터 온다', 타타아가타는 '여(如)에로 간다'라는 뜻으로서 '여(如)라는 것은, 있는 그대로의 진실(眞如)', '진리 그 자체'를 뜻한다.[1]

따라서 고타마진리를 깨달았다는 체험 위에서 깨달음으로 향하는 지혜를 주로 한다면 '진리에로 간다', 즉 '여거(如去)'가 되며, 반대로 진리를 깨달은 결과 나타난 힘, 즉 자비이타행(利他行)이라는 면에서 본다면 '진리에서 우리들 쪽으로 오는 것', 즉 '여래(如來)'가 되는 것이다. 한역(漢譯)에서는 진리에 따라 이 세상에 와서 진리를 가르치는 사람이란 뜻으로 '여래'가 사용되고 있다.[1]

여래와 연기법

잡아함경》 제12권 제299경 〈연기법경(緣起法經)〉에서 고타마 붓다는 여래(如來)들은 법계(우주)에 본래부터 항상 존재하는[常住] 법칙[法] 즉 우주 법칙으로서의 연기법(緣起法)을 완전히 깨달은[等正覺] 존재들로서, 완전한 깨달음[等正覺]을 성취한 후에 다른 이들도 자신들처럼 이 우주 법칙을 완전히 깨달을[等正覺]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여러 형태로 가르침을 펴는 존재들이라고 말하고 있다.

한편, 고타마 붓다의 이 설법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여래(如來)는 여거(如去)가 아니라, 한자어 문자 그대로, '진리[如]로부터 온[來] 자' 또는 '진리와 같아진[如, '等'正覺] 후, 즉 진리와 하나가 된[如, '等'正覺] 후, 즉 진리를 완전히 깨달은[如, '等'正覺] 후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세상으로 나온[來] 자'를 가리키는 낱말이다. 그리고, 고타마 붓다는 이러한 의미의 여래(如來)의 전형적인 경우들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有異比丘來詣佛所。稽首禮足。退坐一面。白佛言。

世尊。謂緣起法為世尊作。為餘人作耶。 
佛告比丘。緣起法者。非我所作。亦非餘人作。然彼如來出世及未出世。法界常住。
彼如來自覺此法。成等正覺。為諸眾生分別演說。開發顯示。
所謂此有故彼有。此起故彼起。謂緣無明行。乃至純大苦聚集。無明滅故行滅。乃至純大苦聚滅。

— 《잡아함경》 제12권 제299경 〈연기법경(緣起法經)〉. 한문본

이 때 어떤 비구가 고타마 붓다가 있는 곳에 나아가 머리를 조아려 그 발에 예배하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서 고타마 붓다에게 물었다.



"세존이시여, 이른바 연기법(緣起法)은 당신께서 만든 것입니까? 아니면 다른 깨달은 이[餘人]가 만든 것입니까?"

고타마 붓다는 그 비구에게 답하였다.

"연기법은 내가 만든 것[所作]도 아니요, 또한 다른 깨달은 이[餘人]가 만든 것[作]도 아니다. 그러므로 연기법은 저들[彼] 여래들[如來]이 세상에 출현하거나 세상에 출현하지 않거나 항상 법계(法界)에 존재한다[常住].

저들[彼] 여래들[如來]은 이 [우주적인] 법칙[法]을 스스로 깨달아 완전한 깨달음[等正覺]을 이룬다. 그런 뒤에, 모든 중생들을 위해 [이 우주 법칙을 중생들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여러 형태로] 분별해 연설하고[分別演說] [중생들에게] 드러내어 보인다[開發顯示].

말하자면, [나의 경우에는 12연기설의 형태로 이 우주 법칙을 분별해 연설하고 드러내어 보이는데, 나는] '이것이 있기 때문에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나기 때문에 저것이 일어난다'고 말하고, '무명을 인연하여 이 있고 ……(내지)…… 완전 괴로움뿐인 큰 무더기[純大苦聚, 즉 5취온]가 발생하며, 무명이 소멸하기 때문에 이 소멸하고 ……(내지)…… 완전 괴로움뿐인 큰 무더기[純大苦聚, 즉 5취온]가 소멸한다'고 말한다."

— 《잡아함경》 제12권 제299경 〈연기법경(緣起法經)〉. 한글본

함께 보기

참고 문헌

주석

  1.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여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여래 如來: 여래는 부처의 10가지 명호(名號:佛十號) 중의 하나이며 그 유래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범어의 타타가타(tathagata)를 번역한 것이라고 한다. 이 말은 타타가타(tatha­gata)로 보는가 타타 아가타(tatha­agata)로 하는가에 따라 2가지 뜻으로 나뉜다. 불교 교리상에는 이 2가지 뜻을 내포한다고 한다. 즉, 타타가타는 '여(如)로부터 온다', 타타아 가타는 '여(如)에로 간다'라는 뜻으로서 여(如)라는 것은 '있는 그대로의 진실[眞如]', '진리 그 자체'를 뜻한다. 따라서 고타마가 진리를 깨달았다는 체험 위에서 깨달음으로 향하는 지혜를 주로 한다면 '진리에로 간다', 즉 '여거(如去)'가 되며, 반대로 진리를 깨달은 결과 나타난 힘, 즉 자비의 이타행(利他行)이라는 면에서 본다면 '진리에서 우리들 쪽으로 오는 것', 즉 '여래(如來)'가 되는 것이다. 한역(漢譯)에서는 진리에 따라 이 세상에 와서 진리를 가르치는 사람이란 뜻으로 '여래'가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