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림 인민공화국
크림 인민공화국 | ||||
---|---|---|---|---|
Qırım Halq Cumhuriyeti | ||||
| ||||
국기 | ||||
국가 | 우리는 맹세한다 | |||
수도 | 바흐치사라이 | |||
정치 | ||||
정치체제 | 공화국 | |||
정부 수반 | 노만 첼레비지한 | |||
역사 | ||||
• 주권 선언 | 1917년 12월 13일 | |||
• 소련군의 점령 | 1918년 1월 | |||
• 크림 반도 공세 | 1918년 4월 13일 ~ 4월 25일 | |||
인문 | ||||
공용어 | 크림 타타르어,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
크림 인민공화국(크림 타타르어: Qırım Halq Cumhuriyeti 크름 할키 줌후리예티, 우크라이나어: Кримська народна республіка 크림스카 나로드나 레스푸블리카[*], 러시아어: Крымская народная республика 크림스카야 나로드나야 레스푸블리카[*])은 1917년 12월부터 1918년 1월까지 크림 반도에 존재했던 국가이다.
크림 인민공화국은 아제르바이잔 민주공화국과 마찬가지로 민주주의, 세속주의를 따르는 이슬람권 국가를 표방했으며 크림 타타르족이 주도하는 쿠릴타이가 주권을 행사하는 국가임을 선언했다. 또한 크림 반도에 거주하는 모든 민족의 평등을 표방했다.
당시 크림 반도에서 다수를 차지하고 있던 민족은 러시아인(크림 반도 전체 인구의 42%), 우크라이나인(11%)이었고 아르메니아인, 그리스인, 크림 타타르족은 소수에 불과했다. 그렇지만 크림 타타르족은 크림 반도에서 정치, 문화 분야에서 세력을 형성했다.
쿠릴타이는 볼셰비키에 대응하기 위해 크림 타타르족 기본법을 제정했다. 이 법률은 전(全)크림 헌법 회의에 따라 수립된 임시 정부가 임시 위원회를 수립하는 내용을 담았다. 그러나 크림 타타르족의 국가 건설 계획은 볼셰비키, 무정부주의 세력이 장악하고 있던 흑해 함대에 의해 좌절되고 만다. 1918년 초반에는 크림 반도를 점령한 볼셰비키가 타브리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수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