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요정아르마딜로
![]() | |
---|---|
![]() 큰요정아르마딜로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강: | 포유강 |
아강: | 수아강 |
하강: | 진수하강 |
상목: | 빈치상목 |
목: | 피갑목 |
과: | 요정아르마딜로과 |
아과: | 요정아르마딜로아과 |
속: | 큰요정아르마딜로속 (Calyptophractus) Fitzinger, 1871 |
종: | 큰요정아르마딜로 (C. retusus) |
학명 | |
Calyptophractus retusus | |
(Burmeister, 1863) | |
큰요정아르마딜로의 분포 | |
![]() 큰요정아르마딜로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
큰요정아르마딜로(Calyptophractus retusus) 또는 부르마이스터아르마딜로, 차코큰요정아르마딜로는 요정아르마딜로과에 속하는 아르마딜로의 일종이다.[2] 아르헨티나와 볼리비아, 파라과이에서 발견된다. 자연 서식지는 아열대 또는 열대 지역의 건조한 관목지대와 아열대 또는 열대 지역의 건조한 저지대 초원이다. 서식지 감소로 멸종 위협을 받고 있다.[1] 큰요정아르마딜로속(Calyptophractus)의 유일종이다.[2]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요정아르마딜로과의 계통 분류이다.[3]
요정아르마딜로과 |
| ||||||||||||||||||||||||||||||||||||||||||||||||||||||||||||||||||||||||||||||
각주[편집]
- ↑ 가 나 Abba, A.M. & Superina, M. (2009). “Chlamyphorus retus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0.3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18 Sept. 2010에 확인함.
- ↑ 가 나 Gardner, A.L. (2005). “Order Cingulata” [피갑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95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Delsuc, F.; Gibb, G. C.; Kuch, M.; Billet, G.; Hautier, L.; Southon, J.; Rouillard, J.-M.; Fernicola, J. C.; Vizcaíno, S. F.; MacPhee, R. D. E.; Poinar, H. N. (2016년 2월 22일). “The phylogenetic affinities of the extinct glyptodonts”. 《Current Biology》 26 (4): R155–R156. doi:10.1016/j.cub.2016.01.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