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기 정도 (길이)
10−35 m[편집]
10−27 m, 1rm[편집]
10−24 m, 1ym[편집]
10−21 m, 1zm[편집]
- 10−21 m - 젭토미터
- 2 zm - 초끈 이론에서 우주끈의 폭
- 2 zm - 핵자가 산란하는 20 기가전자볼트의 에너지를 가진 중성미자의 크기
- 7 zm - 핵자가 산란하는 250 기가전자볼트의 에너지를 가진 중성미자의 크기
- 177 zm - 대형 강입자 충돌기에서 기록된 양성자 드브로이 파장의 크기
10−18 m, 1 am[편집]
- 10−18 m - 아토미터
- 1 am -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에서 관측된 중력파의 크기
- 1 am - 쿼크와 전자 크기의 상한선
- 10 am - 약력의 범위
- 86 am - 에타 중간자 전하의 반경[2]
- 850 am - 양성자 크기의 추정치
10−15 m, 1 fm[편집]
- 10−15 m - 펨토미터
- 1 fm - 중성자 크기의 추정치[3][4]
- 2.81794 fm - 고전 전자 반경
- 3 fm - 중간자에 의해 매개되는 강력의 대략적인 크기[3][4]
- 30.8568 fm - 1 퀘타파섹
10−12 m, 1 pm[편집]
- 5pm - 가장 짧은 X선의 파장
10−11 m[편집]
- 25pm - 수소 원자의 크기
10−10 m, 1 Å[편집]
- 100 pm = 1 Å
10−9 m, 1 nm[편집]
- 2 nm - DNA 나선구조의 지름
10−8 m[편집]
- 90 nm - HIV 바이러스의 크기
10−7 m[편집]
- 380~770 nm - 가시광선의 파장
10−6 m, 1 μm[편집]
10−5 m[편집]
10−4 m[편집]
- 100 µm -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최소 크기
- 125 µm - 집먼지진드기의 크기
10−3 m[편집]
- 0.5 센티미터 - 붉은 개미의 크기
10−2 m, 1 cm[편집]
10−1 m[편집]
- 1자 = 10/33 m = ≈ 30.3 센티미터
- 1피트 = 30.48 센티미터
- 1야드 = 91.44 센티미터
100 m, 1 m[편집]
101 m[편집]
102 m[편집]
- 112.34 m - 세계에서 가장 큰 나무의 높이
- 137 m - 기자의 대 피라미드의 높이 (원래 높이는 147 m)
- 243 m - 서울 남산의 높이
- 264 m - 여의도 63빌딩의 높이
- 300 m - 에펠탑의 높이
- 1 리 = 393 m
- 818 m - 버즈두바이(아랍에미리트)의 높이
103 m, 1 킬로미터[편집]
104 m[편집]
105 m[편집]
106 m[편집]
- 1000 킬로미터 - 지구의 대기권 두께
- 3476 킬로미터 - 달의 지름
- 6400 킬로미터 - 만리장성의 길이
- 7025 킬로미터 - 아마존강의 길이
- 6792 킬로미터 - 화성의 지름
- 9289 킬로미터 -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길이
107 m[편집]
108 m[편집]
109 m[편집]
- 1.39 × 109 m - 태양의 지름
1010 m[편집]
1011 m[편집]
1012 m[편집]
- 73억 킬로미터 - 명왕성과 태양 사이의 최대 거리
1015 m[편집]
1021 m 1 Zm[편집]
1024 m, 1 Ym[편집]
- 13.2 × 109 광년 ≈ 1.25 × 1026m -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은하까지의 거리.
- 13.7 × 109 광년 ≈ 1.29 × 1026m - 관측 가능한 우주의 대략적인 크기.
1027 m[편집]
1030 m[편집]
1033 m[편집]
1036 m[편집]
1039 m[편집]
1039 m 이상[편집]
- 1 × 1027 광년 ≈ 1043 m - 급팽창 이론에 따른 전체 우주의 대략적인 크기.
각주[편집]
- ↑ “Cowan and Reines Neutrino Experiment”. 2023년 7월 4일에 확인함.
- ↑ Raya, K.; Bedolla, Marco A.; Cobos-Martínez, J. J.; Bashir, A. (2018년 11월 1일). “Heavy Quarkonia in a Contact Interaction and an Algebraic Model: Mass Spectrum, Decay Constants, Charge Radii and Elastic and Transition Form Factors”. 《Few-Body Systems》 59: 133. doi:10.1007/s00601-018-1455-y. ISSN 0177-7963.
- ↑ 가 나 “The Strengths of the Known Forces” (미국 영어). 2013년 5월 30일. 2023년 7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Four Forces- Ranges and Carriers”. 2023년 7월 2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