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모고로프-아르놀트-모저 정리
해밀턴 역학에서 콜모고로프-아르놀트-모저 정리(Колмогоров-Арнольд-Moser定理, 영어: Kolmogorov–Arnold–Moser theorem, 약자 KAM)는 적분가능계에 충분히 작은 섭동항을 추가하였을 때, 거의 모든 준주기적 해들이 살아남는다는 정리이다.
정의
[편집]차원 심플렉틱 다양체 위의 적분가능계의 작용-각도 변수가 라고 하자 (, ). 즉, 해밀토니언 함수 는 작용 변수에만 의존하고, 각도 변수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 계의 운동 방정식은
이며, 따라서 들은 운동 상수이며, 계의 에 대한 주기는 이다. 만약 들의 비가 유리수라면 이는 해밀턴 방정식의 주기적 해를 이루며, 무리수라면 이는 해밀턴 방정식의 준주기적(영어: quasiperiodic) 해를 이룬다. 각 에 대응하는 차원 원환면을 불변 원환면(영어: invariant torus)이라고 한다.
이제, 해밀토니언 함수에 미세한 적분 불가능 섭동을 주자.
그렇다면, 만약 가 충분히 작다면 불변 원환면들이 그대로 유지되는지 물을 수 있다. 콜모고로프-아르놀트-모저 정리는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벡터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수 가 존재한다면, 가 디오판토스 벡터(영어: Diophantine vector)라고 하자.
르베그 측도에 대하여 거의 모든 벡터가 디오판토스 벡터임을 보일 수 있다.
콜모고로프-아르놀트-모저 정리에 따르면, 만약 임의의 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에 대하여, 섭동된 해밀토니언 에 대하여 주기가 인 준주기적 해가 존재한다. (만약 에 대한 해가 주기적이더라도, 에 대한 해는 일반적으로 준주기적이다.)
여기서 "충분히 작은 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뜻이다.
가 의 복소수 닫힌 근방
으로 해석적 연속될 수 있다고 하고,
라고 할 때, 이라면 -디오판토스 벡터에 대하여 준주기적인 해가 존재하게 되는 양의 실수 이 존재한다. (이 실수는 디오판토스 벡터의 정의에서의 상수 에 의존한다.)
역사
[편집]안드레이 콜모고로프[1] · 블라디미르 아르놀트[2] · 위르겐 모저[3] 가 증명하였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N. Kolmogorov. On the Conservation of Conditionally Periodic Motions under Small Perturbation of the Hamiltonian. Dokl. Akad. Nauk SSR, 98:527–530, 1954
- ↑ Arnol'd, V. I. "Proof of a Theorem of A. N. Kolmogorov on the Preservation of Conditionally Periodic Motions under a Small Perturbation of the Hamiltonian." Uspehi Mat. Nauk 18, 13-40, 1963
- ↑ Moser, J. "On Invariant Curves of Area-Preserving Mappings of an Annulus." Nachr. Akad. Wiss. Göttingen Math.-Phys. Kl. II, 1-20, 1962
- Arnold, Vladimir Igorevich (1989). 《Mathematical Methods of Classical Mechanics》 (영어). Springer. ISBN 0-387-96890-3.
- Rangarajan, Govindan (1998년 4월). “Kolmogorov-Arnold-Moser theorem: Can planetary motion be stable?” (영어) 3 (4): 43–53. doi:10.1007/BF02834611. ISSN 0971-8044.
- Pöschel, Jürgen (2001). 〈A lecture on the classical KAM theorem〉 (PDF). 《Smooth ergodic theory and its applications》. Proceedings of Symposia in Pure Mathematics (영어) 69.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707–732쪽. ISBN 978-0-8218-2682-9.
- de la Llave, Rafael (2001). 〈A tutorial on KAM theory〉. 《Smooth ergodic theory and its applications》. Proceedings of Symposia in Pure Mathematics (영어) 69.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707–732쪽. ISBN 978-0-8218-2682-9.
- Cherchia, Luigi; Mather, John N. “Kolmogorov-Arnold-Moser Theory”. 《Scholarpedia》 (영어) 5 (9): 2123. doi:10.4249/scholarpedia.2123. ISSN 1941-6016.
- Dumas, H. Scott (2014). 《The KAM story: a friendly introduction to the content, history, and significance of classical Kolmogorov–Arnold–Moser Theory》 (영어). World Scientific Publishing. doi:10.1142/8955. ISBN 978-981-4556-58-3.
- Wayne, C. Eugene (1996). 〈An introduction to KAM theory〉 (PDF). 《Dynamical systems and probabilistic methods in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Lectures in Applied Mathematics (영어) 31.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9쪽. ISBN 978-0-8218-0368-4.
- Broer, Henk W. (2004). “KAM theory: the legacy of Kolmogorov’s 1954 paper”.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41 (4): 507–521. doi:10.1090/S0273-0979-04-01009-2. ISSN 0273-0979.
외부 링크
[편집]- Weisstein, Eric Wolfgang. “Kolmogorov-Arnold-Moser theorem”.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