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자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21.136.43.135(토론)의 10335876판 편집을 되돌림
8번째 줄: 8번째 줄:


== 유래 ==
== 유래 ==
[[조선시대]]에는 보(褓)와 같은 음인 복(福)이 보자기를 이르는 말로 쓰였다. 복을 싸둔다는 뜻으로 쓰였다고도 한다. 특히 [[혼례]]에 쓰이는 수보에는 복락기원을 상징하는 문양을 새겨 전해주어, 단순히 물건을 싸는 도구가 아닌 타자와의 소통도구로서 내면의 마음을 싸는 도구로 쓰였다.<ref name=eo/>
계층의 구분없이 유용하게 널리 쓰인 이유로,
#사람을 정성껏 대하고 물건을 소중히 다루는 동양 예의 습성
#서민계층 주거공간 협소로 자리를 적게 차지하면서 용적이 큰 용구로 사용
#전통 민간 신앙적 측면에서 보자기에 복을 싸두면 복이 간직된다는 속신


== 용도 ==
== 용도 ==

2013년 3월 9일 (토) 21:16 판

보자기

보자기한국말로 물건을 싸는 작은 천을 뜻하는 말이다. 보(褓)는 물건을 싸거나 덮어 씌우기 위해 네모나게 만든 으로, 특히 작은 보를 보자기라 부른다.[1]

가로 세로 크기는 보통 1m 정도이며, 팔 너비를 넘지 않는다.

예쁜 를 놓은 보자기는 수보(繡褓)라고 하며, 보자기에 물건을 싸서 꾸린 뭉치는 보따리라고 부른다.


유래

조선시대에는 보(褓)와 같은 음인 복(福)이 보자기를 이르는 말로 쓰였다. 복을 싸둔다는 뜻으로 쓰였다고도 한다. 특히 혼례에 쓰이는 수보에는 복락기원을 상징하는 문양을 새겨 전해주어, 단순히 물건을 싸는 도구가 아닌 타자와의 소통도구로서 내면의 마음을 싸는 도구로 쓰였다.[1] 계층의 구분없이 유용하게 널리 쓰인 이유로,

  1. 사람을 정성껏 대하고 물건을 소중히 다루는 동양 예의 습성
  2. 서민계층 주거공간 협소로 자리를 적게 차지하면서 용적이 큰 용구로 사용
  3. 전통 민간 신앙적 측면에서 보자기에 복을 싸두면 복이 간직된다는 속신

용도

전통적

  • 가리는 것
  • 덮는 것
  • 받치는 것
  • 장식하는 것
  • 신앙적인것

현대

손에 들고 다닐 수 있는 간단한 선물을 싸거나, 직장을 옮길때 개인 사물을 쌀 때에도 주로 쓰인다.

같이 보기

주석

  1. 김은옥 (2009년 12월 28일). 《보자기의 상징적 이미지를 통한 소통방법 연구》. 홍익대 미술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