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와노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장미군 |
목: | 박목 |
과: | 박과 |
속: | 오이속 |
종: | 키와노 |
학명 | |
Cucumis metulifer | |
E.Mey. ex Naudin | |
학명이명 | |
Cucumis tinneanus |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183 kJ (44 kcal) |
7.56 g | |
1.26 g | |
1.78 g | |
비타민 | 함량 %DV† |
비타민 A (동등) | 1% 7 μg1% 88 μg |
티아민 (B1) | 2% 0.025 mg |
리보플라빈 (B2) | 1% 0.015 mg |
나이아신 (B3) | 4% 0.565 mg |
판토테산 (B5) | 4% 0.183 mg |
비타민 B6 | 5% 0.063 mg |
엽산 (B9) | 1% 3 μg |
비타민 C | 6% 5.3 m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1% 13 mg |
구리 | 1% 0.020 mg |
철분 | 9% 1.13 mg |
마그네슘 | 11% 40 mg |
망간 | 2% 0.039 mg |
인 | 5% 37 mg |
칼륨 | 3% 123 mg |
나트륨 | 0% 2 mg |
아연 | 5% 0.48 mg |
기타 성분 | 함량 |
수분 | 88.97 g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
키와노(kiwano, 학명: Cucumis metulifer 쿠쿠미스 메툴리페르[*])는 박과의 덩굴식물이다.[1] 원산지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및 그 주변 지역이다.[2][3]
사진[편집]
-
꽃과 어린 열매
-
풋열매
-
익은 열매
-
열매 단면
각주[편집]
- ↑ Meyer, Ernst Heinrich Friedrich. Annales des Sciences Naturelles; Botanique, série 4 11: 10–11. 1859.
- ↑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POWO
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 ↑ “Cucumis metuliferus E. Mey. ex Naudin”. 《GRIN-Global Web v 1.10.4.0》 (영어). 2019년 4월 10일. 2019년 6월 30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박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 가나의 식물상
- 가봉의 식물상
- 기니의 식물상
- 나미비아의 식물상
- 나이지리아의 식물상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식물상
- 니제르의 식물상
- 덩굴식물
- 라이베리아의 식물상
- 말라위의 식물상
- 모잠비크의 식물상
- 미국의 식물상
- 오이속
- 베냉의 식물상
- 보츠와나의 식물상
- 부르키나파소의 식물상
- 사막 과일
- 상투메 프린시페의 식물상
- 세네갈의 식물상
- 소말리아의 식물상
- 수단의 식물상
- 앙골라의 식물상
- 에스와티니의 식물상
- 에티오피아의 식물상
- 예멘의 식물상
- 오스트레일리아의 식물상
- 우간다의 식물상
- 잠비아의 식물상
- 적도 기니의 식물상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식물상
- 짐바브웨의 식물상
- 차드의 식물상
- 카메룬의 식물상
- 케냐의 식물상
- 코트디부아르의 식물상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식물상
- 탄자니아의 식물상
- 1859년 기재된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