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정조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조갑제의 평가[편집]

조갑제조선 정조박정희이순신을 구현해냈다는 평가와, 조갑제가 조선 정조, 이승만, 박정희를 실용적 자주론자로 비교평가한 내용임. 조갑제가 내린 평가도 평가이니 삭제할 사유가 없음. --100범 (토론) 2009년 4월 21일 (화) 08:52 (KST)[답변]

평가가지고 그러는 것은 아닙니다. 단 문제 사항이 한 가지 있군요. 정조와 박정희가 이순신을 구현해냈다는 건 평가가 아니라 그냥 주관적 지식입니다. 그러므로 그건 평가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 윤성현 기여F.A 2009년 4월 21일 (화) 08:54 (KST)[답변]
주관적 지식이 아니라 정조와 박정희가 이순신의 정신을 구현해냈다는 것이지 주관적 지식이 아님, 단지 조갑제의 의견이 붙어있는 것이 싫어서 의도적으로 지우는 것은 아닙니까?--100범 (토론) 2009년 4월 21일 (화) 08:57 (KST)[답변]
아니죠. 이순신을 높이 평가했다는 게 무슨 평가가 됩니까? 정조가 잘한게 이순신을 높이 추앙했다 이것밖에 없나요? 다른 점으로 평가를 찾아보시는게 낫겠습니다. -- 윤성현 기여F.A 2009년 4월 21일 (화) 09:06 (KST)[답변]
사용자:윤성현은 개인의 생각을 강요하시지 마십시오. 정조가 이순신을 높이 평가했다는 것은 정조에 대한 단편적인 평가입니다. 정치적 업적에 대한 평가, 경제적 업적에 대한 평가 등은 다른사용자가 올릴것임. -100범 (토론) 2009년 4월 21일 (화) 09:08 (KST)[답변]
그런 보장이 어디에 있나요? 정조에 대한 단편적인 평가라뇨. 정조와 박정희를 같이 운운하고 둘 다 이순신을 추앙했다는 게 이게 무슨 평가입니까? -- 윤성현 기여F.A 2009년 4월 21일 (화) 09:11 (KST)[답변]
조갑제는 이순신을 높이 평가한 정조와 박정희를 비교하고 이 두사람이 역사적으로 이순신을 되살린 것이라 봤던 것입니다. --100범 (토론) 2009년 4월 21일 (화) 09:16 (KST)[답변]
그건 평가가 아닙니다. 역사적으로 되살린 게 그리 중요한 일이고 평가까지 받아야 하는 역사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일이던가요...? 비중립적인 것 같습니다만... -- 윤성현 기여F.A 2009년 4월 21일 (화) 09:22 (KST)[답변]
정조라는 인물의 단편적인 평가임. 정조의 사상이나 사고방식에 관련된 것이고, 정조의 행동을 다른 인물과 비교한 것이니 당연히 필요합니다. --100범 (토론) 2009년 4월 21일 (화) 09:26 (KST)[답변]
아닌 것 같은데요. 백과사전이라면 단편적이고 성웅화 냄새가 나는 자잘한 평가보다야 그 정치스타일을 따지는 걸로 가야하는게 옳지 않나요? 무엇보다도 저는 정조가 이순신의 "성웅화"에 그리 열심이었는지 의문입니다. -- 윤성현 기여F.A 2009년 4월 21일 (화) 09:29 (KST)[답변]
성웅화 냄새가 난다는 것은 사용자:윤성현의 판단이고 독자연구입니다. --100범 (토론) 2009년 4월 21일 (화) 09:30 (KST)[답변]
정조가 전혀 이순신을 미화하거나 성웅화하지 않았다, 높이 평가한 일이 없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1793년 정조는 이순신을 영의정으로 추증한 것과 1794년 직접 이순신의 비문을 짓고 1795년에는 충무공 이순신의 유고 전집을 간행할 것을 명한 것은 뭘까요? --100범 (토론) 2009년 4월 21일 (화) 09:31 (KST)[답변]
충무공 자체라고 편집하는 건 무엇입니까? 이순신이야 존경받는 위인이지만 굳이 조상-후손 관계도 아닌 정조와 엮어들어갈 관계는 아니라 여겨집니다. 그리고 정조가 신하인 이순신을 영의정으로 추증한 것 가지고 정조가 이순신을 크게 존경했다고 하기엔 너무 앞서나가시는 것 같습니다. -- 윤성현 기여F.A 2009년 4월 21일 (화) 09:33 (KST)[답변]
꼭 조상자손이어야만 된다는 것은 독자연구이고 편견입니다. 정조를 높이 평가하지 않았다면 광해군 이후의 다른군주들이 하지 않은 이순신 추앙과 비문을 직접 쓰고, 유고를 간행해주는 것은 뭘까요? --100범 (토론) 2009년 4월 21일 (화) 09:37 (KST)[답변]
영의정 추증이나 비문을 내린 것 가지고 그게 추앙의 증거가 됩니까? 별로 신뢰할 평가는 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 윤성현 기여F.A 2009년 4월 21일 (화) 09:38 (KST)[답변]
추증과 유고편찬 등의 행적을 신뢰할수 없다는 것은 사용자:윤성현의 개인적 생각이고 억지입니다. 보는 사람이 어떻게 평가할 것이며, 사용자:윤성현은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지 마십시오. --100범 (토론) 2009년 4월 21일 (화) 09:41 (KST)[답변]
행적은 신뢰할 수 없다는 게 아니라 그러한 정조의 자그만 일이 평가에 들어갈 만큼 중요한 평가적 요소가 아닙니다. -- 윤성현 기여F.A 2009년 4월 21일 (화) 09:52 (KST)[답변]
중요도는 독자가 정하는 것이고, 조갑제가 정조에 대해 어떤면을 보고 평가를 내린것이든 나름대로의 가치가 충분합니다. --100범 (토론) 2009년 4월 21일 (화) 09:54 (KST)[답변]
정조에 대한 연구 논문은 많습니다. 그 비중을 고려해서 짧게 요약해 주세요. 특정 시각이 강조되는 것도 중립성 위반에 해당됩니다. jtm71 (토론) 2009년 4월 21일 (화) 10:14 (KST)[답변]
그러한 단편적인 평가는 가치가 별로 없습니다. -- 윤성현 기여F.A 2009년 4월 21일 (화) 12:06 (KST)[답변]
다른 시각이야 다른 입장을 가진 사용자들이 알아서 제시할 것입니다. --100범 (토론) 2009년 4월 21일 (화) 10:14 (KST)[답변]
그러한 주장은 편집 분쟁의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jtm71 (토론) 2009년 4월 21일 (화) 10:17 (KST)[답변]

정조의 휘(이름)는 성[편집]

윤성현 씨는 별다른 근거도 없이, 휘 부분을 자꾸 <산>으로 돌려 놓지 마십시오. 산으로 돌려놓으려면 적절한 근거를 제시하십시오. 정조의 실제 이름이 <성>이라는 근거는 4번 '휘' 항목에서 충분히 설명했다고 봅니다.

'독자연구'가 아닌지 걱정이 됩니다. 두산백과사전(네이버 백과사전)은 정조의 이름을 '이산'으로 표기하고 있으며, 윗 분이 서술한 내용에 관해 이전에 연구가 있었는지 의문입니다. 211.189.241.10님의 독자적인 판단은 백과사전에 실릴 수 없습니다. 현재로서는 두산백과사전의 '이산'이라는 명칭이 좀더 신뢰성 있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두산사전의 편찬자들도 나름 여러 자료를 검토해본 끝에 '이산'으로 결론내린 것으로 생각됩니다만. adidas (토론) 2009년 11월 18일 (수) 03:08 (KST)[답변]
별로 충실한 설명은 아닌 것 같습니다만... 아무런 출처기 없지 않습니까? 그리고 그 한자 산말고 또다른 독음이 있나요? -- 윤성현 · 기여 · F.A. 2009년 11월 19일 (목) 08:08 (KST)[답변]
네이버와 다음에서 제공하는 한자사전에 발음은 산으로, <祘>는 算(셈 산)과 이형동의자로 나옵니다. 그리고 算(산)의 고자(古字)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각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한자사전에서 공식적인 발음상으로는 <祘>라는 자를 <성>으로 표기하지 않고 있습니다. 네이버한자사전 --Chiwoo1 (토론) 2009년 11월 19일 (목) 22:22 (KST)[답변]
출처표기가 미흡했던 듯 하여 추가하였습니다. 정조의 휘 祘을 읽는 법에 대해, 한글로 "셩"/같은 독음 한자로 省(성)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유물이 여러 건 있습니다. 본문의 설명문 중에 기존의 祘을 "산"이라고 읽는 독음법이 중국의 『강희자전』을 전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이 충분치 못했나 봅니다. 위에 여러분이 전거로 드신 네이버백과사전이니 네이버한자사전이니 하는 자료들이 바로 『강희자전』을 전거로 하여 작성된 자료들입니다. 유물은 1차사료이고 이것들은 2-3차 자료이죠. 또한 저의 독자판단도 아니며 이전부터 꾸준히 제기되고 있던 주장입니다. 일단 문장을 '논란이 있다'는 정도로 수정하였고 초기 프로필에는 더 이상 손대지 않겠습니다만, 조선22대국왕 정조의 실제 이름은 이성이었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Auriga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그런 주장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다만 논문이나 유물 발굴 기록 등을 참고해서 써주셨으면 합니다 adidas (토론) 2009년 11월 22일 (일) 18:16 (KST)[답변]

출처 달아주세요[편집]

장용영 설치는 군대를 장악한 노론을 견제하려는 정책이었다. 이거 국정본 교과서 내용입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175.118.98.40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어느 교과서인지를 말씀해 주세요. 그리고 최근 연구결과로는 정조와 노론은 대립 또는 견제관계가 아니라 막후 협력관계였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3년 11월 8일 (금) 05:33 (KST)[답변]

소스 문제[편집]

이인화, 이덕일,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이 소스라고 달려 있네요. 상태가 아주 심각한 문서군요. 이러니 한국어 위키백과가 어디서 비웃음밖에 못 듣는 겁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4년 2월 15일 (토) 05:25 (KST)[답변]

판타지 소설이 참고 문헌이라니 기가 막히는군요. 삭제하죠. -- S.H.Yoon · 기여 · F.A. 2014년 2월 15일 (토) 05:33 (KST)[답변]
서지 목록에서 삭제한다고 다가 아닙니다. 저 "참고 자료"들을 사용해서 추가된 내용을 허위로 판단하여 골라내 삭제해야 할텐데, 어디가 저기서 발췌한 내용인지 현재로서 구분할 수가 없죠. 다 엎어 버리고 역사에 대해 잘 아시는 분들이 공신력 있는 자료(실록 등 1차사료, 대학이나 역사학회의 연구저널, 논문집)를 사용해 처음부터 다시 쓰는게 더 쉬운 길일 겁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4년 2월 15일 (토) 06:29 (KST)[답변]
요즘따라 정조도 정조지만 한국사 주요인물들은 다 저렇게 편집이 되어 있어서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하는지 정말 대략난감입니다. 아예 처음부터 쓰기엔 양이 너무 반대해서 쓰는게 엄두도 나질 않네요. -- S.H.Yoon · 기여 · F.A. 2014년 2월 15일 (토) 09:46 (KST)[답변]
사도세자도 마찬가지죠.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4년 2월 15일 (토) 16:35 (KST)[답변]

새로운 편집[편집]

문서를 위키백과의 기준에 맞추어 새롭게 편집하여 올립니다. 제가 특별히 신경쓴 원칙은 백:출처입니다. 되도록 문장단위로 출처를 표기하였고, 그렇지 않더라도 하나의 출처에 두 세 문장을 넘기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되도록 역사학계 전반이 인정하고 있는 사실 관계만을 중심에 두고 역사학자 개인의 평가만으로 이루어진 것은 회피하였으며 언급할 필요가 있는 것은 주장을 한 사람의 이름을 명기하였습니다. 아직 몇 가지 주제가 더 추가될 필요가 있는데, 특히 정조시기 활발한 활동을 하였던 실학자들과 정조의 관계는 출처 정리가 아직 덜 되어 일단 배제하였습니다. 이 부분은 추후에 추가할 예정입니다. -- Jjw (토론) 2014년 3월 23일 (일) 19:22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9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조선 정조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9월 18일 (수) 16:17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0년 7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조선 정조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0년 7월 12일 (일) 12:16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1년 5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조선 정조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1년 5월 4일 (화) 22:48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2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조선 정조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2월 1일 (화) 10:14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3년 4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정조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3년 4월 12일 (수) 04:46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3년 6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정조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3년 6월 29일 (목) 22:31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