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반조기박리
태반조기박리 | |
---|---|
다른 이름 | Placental abruption, Abruptio placentae |
태반조기박리로 인한 내부, 외부 출혈을 그린 그림 | |
진료과 | 산과 |
증상 | 질출혈, 낮은 수준의 복통, 위험할 정도의 저혈압[1] |
합병증 | 산모: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신부전[2] 태아: 저체중아, 조산, 사산[2] |
통상적 발병 시기 | 임신 24~26주[2] |
병인 | 불분명[2] |
위험 인자 | 흡연, 임신중독증, 박리 직전[2] |
진단 방식 | 증상에 따라, 초음파[1] |
유사 질병 | 전치태반, 이슬(bloody show), 융모양막염[3] |
치료 | 장기 요양, 분만[1] |
투약 | 코르티코스테로이드[1] |
빈도 | 임신 중 ~0.7%[2] |
태반조기박리(胎盤早期剝離, placental abruption, abruptio placentae), 태반의 조기분리는 분만 전에 태반이 어미의 자궁으로부터 조기에 떨어지는 임신 합병증이다.[4] 어미에 미치는 영향은 주로 박리의 심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반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은 질병이 발생한 임신 기간과 심각도 모두에 따라 다르다.[5] 태아의 심박은 이 심각도와 관련된다.[6]
초기에는 좋은 결과를 보증하기 위해 의료적 조치가 필요하며 세계의 수많은 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치료는 박리의 심각성, 여성의 임신 기간에 따라 결정된다.[7]
태반조기박리는 후기 임신 출혈의 가장 흔한 병인이다. 인간의 경우, 20주 이후 출생 전에 비정상 분리되는 것을 말한다. 분만 200명 중 1명 꼴로, 평균 0.5% 확률로 발생한다.[4]
증상
[편집]태반 박리 초기 단계에는 증상이 없을 수 있다. 증상이 발전하면 급성으로 발전하는 경향이 있다. 공통 증상으로는 급성 복통, 멈추지 않는 진통, 복부와 등의 통증, 질 출혈, 태아의 나이와 비대칭적인 자궁 확장, 태아 움직임의 감소, 태아 심박의 감소를 포함한다.[4]
태반 중심에 동맥 출혈에 의해 발생되는 태반 박리는 심각한 통증 및 생명에 위협을 주는 질환(예: 태아 심박 이상, 산모의 심각한 출혈, 파종성 혈관 내 응고)으로 급성으로 발전한다.
이러한 정맥 출혈로 인한 박리는 더 천천히 진행되며 적은 양의 출혈, 자궁 내 성장 제한, 양수과소증을 일으킬 수 있다.[8]
예방
[편집]태반 박리의 위험성을 제거할 수는 없지만 감소시킬 수는 있다. 임신 중에 흡연, 음주, 코카인을 금하면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육체적 트라우마의 위험도가 높은 활동을 삼가는 것 또한 중요하다. 고혈압이 있거나 과거에 태반 박리 이력이 있고 출산을 원하는 여성의 경우 의사로부터 세심한 지도를 받아야 한다.[9]
태반 박리의 위험성은 엽산 섭취, 일정한 수면 패턴, 임신성 고혈압의 교정을 포함한 양호한 식이요법을 유지함으로써 줄여나갈 수 있다.
임산부가 질 출혈 등 박막 박리의 증상을 인지하는 것은 중요하며 이러한 증상을 경험하는 경우 지체 없이 의료진/병원에 연락하여야 한다.
발병률
[편집]태반조기박리는 모든 임신 중 약 0.2%-1% 확률로 발생한다. 병인은 박리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을 시점에 변화하지만 태반 박리의 대부분은 임신 37주 이전에 발생하며 14%가 32주 이전에 발생한다.[8]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Abruptio Placentae - Gynecology and Obstetrics”. 《Merck Manuals Professional Edition》 (캐나다 영어). October 2017. 2017년 12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Tikkanen, M (February 2011). “Placental abruption: epidemiology, risk factors and consequences”.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90 (2): 140–9. doi:10.1111/j.1600-0412.2010.01030.x. PMID 21241259.
- ↑ Saxena, Richa (2014). 《Bedside Obstetrics & Gynecology》 (영어). JP Medical Ltd. 205–209쪽. ISBN 9789351521037.
- ↑ 가 나 다 Sheffield, [edited by] F. Gary Cunningham, Kenneth J. Leveno, Steven L. Bloom, Catherine Y. Spong, Jodi S. Dashe, Barbara L. Hoffman, Brian M. Casey, Jeanne S. (2014). 《Williams obstetrics》 24.판. ISBN 978-0071798938.
- ↑ “Placenta and Placental Problems | Doctor”. Patient.info. 2011년 3월 18일. 2012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Usui, Rie; Matsubara, Shigeki; Ohkuchi, Akihide; Kuwata, Tomoyuki; Watanabe, Takashi; Izumi, Akio; Suzuki, Mitsuaki (2007). “Fetal heart rate pattern reflecting the severity of placental abruption”. 《Archives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277 (3): 249–53. doi:10.1007/s00404-007-0471-9. PMID 17896112.
- ↑ “Placental abruption | Pregnancy | Pregnancy complications | March of Dimes”. marchofdimes.org. 2014년 9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Placental abruption: Clinical features and diagnosis”. 《www.uptodate.com》. 2016년 6월 4일에 확인함.
- ↑ “Placental abruption: Prevention”. MayoClinic.com. 2012년 1월 10일. 2012년 10월 2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Emergency medicine: Abruptio Placentae, emedicine.com, April 5, 2005
- Obstetrics/Gynecology: Abruptio Placentae, emedicine.com, August 31,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