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쿠르비타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쿠쿠르비타신(cucurbitacin)은 박과 식물 특유의 스테로이드의 일종으로 쓴 맛이 난다. 오이, 멜론, 수박, 참외 등의 설익은 부분에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함량이 적기 때문에 먹어서 쓴맛까지 느끼지는 않는다. 그러나 드물게 쿠쿠르비타신을 많이 생산하는 것이 섞여 유통되는 경우가 있으며,[1] 쓴맛을 참고 먹었다가 식중독이 일어난 사례가 있다.[2] 그러나 쿠쿠르비타신은 최근 연구에서 독성에서의 작용뿐만아니라 암세포억제,간세포에서의 해독작용등의 긍정적인 생리활성물질로 재평가 받고있다.[3][4]

쿠쿠르비타신 A ~ T를 비롯하여 20여 개의 변종이 있으며, 대부분 인간이 먹었을 때는 쓴맛이 나고 세포독성에관한 작용기전과 관련해서 이것의 잠재적인 생리활성반응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연구되고있다.[5][6][7][8][9]

피토케미컬[편집]

쿠쿠르비타신에 대한 피토케미컬 생성 성분은 유방암 세포증식억제와 간 해독작용에 도움이 있다고 연구결과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있다.[10]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ゴーヤーより苦いヘチマやユウガオにご注意!” (PDF). 沖縄県衛生環境研究所. 2013년 7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6일에 확인함. 
  2. “授業でひょうたん食べ児童17人がおう吐・腹痛”. NHK. 2013년 7월 4일. 2013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4일에 확인함. 
  3. [참고](아주대학교병원-가정의학과,여름 과일로 건강한 여름 나기)http://hosp.ajoumc.or.kr/HealthInfo/DiseaseView.aspx?ai=1359&cp=1&sid=[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 [참고](Int J Health Sci (Qassim). 2013 Jan; 7(1): 77–89.doi: 10.12816/0006025 PMCID: PMC3612419 PMID: 23559908 Cucurbitacins – A Promising Target for Cancer Therapy Dr. Abdullah A. Alghasham)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612419/
  5. Alghasham, AA (2013). “Cucurbitacins - a promising target for cancer 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ciences 7 (1): 77–89. PMC 3612419. PMID 23559908. 
  6. Kapoor, S (2013). “Cucurbitacin B and Its Rapidly Emerging Role in the Management of Systemic Malignancies Besides Lung Carcinomas”. Cancer biotherapy & radiopharmaceuticals 28 (4): 359. doi:10.1089/cbr.2012.1373. PMID 23350897. 
  7. Ishii, T; Kira, N; Yoshida, T; Narahara, H (2013). “Cucurbitacin D induces growth inhibition,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human endometrial and ovarian cancer cells”. Tumour biology : th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Oncodevelopmental Biology and Medicine 34 (1): 285–91. doi:10.1007/s13277-012-0549-2. PMID 23150173. 
  8. Lui, VW; Yau, DM; Wong, EY; Ng, YK; Lau, CP; Ho, Y; Chan, JP; Hong, B; Ho, K; Cheung, CS; Tsang, CM; Tsao, SW; Chan, AT (2009). “Cucurbitacin I elicits anoikis sensitization, inhibits cellular invasion and in vivo tumor formation ability of nasopharyngeal carcinoma cells”. Carcinogenesis 30 (12): 2085–94. doi:10.1093/carcin/bgp253. PMID 19843642. 
  9. Sun, J; Blaskovich, MA; Jove, R; Livingston, SK; Coppola, D; Sebti, SM (2005). “Cucurbitacin Q: A selective STAT3 activation inhibitor with potent antitumor activity”. Oncogene 24 (20): 3236–45. doi:10.1038/sj.onc.1208470. PMID 15735720. 
  10. [참고](Cucurbitacin B and cancer intervention: Chemistry, biology and mechanisms (Review)Authors: Sukant Garg Sunil C. Kaul Renu Wadhwa ,Published online on: November 10, 2017 https://doi.org/10.3892/ijo.2017.4203 Pages: 19-37 )https://www.spandidos-publications.com/10.3892/ijo.2017.4203

외부 링크[편집]

참고[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