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교육원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38′ 32″ 동경 127° 00′ 12″ / 북위 37.642246° 동경 127.003269°
![]() | |
설립일 | 1996년 12월 17일 |
---|---|
전신 | 통일연수원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북구 419로 123 |
직원 수 | 67명[1] |
상급기관 | 대한민국 통일부 |
웹사이트 | 통일교육원 - 공식 웹사이트 |
통일교육원(統一敎育院)은 「통일교육 지원법」에 따른 대국민 통일교육과 각급 학교 및 공공·사회교육기관의 통일교육에 대한 지도 및 지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통일부의 소속기관이다. 1996년 12월 27일 발족하였으며, 서울특별시 강북구 419로 123에 위치하고 있다. 원장은 고위공무원단 가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하되,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2]
직무[편집]
- 통일교육에 관한 제반 계획 수립·조정·실시 및 평가
- 통일교육지침 개발 및 보급
- 통일교육 관련 법령 및 제도 수립 및 개선
- 통일교육에 관한 국내외 홍보 및 통일교육 연구 지원
- 사이버통일교육에 관한 계획의 수립 및 실시
- 통일교육전문인력에 대한 통일교육 운영계획 수립·집행 및 평가
- 사회통일교육에 관한 계획 수립·실시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 통일교육위원 및 지역통일교육센터 운영·관리
- 초중등 학교 및 대학의 통일교육 지원 계획 수립 및 실시
- 통일교육 교재 및 교육자료의 개발·보급 및 평가
- 교육원 시설 운영 및 지원
- 그 밖에 「통일교육 지원법」에 따른 사무
연혁[편집]
- 1972년 05월 01일: 국토통일원 소속으로 통일연수소 설치.[3]
- 1986년 10월 18일: 북한관 개관.
- 1986년 12월 26일: 통일연수원으로 개편.[4]
- 1991년 02월 01일: 통일원 소속으로 변경.[5]
- 1991년 03월 02일: 청사 신축.
- 1994년 05월 03일: 북한방문 안내교육 주관.
- 1996년 12월 17일: 통일교육원으로 개편.[6]
- 1997년 02월 01일: 북한관 폐지.
- 1998년 02월 29일: 통일부 소속으로 변경.[7]
- 2016년 03월 01일: 책임운영기관 지정.[8]
조직[편집]
원장[편집]
- 교육기획부[9]
- 교육협력부[9]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통일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별표7의5 및 별표10
- ↑ 통일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20조의5제1항 및 제23조제1항
- ↑ 대통령령 제6158호
- ↑ 대통령령 제12012호
- ↑ 대통령령 제13148호
- ↑ 대통령령 제15180호
- ↑ 대통령령 제15709호
- ↑ 대통령령 제26800호
- ↑ 가 나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 ↑ 가 나 다 라 마 바 서기관으로 보한다.
- ↑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 ↑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제31조제1항에 따른 평가대상 조직으로 평가기간은 2019년 5월 31일까지다.
외부 링크[편집]
- 통일교육원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