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22번째 줄: 22번째 줄:
* [[멸제]](滅諦, {{llang|sa|[[:en:nirodha-satya|<span style="color: black">nirodha-satya</span>]]}}, {{llang|pi|[[:en:nirodha-sacca|<span style="color: black">nirodha-sacca</span>]]}})
* [[멸제]](滅諦, {{llang|sa|[[:en:nirodha-satya|<span style="color: black">nirodha-satya</span>]]}}, {{llang|pi|[[:en:nirodha-sacca|<span style="color: black">nirodha-sacca</span>]]}})
* [[택멸]]([[:zh:擇滅|<span style="color: black">擇滅</span>]], {{llang|sa|pratisajkhyā-[[:en:nirodha|<span style="color: black">nirodha</span>]]}}, {{llang|pi|patisavkhā-[[:en:nirodha|<span style="color: black">nirodha</span>]]}})
* [[택멸]]([[:zh:擇滅|<span style="color: black">擇滅</span>]], {{llang|sa|pratisajkhyā-[[:en:nirodha|<span style="color: black">nirodha</span>]]}}, {{llang|pi|patisavkhā-[[:en:nirodha|<span style="color: black">nirodha</span>]]}})
* [[4제 16행상]](四諦 十六行相: 4성제를 관찰하는 16종의 관법 또는 관행)의 하나


==적멸==
==적멸==

2013년 2월 5일 (화) 17:59 판

(滅)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불이) 꺼지다, (불을) 끄다, 멸망하다, 없어지다, 죽다, 다하다'[1] 등인데, 불교 용어로서의 멸(滅)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2][3]

적멸

(滅)은 적멸(寂滅, 산스크리트어: vyupaśama, 팔리어: vūpasama)의 줄임말로, 열반(涅槃)을 뜻한다.[2] 또는 열반의 원어인 산스크리트어 니르바나(nirvāṇa) 또는 팔리어 니빠나(nibbāna)의 의역어들 중 하나이다.[4] 예를 들어, 생사윤회의 원인인 번뇌벗어나 적정(寂靜)의 무위의 상태 즉 열반에 들어가는 것을 입멸(入滅)이라고 한다. 특히 고타마 붓다의 최후의 입멸, 즉 육신의 죽음과 함께 반열반(般涅槃)으로 들어간 것 즉 불생불멸법신(法身)의 상태로 들어간 것을 불멸(佛滅)이라고 한다.[5][6]

멸제

(滅, 산스크리트어: nirodha)은 4성제(四聖諦) 가운데 하나인 멸제(滅諦, 산스크리트어: nirodha-satya, 팔리어: nirodha-sacca)의 줄임말이다. 멸의 원어인 산스크리트어 혹은 팔리어 니로다(nirodha)는 니루다(尼樓陀)라고도 음역한다.[7]

택멸

(滅, 산스크리트어: nirodha)은 (物: 물질적인 것) · (心: 정신적인 것)의 속박이 없는 진리를 뜻하는데, 택멸(擇滅, 산스크리트어: pratisajkhyā-nirodha, 팔리어: patisavkhā-nirodha) 즉 열반(涅槃)을 가리키는 말이다.[8][9]

4제 16행상의 하나

(滅, 산스크리트어: nirodha)은 불교의 수행법 중 하나인 4제 16행상(四諦 十六行相: 4성제를 관찰하는 16종의 관법 또는 관행[10]) 가운데 하나로, 4성제멸제에 대한 4가지 관찰[觀法 또는 觀行]인 (滅) · (靜) · (妙) · (離) 가운데 (滅)을 말한다. 이것은 '택멸열반이란 모든 이 다한 것[諸蘊盡]이므로 (物: 물질적인 것) · (心: 정신적인 것)의 속박이 없는 진리라고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러한 수행[行相]을 (滅)이라고 한다.[8][9][11]

멸진

(滅)은 멸진(滅盡, 산스크리트어: anityatā) 즉 다하여 없어짐 또는 다하여 사라짐을 뜻한다. 예를 들어, 번뇌가 모두 멸진된 상태가 열반이고, 멸진정(滅盡定, 산스크리트어: nirodha-samāpatti)은 마음마음작용멸진되어 고요해진 상태이다(진여무분별지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유위4상의 하나

(滅)은 (生) · (住) · (異) · (滅) 또는 (生) · (住) · (老) · 무상(無常)의 유위4상(有爲四相) 가운데 하나인 (滅, 산스크리트어: anityatā) 또는 무상(無常, 산스크리트어: anityatā)을 뜻한다. 이 경우 멸상(滅相)이라고도 한다. 찰나상속(剎那相續)에 대해 적용되는 경우 또는 멸상찰나멸(刹那滅)을 뜻한다. 즉 찰나마다 유위법과거낙사(落謝)하여 현재에서 사라지는 것을 뜻한다. 1기상속(一期相續)에 대해 적용되는 경우 또는 멸상유정수명을 다하는 것 즉 죽음을 뜻한다. 유위4상(有爲四相)은 모두 설일체유부5위 75법유식유가행파법상종5위 100법법체계에서 심불상응행법에 속한다.

율·비나야

(滅)은 (戒), (律) 또는 율장(律藏)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비나야(산스크리트어: vinaya, 毘奈耶)의 의역어들 중 하나이다. 멸의 원어인 비나야비니(毘尼)라고도 음역한다.[12][13] 비구 · 비구니계율에 의거하여 모든 악업(惡業)을 조복(調伏: 제어하여 항복받음)하고 소멸시킨다는 뜻에서 계율 또는 율장을 멸이라고 한다.[14]

참고 문헌

주석

  1. "",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2월 1일에 확인.
    "滅: 1. (불이)꺼지다 2. 끄다 3. 멸하다(滅--) 4. 멸망하다(滅亡--) 5. 없어지다 6. 다하다 7. 빠지다 8. 빠뜨리다 9. 숨기다 10. 죽다 11. 잠기다 12. 열반"
  2. 星雲, "". 2013년 2월 1일에 확인.
  3. 운허, "滅(멸)". 2013년 2월 1일에 확인.
  4. 고려대장경연구소, "멸 滅". 2013년 2월 1일에 확인.
  5. 운허, "般涅槃(반열반)". 2013년 2월 1일에 확인.
  6. 운허, "佛滅(불멸". 2013년 2월 1일에 확인.
  7. 고려대장경연구소, "멸 滅". 2013년 2월 1일에 확인.
  8.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4a06 - T26n1542_p0694a07. 멸지(滅智).
  9.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10 / 448. 멸지(滅智).
  10. 운허, "十六行相(십륙행상)". 2013년 1월 6일에 확인.
  11. 星雲, "十六行相". 2013년 2월 2일에 확인.
  12. 운허, "鼻奈耶(비나야)". 2013년 2월 1일에 확인.
  13. 고려대장경연구소, "멸 滅". 2013년 2월 1일에 확인.
  14. 星雲, "毘奈耶藏". 2013년 2월 1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