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크로노필리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크로노필리아(chronophilia)라는 용어는 존 머니가 고안해낸 용어로서 특정한 나이대의 사람에게만 성적 매력을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존 머니는 크로노필리아를 성도착의 한 형태로 정의하였다.[1][2] 이 용어는 성문제 전문가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는 아니며, 대신에 증상에 따라 아래와 같은 용어들로 분류하여 사용한다.

나이별 성적 기호

[편집]
  • 소아성애증 또는 페도필리아(Pedophilia)는 정신 질환의 일종으로 사춘기 이전의 아동에 대한 성적 기호를 갖는 증상을 일컫는다.[3][4]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에 따르면, 소아성애증은 일종의 성도착으로서 이 증상을 가진 사람은 아동에 대한 강렬한 성적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그 때문에 아동에 대한 성적 환상을 반복적으로 체험하며 스트레스 및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초래한다고 명시되어 있다.[5] 소아성애증 환자 여부는 16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DSM 또는 ICD 기준에 따라 검사해보면 알 수 있다.[6] 소아성애증은 아동 성학대를 저지르는 사람에게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다.[7][8][9] 하지만 일부 아동 성폭력범의 경우, 소아성애증 진단 여부의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10] ‘네피오필리아(Nepiophilia)’와 ‘인판토필리아(infantophilia)’는 일반적으로 1세~4세 가량의 유아에게 성욕을 느끼는 증후군을 일컫는다.[11]
  • 헤베필리아(Hebephilia)와 에페보필리아(Ephebophilia)는 각각 10대 청소년을 성적 욕구의 대상으로 보는 성적 경향을 의미한다.[12][13] 헤베필리아라는 용어는 1955년 글루크가 처음으로 소개하였다.[14] 쿠르트 프로인드(와 알레스 코라스키)는 사춘기 또는 사춘기를 갓 지난 청소년에 성적 기호를 ‘아도레스첸토필리아(Adolescentophilia)’라고 호칭하였다. 프로인드와 코라스키는 헤베필리아와 에페보필리아를 선호하는 나이에 따라 세 단계로 구분 지었다. 제1단계는 사춘기 초기 연령의 청소년을, 제2단계는 한창 사춘기거나 사춘기를 갓 지난 청소년을, 제3단계는 청년기에 접어들기 직전인 청소년을 성적 대상으로 보는 단계이다.[15]
  • 어른성애증 또는 텔레이오필리아(Teleiophilia)는 어른을 성적 대상으로 바라보는 성적 기호를 일컫는 말이다.[16] 어른이 어른을 좋아하는 것은 물론 아동이나 청소년이 어른을 좋아하는 것도 포함된다. 텔레이오필리아는 성별에 따른 두 종류로 나뉘는데, 어른 여성을 좋아하는 것은 ‘지니필리아’, 어른 남성을 좋아하는 것은 ‘안드로필리아’라고 부른다. 텔레이오필리아는 ‘아둘토필리아(adultophilia)’라고도 불린다.[17]
  • 노인성애증 또는 제론토필리아(Gerontophilia)는 노인들에게 성욕을 느끼는 증후군을 일컫는다.[18]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John Money (1986) "Lovemaps: clinical concepts of sexual/erotic health and pathology, paraphilia, and gender transposition of childhood, adolescence, and maturity, ISBN 0-8290-1589-2, pp. 70, 260
  2. John Money (1990) Gay, Straight, and In-Between: The Sexology of Erotic Orientation, ISBN 0-19-505407-5, pp 137, 183
  3.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ICD-10 Archived 2008년 9월 21일 - 웨이백 머신 Section F65.4: Paedophilia (online access via ICD-10 site map table of contents)
  4. Blanchard, R.; Kolla, N. J.; Cantor, J. M.; Klassen, P. E.; Dickey, R.; Kuban, M. E.; Blak, T. (2007). “IQ, handedness, and paedophilia in adult male patients stratified by referral source”. 《Sexual Abuse: A Journal of Research and Treatment》 19 (3): 285–309. doi:10.1177/107906320701900307. 
  5. [Psychiatric Association] (2000년 6월).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 TR (Text Revision)》. Arlington, VA, US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943쪽. doi:10.1176/appi.books.9780890423349. ISBN 978-0890420249. 2011년 10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23일에 확인함.  |author-link1= 값 확인 필요 (도움말)
  6.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 Diagnostic criteria for research (see F65.4, pp. 166–167)
  7. Finkelhor, David; Sharon Araji (1986). 《A Sourcebook on Child Sexual Abuse: Sourcebook on Child Sexual Abuse》. Sage Publications. 90쪽. ISBN 0803927495. 
  8. Fagan PJ, Wise TN, Schmidt CW, Berlin FS (2002년 11월). “Paedophilia”. 《JAMA》 288 (19): 2458–65. doi:10.1001/jama.288.19.2458. PMID 12435259. 2020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23일에 확인함. 
  9. HALL, MD, RYAN C. W.; AND RICHARD C. W. HALL, MD, PA. “A Profile of Paedophilia: Definition, Characteristics of Offenders, Recidivism, Treatment Outcomes, and Forensic Issues” (PDF). 《Mayo Clin Proc》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82:457-471 2007. 2008년 5월 2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23일에 확인함. 
  10. Edwards, M. (1997) "Treatment for Paedophiles; Treatment for Sex Offenders." Paedophile Policy and Prevention, Australian Institute of Criminology Research and Public Policy Series (12), 74-75.
  11. Laws, D. Richard; William T. O'Donohue (2008). 《Sexual Deviance: Theory, Assessment, and Treatment》. Guilford Press. 176쪽. ISBN 1593856059. 
  12. Krafft-Ebing, R., & Moll, A. (1924). Psychopathia sexualis. Stuttgart: Ferdinand Enke.
  13. Blanchard, R. Blanchard, R., Lykins, A. D., Wherrett, D., Kuban, M. E., Cantor, J. M., Blak, T., Dickey, R., & Klassen, P. E. (2008). Paedophilia, hebephilia, and the DSM–V. Archives of Sexual Behavior. DOI 10.1007/s10508-008-9399-9.
  14. Glueck, B. C., Jr. (1955). Final report: Research project for the study and treatment of persons convicted of crimes involving sexual aberrations. June 1952 to June 1955. New York: New York State Department of Mental Hygiene.
  15. Aleš Kolářský: Jak porozumět sexuálním deviacím : Teoretická východiska sexodiagnostiky – cesta k tvorbě vlastního náhledu a k realizaci sexuality v mezích zákona, Galén, Praha, 2008, ISBN 978-80-7262-504-8, p. 68, chap. 3.4.2 Adolescentofilie
  16. Blanchard, R.; Barbaree, H. E.; Bogaert, A. F.; Dickey, R.; Klassen, P.; Kuban, M. E.; Zucker, KJ; 외. (2000). “Fraternal birth order and sexual orientation in paedophiles”. 《Archives of Sexual Behavior》 29 (5): 463–478. doi:10.1023/A:1001943719964. PMID 10983250. 
  17. Jay R. Feierman: „Reply to Dickemann: The ethology of variant sexology“, Human Nature, Springer New York, vol. 3, No 3, September 1992, pp. 279–297
  18. Kaul, A.; Duffy, S. (1991). “Gerontophilia: A case report”. 《Medicine, Science and the Law》 31: 11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