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진의 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육진의 난(六鎭之亂)은 중국 남북조 시대 북위말기 523년에 발생한 반란을 말한다. 6진은 북위의 북쪽 국경지대에 설치된 여섯 기지인 회삭진(懷朔鎭) · 무천진(武川鎭) · 무명진(撫冥鎭) · 유현진(柔玄鎭) · 옥야진(沃野鎭) · 회황진(懷荒鎭)을 말한다.

육진[편집]

육진(六鎭)은 시기마다 다른 의미를 갖는다. 육진은 원래 회삭진(懷朔鎭)·무천진(武川鎭)·무명진(撫冥鎭)·유현진(柔玄鎭)·옥야진(沃野鎭)·회황진(懷荒鎭)을 가리키지만, 후에는 북방 여러 진을 총칭하는 단어로 바뀌었다.[1]이러한 진들은 북방의 유연(柔然)의 침략을 막고 반란을 진압하며 남방 세력의 진공을 막기 위해 쓰였다.[2][3]

발생 원인[편집]

북위는 처음엔 자신들과 같은 북방의 이민족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수도 평성(平城) 가까운 곳에 생명선을 긋고 북쪽의 수비를 중요시하며 요새를 쌓았다. 선비족이나 흉노족의 유력 호족을 선택해 6진을 대표하는 북쪽을 경비하는 영민으로 이주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당연히 영민들은 대가로 특권을 부여받았다. 그러나 효문제의 한화 정책에 의해 수도가 평성에서 낙양으로 천도하자 북위의 지배층이던 선비족들과 6진을 대표하는 이민족들은 한화 정책에 불만이 쌓여갔다. 본래 북위의 명족출신들인 자신들의 피지배층인 한족들과 같은 성씨와 문자를 사용한다는 것에 큰 반발을 일으켰다.

진인각(陳寅恪)에 의하면 육진 군인은 원래 직업 군인이자 귀족 계층의 선비 문화를 갖춘 이들이라 한다. 효문제(孝文帝) 한화(漢化) 정책 이후에도 직업군인과 선비문화라는 점은 변함이 없으나 사회 계급이 급속히 하강하였으며, 이전의 사환과 복제(復除, 요역과 부세를 면제)의 특권은 없어졌다.[4] '국지폐부(國之肺腑)'는 점차 진호(鎭戶)와 부호(府戶)로 전락하였고 신분도 낮아졌다. 그러나 낙양(洛陽)으로 이사간 '강종자제(强宗子弟)'들은 한화되었고 각자 부귀영화를 누렸다. 변진(邊鎭)에서 군복무를 하는 사람들은 오히려 '관리들은 그 이름만 남았을 뿐 부호라고 불리면서 노예와 같은 역을 하였다(有司乖實, 號曰府戶, 役同厮養)'라고 하였으며, 육진 군민의 불만을 일으켰으며, 이로 인해 육진 일대에 한화가 되지 않았고, 최후에는 반(反) 한화로 인하여 육진의 봉기를 일으켰다.[5]

설해파(薛海波)는 육진의 상층 군관은 북위의 중하층민인 대인(代人), 부락의 추장, 한족의 호강 자제로 구성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은 부락의 무장세력에 근거하여 육진 통치 엘리트가 되었고 대량의 귀부 인구를 제어하였다. 그러나 육진은 반농반목 경제였기에 경제 기초가 매우 약했으며, 북위의 국가적 진휼 정책 역시 효과가 없었다. 육진 자신의 경제력으로는 난관을 넘지 못한 가운데, 군진 장권을 담당한 호강 추장들은 육진 내부 자원을 점유하여 손실을 메우고 북위 후기 육진 지구의 탐오 부패를 야기하였으며, 육진의 사회 갈등을 야기하였으며 이로 인해 구휼받지 못한 진민들과 압박을 받았던 호족(胡族) 추장들이 생존을 위해 폭동을 일으켰다.[6][주 1]

효명제(孝明帝) 시기 육진은 매년 가뭄과 기근이 발생했다. 정광(正光) 4년(523) 2월, 북위 북부의 유목부락 정권인 유연(柔然)도 대기근이 발생하면서 북위에게 구원을 요청했지만 북위 역시 경제적으로 압박을 받았던 데다 일관적으로 유연을 멸시하였기에, 유연의 요청을 거절하였다. 유연의 가한(可汗) 아나괴(阿那瓌)는 마침내 4월 북위를 침입하여 약탈을 하였고 이를 통해 기근을 해결하려 하였다. 회황진(懷荒鎭) 백성들은 식량을 대부분 약탈당하여 생계가 곤란해지자 마침내 진장(鎭將)인 무위장군(武威將軍) 우경(于景)에게 구휼을 요청했지만 우경은 이들의 요청을 거칠게 거절하였고, 이에 백성들이 분노하여 우경 부부를 죽였다. 이에 북위 조정은 육진 변민들을 탄압하기로 결정하였고 이것이 북위와 육진의 불신을 더했다.

경과[편집]

기병[편집]

정광(正光) 5년(524) 3월[7], 옥야진(沃野镇) 출신 파륙한발릉(破六韩拔陵)은 '고궐(高闕)의 수주(戍主)가 부하를 통솔함에 조화를 잃었다(高闕戍主, 率下失和)'는 이유로,[8][9] 수주(戍主)를 살해하고 반란을 일으켰으며 스스로 진왕(眞王)이라 칭하였다. 반군은 곧바로 옥야진을 공격하였고, 이후 북진하여 무천진과 회삭진을 포위하였다. 회삭진 장수 양균(楊鈞)은 하발도발(賀拔度拔)과 세 아들 하발윤(賀拔允), 하발승(賀拔勝), 하발악(賀拔岳)에게 명령하여 대응하게 하였다. 이윽고 북위는 임회왕(臨淮王) 원욱(元彧)을 도독북토제군사(都督北討諸軍事)에 임명하고 파륙한발릉을 토벌하게 하였다.[10] 원욱(元彧)이 병사를 이끌고 운중(雲中)에 주둔하였다. 4월, 고평진(高平鎭) 등의 반란으로 칙륵(敕勒) 추장 호침(胡琛)을 고평왕(高平王)으로 삼고, 고평진을 공격하여 파륙한발릉에 호응하였다. 북위 장수 노조천(盧祖遷)이 이를 격파하자 호침은 북쪽으로 도주하였다. 반군 위가고(衛可孤)는 같은 달 무천진(武川鎭)을 공격하여 함락하였고, 회삭진(懷朔鎭)도 무너졌으며, 하발승(賀拔勝) 부자는 모두 위가고에게 붙잡혔다.[10] 원욱은 파륙한발릉에게 오원군(五原郡)에서 패배하였고, 북위의 일파인 이숙인(李叔仁)이 거느린 부대는 백도(白道)에서 패배했다. 북위는 이숭(李崇)을 북토대도둑(北討大都督)으로 다시 파견하였고, 무군장군(撫軍將軍) 최섬(崔暹)과 진군장군(鎭軍將軍) 광양왕(廣陽王) 원연(元淵) 모두 이숭의 통제를 받았다. 7월, 최섬은 이숭의 통제를 무시하고 파륙한발릉과 함께 백도에서 전투하여 패배하였고 홀로 도주해 왔다. 파륙한발릉은 힘을 모아 이숭을 공격하였고, 이숭은 역전하였으나 방어하지 못하고 운중으로 돌아갔으며, 그와 함께 대치하였다.[10] 이에 육진은 모두 진민들에게 점령당하였다.

북위의 무사용, 산서성박물원(山西省博物院) 소장

같은해 북쪽 땅은 계속 반란이 발생했다. 6월 강인(羌人) 막절대제(莫折大提)가 진주(秦州)에서 봉기했다. 7월, 양주(涼州) 당수(幢帥) 우보리(于菩提)와 호연웅(呼延雄)이 자사(刺史) 송영(宋穎)을 붙잡고 양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10월, 유안정(劉安定)과 취덕흥(就德興)이 영주(營州)에서 봉기했다. 격년 정월 북위 종실의 서주자사(徐州刺史) 원법승(元法僧)이 송(宋)을 세웠다.

정광 6년(525) 정월, 북위가 소보연(蕭寶夤)과 최연백(崔延伯)을 파견하여 병사를 이끌고 진주의 관롱기의(關隴起義)를 정벌하였다. 4월, 고평진 반군 수령 호침이 대장 묵기추노(萬俟醜奴)과 숙근명달(宿勤明達) 등을 파견하여 북위 경주(涇州)를 공격하였으며, 소보연과 최연백의 대군을 패배시켰다.[11] 소보연은 안정으로 퇴각할 수 밖에 없었다.

파륙한발릉의 패배[편집]

정광 6년(525) 2월, 북위 호태후(胡太后])와 원후(元詡)가 정변을 일으켜, 원예(元乂)의 병권과 직무를 제거하고 원예와 그 일당을 죽였다. 동시에 사신을 유연에 파견하였고 예물을 제공하면서 유연에게 북위를 도와 반란을 제압할 것을 요청하였다. 유연 수령 아나괴(阿那瓌)는 병사 10만을 거느리고 서쪽으로 진격하여 옥야진을 공격하였다.[12] 유연군은 연전연승하였고 육진 군대는 대패하였다. 북위도 원침(元琛)을 파견하여 군대를 이끌고 평성(平城)을 출발, 회삭진을 공격하였다. 6월 원침은 파륙한발릉을 오원에서 대파하였고 동쪽으로 쫓아내었다. 원침은 책략을 바꾸어 내부분열을 시키고 반군을 초무하기로ㅗ 결정했다. 이 책략은 효과를 거둬, 먀렬하(乜列河)가 3만명을 거느리고 투항하였다. 원침은 다시 파륙한발릉이 먀렬하 군을 공격할 때를 틈타 매복하였다가 파륙한발릉 군대를 대파하였다.[13] 파륙한발릉은 강을 건너 도망쳤고 북위군에 붙잡힌 육진 군민 20만명은 북위 정권에 의해 영주(瀛州), 기주(冀州), 정주(定州) 세 곳에 분배되었다. 효명제는 효창(孝昌)으로 개원하였다.

하북 봉기[편집]

육진 포로 20만 명은 하북 세 주로 배치된 이후, 하북(河北)이 수재와 가뭄에 처하면서 이들은 생계가 어려워지자 도망자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하북봉기가 발생했다.[14]

북위의 군량을 실은 말, 대동시박물관(大同市博物館) 소장

효창 원년(525) 8월, 유현진의 병사 두락주(杜洛周)가 상곡군(上谷郡)에서 봉기했다.[15] 9월, 북위는 유주자사(幽州刺史) 상경(常景)과 유주도독(幽州都督) 원담(元譚)을 파견하여 진압하였다. 상경은 노룡새(盧龍塞, 오늘날 희봉구喜峰口)와 군도사(軍都司)에서 긴 선을 그리며 험요지에다 병사를 주둔하여 방어하였다.

효창 2년(526) 북위 안주(安州) 석리(石離), 육성(六城), 해염(解鹽)의 수장(戍將)이 거병하여 두락주에 호응하였고, 두락주는 병력을 모아 거용관(居庸關)을 공격하여 함락시켰으며, 원담은 밤낮으로 도망쳤다. 동시에 선우수례(鮮于修禮)는 현지 육진 병민을 거느리고 정주(定州)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며 노흥(魯興)으로 개원하였고, 북위 도독(都督) 양진(楊津)에게 격패당하였고 동쪽으로 도주하였다. 4월, 두락주가 계성(薊城, 오늘날 북경)으로 진격하여 도독 이거(李琚)를 격파하였으나 상경이 차단하여 상곡(上谷)으로 후퇴하였다. 5월, 두락주는 부장 조흘(曹紇)을 파견하여 계남(薊南)으로 진공하였으나, 7월 조흘의 부락은 상경에 의해 큰 타격을 입었다.[16] 두락주도 범양(范陽)에서 격파당하였다.

8월, 선우수례 부대에 내란이 발생하여 원홍업(元洪業)이 선우수례를 살해하였으나, 원홍업도 갈영(葛榮)에게 살해되었다. 9월, 갈영의 부대와 북위의 원연, 원융(元融) 부대가 백우라(白牛邏)에서 전투하였고 북위군이 대패하였으며 원융은 죽임당했다.[17] 후에 원연은 박릉(博陵)에서 갈영의 기병에게 죽임당하였다.

효창 3년(527) 정월, 갈영이 은주(殷州)를 공격하여 함락하였다. 11월에는 기주(冀州)를 함락하였다. 12월에는 원자옹(源子邕)과 배연(裴衍)을 격파하고 업(鄴)으로 진격했다.[17]

무태(武泰) 원년(528) 정월, 두락주가 정주(定州)와 영주(瀛州)를 함락하였다. 2월, 반군에 내란이 발생하였고 결국 갈영은 두락주를 죽이고 두락주의 군대를 취하였다. 이때 반군은 이미 수십만에 달하였다.[17] 동시에 산동(山東)에서 봉기가 발생, 형고(邢杲)가 6월 한왕(漢王)으로 자립하였고 천통(天统)으로 개원하였으나, 후에 원천목(元天穆)과 이주조(爾朱兆)에 의해 진압되었다. 북위 나머지 각지 모두 봉기가 발생했다.

6월, 이주영(爾朱榮)이 하음의 변(河陰之變)을 일으킨 후, 북위 조정은 이주영에 의해 통제되었으며, 이주영은 4로(路)의 대군 36만명을 일으켜[18] 반군을 공격하였다. 8월, 이주영은 정예기병 7만을 거느리고 반군 배후에서 습격하였다. 이주영은 갈영이 군사 배치할 때에 병력이 분산된다는 약점ㅇ을 이용하여 신속히 격파하였고 갈영은 붙잡혀 낙양에서 참수되었다. 12월, 갈영 휘하 한루(韓樓)가 하북 유주(幽州)에서 봉기하였고 이주영 수하 후연(侯渊)에게 진압되었다.


530년 흉노계 이주 영(爾朱 榮)이 진압했으나 정권을 장악한 이주씨(爾朱) 일파의 전횡이 일어나 북위가 북주, 북제로 분열하여 멸망하는 원인이 되었다.

6진의 이민족 유력자 중에 6진의 난을 거쳐 북위의 멸망 과정에서 권력의 중추에 올라선 자들도 있었다. 회삭진 출신으로 동위의 실권을 장악하여 북제의 기초를 닦았던 선비족 고환이 그 대표적인 예였다. 또한 무천진 출신의 선비족들은 무천진 군벌, 일명 선비족 관롱집단으로 불리며 서위부터 북주, , 당나라까지 이르는 변천과정에서 각 왕조의 핵심적인 권력 지배층으로 군림하였다. 북주의 우문태, 수나라의 양견, 당나라의 이연등은 각 왕조의 창시자이며 무천진의 선비족 출신이었다.

각주[편집]

  1. 이는 진인각(陈寅恪)은 그렇게 말하지만 다른 책들은 동의하지 않는다.
  2. 《元和郡县志》一四云州:魏道武帝又于此建都,东至上谷军都关,后西至河,南至中山隘门塞,北至五原,地方千里,以为甸服
  3. 《魏书》五八《杨播传》附弟《椿传》云:“自中原稍定,八军之兵,渐割南戍”
  4. 『북제서(北齊書)』卷23「위란근전(魏蘭根傳)」, "因說崇曰, 緣邊諸鎭, 控攝長遠. 昔時初置, 地廣人稀, 或徵發中原强宗子弟, 或國之肺腑, 寄以爪牙. 中年以來, 有司乖實, 號曰府戶, 役同厮養, 官婚班齒, 致失淸流. 而本宗舊類, 個個榮顯, 顧瞻彼此, 理當憤怨."
  5. 『陳寅恪魏晉南北朝講演錄』, 黃山書社, 2000, pp.277-278.
  6. 薛海波《5—6世紀北邊六鎮豪強酋帥社會地位演變研究》,中華書局,2020
  7. 『위서(魏書)』「숙종기(肅宗紀)」, "三月,沃野镇人破落汗拔陵聚众反,杀镇将,号真王元年."
  8. 『북사(北史)』卷16 「열전(列傳)第4」
  9. 거병 일자에 대해 『자치통감(資治通鑑)』과 『위서(魏書)』의 충돌이 있지만 여기서는 『위서(魏書)』를 따른다.
  10. 『자치통감(資治通鑑)』卷150 普通五年
  11. 『자치통감(資治通鑑)』卷150 普通五年, "延伯遂大敗, 死傷近二萬人, 蕭寶夤收衆退保安定."
  12. 《魏书》 卷一百三 列传第九十一:“柔然孝昌元年春,阿那瓌率众讨之,诏遣牒云具仁赉杂物劳赐阿那瓌,阿那瓌拜受诏命,勒众十万,从武川镇西向沃野,频战克捷。”
  13. 《资治通鉴》卷一百五十 普通六年:深从之,拔陵果引兵邀击乜列河,尽俘其众;伏兵发,拔陵大败,复得乜列河之众而还。
  14. 『위서(魏書)』「열전(列傳)」卷41~50:“饥馑之年,户口逃散”
  15. 《资治通鉴》卷一百五十一 大通元年:“八月,魏柔玄镇民杜洛周聚众反于上谷,改元真王,攻没郡县,高欢、蔡儁、尉景及段荣、安定彭乐皆从之。”
  16. 《北魏史》,384页
  17. 《北魏史》,385页
  18. 《魏书》帝纪十:“尔朱荣率精甲十万为左军,上党王天穆总众八万为前军,司徒公杨椿勒兵十万为 右军,司空公穆绍统卒八万为后军。”
내용주
  1. 傳統史學觀點認為六鎮軍官為鮮卑勳貴,孝文帝改革後,其地位驟降,如《北齊書》二三《魏蘭根傳》:因說崇曰:“緣邊諸鎮,控攝長遠。昔時初置,地廣人稀,或徵發中原強宗子弟,或國之肺腑,寄以爪牙。中年以來,有司乖實,號曰府戶,役同廝養,官婚班齒,致失清流。而本宗舊類,個個榮顯,顧瞻彼此,理當憤怨。” 陳寅恪則認為,“魏蘭根等所說軍卒中的強宗子弟、國之肺腑、高門子弟、良家酋胕在孝文帝遷都洛陽後,被當作棄兒,社會地位低,變成低下階級府戶,卻是最重要的原因。這種人在六鎮軍卒中最占勢力。六鎮之叛,就基本性質來說,是對孝文帝漢化政策的一大反動”,見萬繩楠整理:《陳寅恪魏晉南北朝史講演錄》第十七篇《六鎮問題(附魏齊之兵)》第三節《六鎮起兵的原因》,第236頁。然而近人對六鎮軍鎮長官父祖資料的全面分析,發現該群體主要為北魏統治集團中地位不高的軍鎮官吏、權勢早已衰落的部落大人,世代沒有官宦的代地下層豪帥、投附的胡族部落酋長、被迫降魏的十六國胡族政權中下層官吏豪帥,因此本來就處於北魏政權的邊緣地位,北魏漢化改革只是進一步固化了這點,並沒有其地位驟降的現象。詳見,薛海波《5—6世紀北邊六鎮豪強酋帥社會地位演變研究》,第一章,中華書局,2020。週一良也認為“北魏政權的覆亡,致命傷是北鎮之起兵。但北鎮人之起兵並非對漢化的反動,乃是被壓迫的少數民族如匈奴敕勒羌人等和被摒於清流以外的鮮卑和漢人的府戶聯合起來,對於統治者壓迫者的反抗。”見週一良:《北朝的民族與民族政策》,《魏晉南北朝史論集》,北京大學出版社,2010,第151頁。唐長孺認為“北魏末年北鎮的階級矛盾、階級對抗形勢非常顯著。鎮上的統治者是主將、參僚和豪強,而豪強往往同時又即是參僚。被統治者是廣大的鎮民群眾,他們遭受主將、參僚的貪虐,豪強的凌壓,土地實際上被剝奪,承擔著繁重的官役和私役……北鎮人民起義是反對人身奴役,反對土地不均、反對封建統治的鬥爭。”詳見唐長孺:《試論魏末北鎮鎮民暴動的性質》,《山居存稿》,中華書局,2011,第35頁。這些都說明六鎮起義更多是內部鬥爭導致的民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