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의 군주 목록
수코타이 왕국[편집]
프라룬 왕가 (1238–1368, 1368–1438)[편집]
대 | 초상 | 휘 | 명칭 | 출생 | 군림 시작 | 군림 종료 | 사망 |
---|---|---|---|---|---|---|---|
1 | ![]() |
시 인터라티 พ่อขุนศรีอินทราทิตย์ |
1188년 | 1238년 | 1270년 | ||
2 | ![]() |
반 므앙 พ่อขุนบานเมือง |
약 1237년 | 1270년 | 1279년 | ||
3 | ![]() |
람캄행 พ่อขุนรามคำแหงมหาราช |
약 1237년 / 1247년 | 1279년 | 1298년 | ||
4 | ![]() |
루타이 พระยาเลอไท |
약 1262년 | 1298년 | 1323년 | ||
5 | ![]() |
구아남툼 พระยางั่วนำถุม |
약 1266년 | 1323년 | 1347년 | ||
6 | 리타이 พระยาลิไท |
마하탓마라차 1세 | 약 1300년 | 1347년 | 1368년 | ||
아유타야 왕국의 통치 아래 | |||||||
7 | ![]() |
르타이 พระยาลือไท |
마하탓마라차 2세 | ? | 1368년 | 1399년 | |
8 | ![]() |
사이르타이 พระไสลือไท |
마하탓마라차 3세 | ? | 1400년 | 1419년 | |
9 | ![]() |
보로마빵 พระยาบรมปาล |
마하탓마라차 4세 | ? | 1419년 | 1438년 |
아유타야 왕국[편집]
우통 왕가 제1차 (1350–1370)[편집]
대 | 초상 | 휘 | 명칭 | 출생 | 군림 시작 | 군림 종료 | 사망 |
---|---|---|---|---|---|---|---|
1 | ![]() |
우통 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อู่ทอง |
라마티보디 1세 | 1314년 | 1350년 | 1369년 | |
2
(1기) |
![]() |
라메스완 สมเด็จพระราเมศวร |
1339년 | 1369년 | 1370년
(퇴위) |
1395년 |
수판나품 왕가 제1차 (1370–1388)[편집]
대 | 초상 | 휘 | 명칭 | 출생 | 군림 시작 | 군림 종료 | 사망 |
---|---|---|---|---|---|---|---|
3 | ![]() |
파구와 ขุนหลวงพะงั่ว |
보로마라차티랏 1세 | ? | 1370년 | 1388년 | |
4 | ![]() |
톤란 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ทองลัน |
? | 1388년
(빼앗김) |
우통 왕가 제2차 (1388–1409)[편집]
대 | 초상 | 휘 | 명칭 | 출생 | 군림 시작 | 군림 종료 | 사망 |
---|---|---|---|---|---|---|---|
(2) | ![]() |
라메스완 สมเด็จพระราเมศวร |
1339년 | 1388년 | 1395년 | ||
5 | ![]() |
라마라차 สมเด็จพระรามราชาธิราช |
1356년 | 1395년 | 1409년
(빼앗김) |
? |
수판나품 왕가 제2차 (1409–1569)[편집]
대 | 초상 | 휘 | 명칭 | 출생 | 군림 시작 | 군림 종료 | 사망 |
---|---|---|---|---|---|---|---|
6 | ![]() |
인터라차 สมเด็จพระนครินทราธิราช |
1395년 | 1409년 | 1424년 | ||
7 | ![]() |
샘프라야 สมเด็จเจ้าสามพระยา |
보로마라차티랏 2세 | ? | 1424년 | 1448년 | |
8 | 보로마트라이로우카나토 สมเด็จพระบรมไตรโลกนาถ |
1431년 | 1448년 | 1488년 | |||
9 | ![]() |
인터라차 2세 สมเด็จพระบรมราชา |
보로마라차티랏 3세 | ? | 1488년 | 1491년 | |
10 | ![]() |
체타 สมเด็จพระเชษฐา |
라마티보디 2세 | 1473년 | 1491년 | 1529년 | |
11 | ![]() |
노풋탄쿤 สมเด็จพระบรมหน่อพุทธางกูร |
보로마라차티랏 4세 | ? | 1529년 | 1533년 | |
12 | ![]() |
랏사다 สมเด็จพระรัษฎาธิราช |
1529년 | 1533년 | 1533년(4개월)
(빼앗김) | ||
13 | ![]() |
차이라차 สมเด็จพระไชยราชาธิราช |
? | 1533년 | 1546년 | ||
14 | ![]() |
요토파 สมเด็จพระยอดฟ้า |
1535년 | 1546년 | 1548년
(빼앗김) | ||
- | ![]() |
워라원사 ขุนวรวงศาธิราช |
? | 1548년 | |||
15 | ![]() |
차크라팟 สมเด็จพระมหาจักรพรรดิ |
1509년 | 1549년 | 1564년 | ||
아유타야 첫 번째 떨어짐 | |||||||
버마의 따웅우 왕조 (1564–1568) | |||||||
16 | ![]() |
마힝타라티랏 สมเด็จพระมหินทราธิราช |
1539년 | 1564년 | 1569년 (신하로서 4년, 왕으로서 1년) | ||
버마의 따웅우 왕조 (1569–1584) |
수코타이 왕가 (1569–1629)[편집]
대 | 초상 | 휘 | 명칭 | 출생 | 군림 시작 | 군림 종료 | 사망 |
---|---|---|---|---|---|---|---|
17 | ![]() |
마하탓마라차 สมเด็จพระมหาธรรมราชาธิราช |
산펫 1세 | 1517년 | 1569년 | 1590년 | |
18 | ![]() |
나레수안 สมเด็จพระนเรศวรมหาราช |
산펫 2세 | 1555년 | 1590년 7월 29일 | 1605년 4월 7일 | |
19 | ![]() |
에이커토사롯 สมเด็จพระเอกาทศรถ |
산펫 3세 | 1557년 | 1605년 4월 25일 | 1620년 | |
20 | ![]() |
시사오와팤 สมเด็จพระศรีเสาวภาคย์ |
산펫 4세 | ? | 1620년
(빼앗김) | ||
21 | ![]() |
손탐 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ทรงธรรม |
보로마라차 1세 | 1590년 | 1620년 | 1628년 12월 12일 | |
22 | ![]() |
체타 สมเด็จพระเชษฐาธิราช |
보로마라차 2세 | 약 1613년 | 1628년 12월 12일 | 1628년 ~ 1630년
(빼앗김) | |
23 | ![]() |
아티타야원 สมเด็จพระอาทิตยวงศ์ |
1618년 | 1630년
(빼앗김) |
프라섵톤 왕가 (1630–1688)[편집]
대 | 초상 | 휘 | 명칭 | 출생 | 군림 시작 | 군림 종료 | 사망 |
---|---|---|---|---|---|---|---|
24 | ![]() |
프라섵톤 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ปราสาททอง |
산펫 5세 | 1599년 | 1630년 | 1656년 | |
25 | ![]() |
차이 สมเด็จเจ้าฟ้าไชย |
산펫 6세 | ? | 1656년
(빼앗김) | ||
26 | ![]() |
시스탐마라차 สมเด็จพระศรีสุธรรมราชา |
산펫 7세 | ? | 1656년 | 1657년
(빼앗김) | |
27 | 나라이 สมเด็จพระนารายณ์มหาราช |
라마티보디 3세 | 1633년 | 1657년 10월 26일 | 1688년 7월 11일 |
반뿌루완 왕가 (1688–1767)[편집]
대 | 초상 | 휘 | 명칭 | 출생 | 군림 시작 | 군림 종료 | 사망 |
---|---|---|---|---|---|---|---|
28 | ![]() |
펫라차 สมเด็จพระเพทราชา |
1632년 | 1688년 | 1703년 | ||
29 | ![]() |
스리엔타라티보디 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สุริเยนทราธิบดี |
산펫 8세 | 1661년 | 1703년 | 1709년 | |
30 | ![]() |
타이사 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อยู่หัวท้ายสระ |
산펫 9세 | 1679년 | 1709년 | 1733년 | |
31 | ![]() |
보로마콭 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อยู่หัวบรมโกศ |
보로마라차티랏 5세 | 1680년 | 1733년 | 1758년 | |
32 | ![]() |
우툼뽄 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อยู่หัวอุทุมพร |
보로마라차티랏 6세 | ? | 1758년
(빼앗김) |
1796년 | |
33 | ![]() |
에카탓 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อยู่หัวเอกทัศ |
보로마라차 3세 | ? | 1758년 | 1767년 4월 7일 | 1767년 4월 17일 |
아유타야 두번째 떨어짐 |
톤부리 왕국[편집]
톤부리 왕가 (1768–1782)[편집]
대 | 초상 | 휘 | 명칭 | 출생 | 군림 시작 | 대관식 | 군림 종료 | 사망 |
---|---|---|---|---|---|---|---|---|
1 | 딱신 สมเด็จพระเจ้าตากสินมหาราช |
보로마라차 4세 | 1737년 | 1767년 11월 6일 | 1768년 12월 28일 | 1782년 4월 6일 | 1782년 4월 7일
(사형) |
짜끄리 왕조[편집]
짜끄리 왕가 (1782–현재)[편집]
대 | 초상 | 휘 | 명칭 | 출생 | 군림 시작 | 대관식 | 군림 종료 | 사망 |
---|---|---|---|---|---|---|---|---|
1 | ![]() |
붓다 요드파 출라로께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พุทธยอดฟ้าจุฬาโลกมหาราช |
라마 1세 | 1782년 4월 6일 | 1782년 4월 6일 | 1782년 6월 10일 | 1809년 9월 7일 | |
2 | ![]() |
붓다 르뜰라 납할라이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พุทธเลิศหล้านภาลัย |
라마 2세 | 1767년 2월 24일 | 1809년 9월 7일 | 1824년 7월 21일 | ||
3 | ![]() |
제싸다보드인드라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นั่งเกล้าเจ้าอยู่หัว |
라마 3세 | 1788년 3월 31일 | 1824년 7월 21일 | 1851년 4월 2일 | ||
4 | ![]() |
몽꿋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จอมเกล้าเจ้าอยู่หัว |
라마 4세 | 1804년 10월 18일 | 1851년 4월 2일 | 1851년 4월 6일 | 1868년 10월 1일 | |
5 | ![]() |
쭐랄롱꼰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จุลจอมเกล้าเจ้าอยู่หัว "พระปิยมหาราช" |
라마 5세 | 1853년 9월 20일 | 1868년 10월 1일 | 1868년 11월 11일 | 1910년 10월 23일 | |
6 | ![]() |
바지라부드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มงกุฎเกล้าเจ้าอยู่หัว |
라마 6세 | 1881년 1월 1일 | 1910년 10월 23일 | 1911년 11월 11일 | 1925년 11월 26일 | |
7 | ![]() |
쁘라자디뽁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ปกเกล้าเจ้าอยู่หัว |
라마 7세 | 1893년 11월 8일 | 1925년 11월 26일 | 1926년 2월 25일 | 1935년 3월 2일
(퇴위) |
1941년 5월 30일 |
8 | ![]() |
아난다 마히돌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ปรเมนทรมหาอานันทมหิดล |
라마 8세 | 1925년 9월 20일 | 1935년 3월 2일 | - | 1946년 6월 9일 | |
1939년 나라의 이름이 시암에서 태국으로 바뀜 | ||||||||
9 | ![]() |
푸미폰 아둔야뎃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มหาภูมิพลอดุลยเดชมหาราช "พระภัทรมหาราช" |
라마 9세 | 1927년 12월 5일 | 1946년 6월 9일 | 1950년 3월 5일 | 2016년 10월 13일 | |
10 | ![]() |
마하 와치랄롱꼰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วชิรเกล้าเจ้าอยู่หัว |
라마 10세 | 1952년 7월 28일 | 2016년 10월 13일 | 2019년 3월 4일 | 현재 재직중 |
삼대왕/사대왕[편집]
3대 대왕(三代大王)은 태국(泰國)의 역대 군주 중 주목할 만한 업적으로 대왕의 칭호를 받은 3명의 군주를 말한다. 태국의 독립을 이룩한 톤부리 왕조의 딱신 대왕을 추가해 4대 대왕(四代大王)이라 부르기도 한다.
- 수코타이 왕조의 람캄행 대왕은 태국 역사상 가장 큰 영토를 확보한 임금이다. 또한, 타이 문자를 창제하고, 오늘날 태국 문화의 기반을 이루는 문화적 업적을 쌓은 문무겸비의 대왕으로 평가받고 있다.
- 아유타야 왕조의 나레수안 대왕은 아유타야 왕국이 버마에게 점령되어 폐허화된 와중에, 군대를 모아 버마군을 격퇴하고, 아유타야 왕국을 재건한 임금이다.
- 차크리 왕조의 출랄롱코른 대왕은 노예 해방령을 공포하고, 열강 프랑스와 영국의 틈바구니 속에서 균형 외교로 태국의 독립을 유지하였으며, 태국의 근대화에 공헌한 임금이다.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