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파라디소스 협의
트리파라디소스 협의 또는 트리파라디소스의 분할(Partition of Triparadisus)로 불리며, 기원전 321년에 시리아의 오론테스 강 근처의 도시 트리파라디소스에서 열린 알렉산더 대왕의 디아도코이(후계 장군)의 권력 분할 협정이다. 기원전 323년에 대왕의 사후에 열린 바빌론 회의에서의 결정을 수정한 것이었다.
배경[편집]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급사하자, 왕위는 대왕의 이복동생 필리포스 3세와 대왕의 유복자 알렉산더 4세가 이어 받았다. 그러나 필리포스 3세는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었으며, 대왕의 사후에 태어난 어린 알렉산더 4세는 정치를 할 수 없었기 때문에 페르디카스가 섭정으로 취임했다.
실질적인 제국의 일인자가 된 페르디카스와 그를 경계했던 안티파트로스, 프톨레마이오스, 크라테로스 등의 여러 장군은 권력 다툼을 벌였고, 곧 디아도코이 전쟁이 벌어졌다.
기원전 321년에 페르디카스는 프톨레마이오스를 징벌하기 위해 이집트로 쳐들어 갔다. 그러나 길 위에서 부하 장군들(페이톤, 안티게네스, 셀레우코스)에 의해 암살되었다. 그리고 페르디카스의 사후 제국의 체제를 결정하기 위해 그리고 새로운 권력 분배를 결정하기 위해 같은 해 시리아의 오론테스 강 상류에 있었던 트리파라디소스에서 디아도코이 회의가 소집된 것이다.
내용[편집]
여기에서는 바빌론 회의에서 결정된 지위와 태수령의 재편이 이루어졌다. 프톨레마이오스는 공석이 된 섭정 정도 페이톤과 아리다이오스를 붙이려 했지만 필리포스 3세의 왕비 에우리디케 2세(필리포스 2세의 조카 아민타스 4세와 필리포스 2세의 딸 키나네의 딸)의 강한 반대로 섭정의 자리에는 안티파트로스가 취임했다. 에우리디케 2세는 안티파트로스에 대해서도 열변을 토했고, 자신이 실권 장악을 노리고 있었지만, 여러 장군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실패로 돌아갔다. 결정 사항에 관하여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 대주교 포티오스를 통해 전해지고 있다. 아리아노스의 설명과 디오도로스의 묘사도 남아 있다. 바빌론 회의의 경우와 달리 양자 사료의 내용에 큰 차이는 없다.
새 직책[편집]
바빌론 회의에서 수정된 직책은 아래와 같다.
- 섭정은 안티파트로스가 취임.
- 천부장(전체 기병대장)은 카산드로스 취임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이 인사는 안티고노스가 야망을 추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감시역으로 한다).
- 전권 장군(전군 총사령관)은 안티고노스가 취임 이전 페르디카스 잔당 토벌을 명했다.
- 측근 호위는 아가토크레스의 아들 아우토루코스, 페우케스타스의 동생 아민타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아들 프톨레마이오스, 그리고 폴리페르콘의 아들 알렉산더가 취임했다.
신임자[편집]
새로 태수령을 얻었던 또는 변경된 인물과 지역은 아래와 같다.
- 헬레스폰투스, 프리기아는 아리다이오스로 한다.
- 리디아는 크레토스로 한다.
- 카파도키아는 니카노르로 한다.
- 박트리아와 소그디아나는 스타사노르로 한다.
- 아레이아와 드란기아나는 스타산드로스로 한다.
- 킬리키아는 필로크세노스로 한다.
- 메소포타미아와 아르베라 지방은 암피마코스로 한다.
- 스시아나는 은방패 병단의 지휘관 안티게네스로 한다.
- 바빌로니아는 셀레우코스로 한다.
- 페르시스는 페우케스타스로 한다.
- 인도의 파로파미소스 산 부근( 간다라) 령이 페이톤에 추가되었다.
- 파로파미소스는 록사네 아버지 옥시아르테스에게 추가되었다.
- 파르티아는 필리포스로 한다.
유임[편집]
바빌론 회의에서 속주령에 거의 변화가 없었는 사람은 아래와 같다.
- 이집트 일대는 프톨레마이오스가 통치한다.
- 시리아는 라오메돈이 통치한다.
- 카르마니아는 토레포레모스이 통치한다.
- 메디아는 페이톤이 통치한다.
- 아라코시아와 게도로시아는 시비루티오스로 한다.
- 카리아는 아산드로스가 통치한다.
- 프리기아, 리카오니아, 팜필리아, 리키아는 안티고노스
파타라를 포함한 인더스 강 이후 국가의 통치자는 포로스가, 히다스페스 강 당은 타크실레스가 계속 유임시켰다. 이것은 알렉산더에 의해 안심하고 영토를 늘렸던 포로스와 타크실레스를 쫓아내기 쉽지 않는 문제를 고려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