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파라디소스 협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트리파라디소스 협의 또는 트리파라디소스의 분할(Partition of Triparadisus)로 불리며, 기원전 321년시리아오론테스 강 근처의 도시 트리파라디소스에서 열린 알렉산더 대왕디아도코이(후계 장군)의 권력 분할 협정이다. 기원전 323년에 대왕의 사후에 열린 바빌론 회의에서의 결정을 수정한 것이었다.

배경[편집]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급사하자, 왕위는 대왕의 이복동생 필리포스 3세와 대왕의 유복자 알렉산더 4세가 이어 받았다. 그러나 필리포스 3세는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었으며, 대왕의 사후에 태어난 어린 알렉산더 4세는 정치를 할 수 없었기 때문에 페르디카스섭정으로 취임했다.

실질적인 제국의 일인자가 된 페르디카스와 그를 경계했던 안티파트로스, 프톨레마이오스, 크라테로스 등의 여러 장군은 권력 다툼을 벌였고, 곧 디아도코이 전쟁이 벌어졌다.

기원전 321년페르디카스프톨레마이오스를 징벌하기 위해 이집트로 쳐들어 갔다. 그러나 길 위에서 부하 장군들(페이톤, 안티게네스, 셀레우코스)에 의해 암살되었다. 그리고 페르디카스의 사후 제국의 체제를 결정하기 위해 그리고 새로운 권력 분배를 결정하기 위해 같은 해 시리아오론테스 강 상류에 있었던 트리파라디소스에서 디아도코이 회의가 소집된 것이다.

내용[편집]

여기에서는 바빌론 회의에서 결정된 지위와 태수령의 재편이 이루어졌다. 프톨레마이오스는 공석이 된 섭정 정도 페이톤아리다이오스를 붙이려 했지만 필리포스 3세의 왕비 에우리디케 2세(필리포스 2세의 조카 아민타스 4세필리포스 2세의 딸 키나네의 딸)의 강한 반대로 섭정의 자리에는 안티파트로스가 취임했다. 에우리디케 2세는 안티파트로스에 대해서도 열변을 토했고, 자신이 실권 장악을 노리고 있었지만, 여러 장군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실패로 돌아갔다. 결정 사항에 관하여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 대주교 포티오스를 통해 전해지고 있다. 아리아노스의 설명과 디오도로스의 묘사도 남아 있다. 바빌론 회의의 경우와 달리 양자 사료의 내용에 큰 차이는 없다.

새 직책[편집]

바빌론 회의에서 수정된 직책은 아래와 같다.

신임자[편집]

새로 태수령을 얻었던 또는 변경된 인물과 지역은 아래와 같다.

유임[편집]

바빌론 회의에서 속주령에 거의 변화가 없었는 사람은 아래와 같다.

파타라를 포함한 인더스 강 이후 국가의 통치자는 포로스가, 히다스페스 강 당은 타크실레스가 계속 유임시켰다. 이것은 알렉산더에 의해 안심하고 영토를 늘렸던 포로스타크실레스를 쫓아내기 쉽지 않는 문제를 고려했기 때문이다.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