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테 왕국
코테 왕국 | ||||
---|---|---|---|---|
කෝට්ටේ රාජධානිය | ||||
| ||||
국기 | ||||
코테 왕국의 최대강역 파라크라마바후 8세 사후인 1518년의 코테 왕국 1587년 다르마팔라 치하의 코테 왕국 강역 | ||||
수도 | 코테 | |||
정치 | ||||
정치체제 | 군주제 | |||
라자 1412–1467 1472-1480 1484-1518 1551–1597 | 파라크라마바후 6세 부바나이카바후 6세 파라크라마바후 8세 다르마팔라 | |||
역사 | ||||
• 코테 천도 | 1412 | |||
• 멸망 | 1597.5.27. | |||
인문 | ||||
공용어 | 싱할라어 | |||
민족 | 싱할라인 | |||
종교 | ||||
종교 | 불교 |
스리랑카의 역사 ශ්රී ලංකාවේ ඉතිහාසය |
---|
코테 왕국(싱할라어: කෝට්ටේ රාජධානිය, 타밀어: கோட்டை அரசு)은 15세기 스리랑카(Sri Lanka)에서 번성했던 싱할리인(Sinhalese) 계통의 왕국이다. 왕국 명칭은 수도 코테(Kotte)에서 기인한다.
명나라의 지원을 받은 파라크라마바후 6세(Parakramabahu VI)의 통치 하에 있던 코테는 자프나 왕국(Jaffna kingdom)과 반니 공국(Vanni principalities)을 정복하여 국가를 통일하였다. 비자야나가라 제국(Vijayanagar dynasty)을 토벌하고 항구를 빼앗았다. 이 항구는 이후 교역 루트로 바뀌었다.
싱할리인-포르투갈인 전쟁(Sinhalese-Portuguese War)에서 코테 왕국은 같은 싱할리 계통의 라이벌 시타와카 왕국(Kingdom of Sitawaka)과 캔디 왕국(Kingdom of Kandy)의 공격을 받고 해체되었다. 동 주앙 다르마팔라(Dom João Dharmapala)는 왕국을 포르투갈에게 내주었으며, 포르투갈령 실론(Portuguese Ceylon)으로 바뀌었다. 나머지는 시트와카와 칸디로 합병되었다.
용어
[편집]코테(Kotte)라는 용어는 싱할라어 낱말 코타(kotta)와 타밀어 낱말 kottei에서 왔으며 성을 의미한다.[1][a]
역사
[편집]코테는 감폴라 왕국(Kingdom of Gampola) 비크라마바후 3세(Vikramabahu III) 통치 시기, 알라가콘나라(Alagakkonara) 가문 행정관 알라케스바라(Alakesvara, 1370–1385)가 요새로 지어, 남인도(South India)의 서안 침공을 막고자 하였다. 이후 1412년 파라크라마바후 6세(Parakramabahu VI)가 코테를 수도로 삼았다. 지역을 둘러싼 커다란 늪으로 수비되었다.[4]
1412년, 파라크라마바후 6세는 처음에 라이가마(Raigama) 왕이 되었고, 1415년에는 코테를 수도로 삼았다. 왕은 기존의 성체를 업그레이드하고 새로운 왕궁을 지었다. 파라크라마바후 6세는 비자야나가라 제국과 자프나 왕국의 유대가 끊어질 때까지 기다렸다. 우선, 그는 반니(Vanni)를 에워쌌고, 그 국왕을 자신에게 충성하도록 했다. 사푸말 왕자(Prince Sapumal)는 당시 코테 육군의 지휘관이었다. 타밀어(Tamil)는 이 당시 코테 왕국의 궁정 언어 중 하나였다.[5]
흥기
[편집]1450년, 파라크라마바후 6세는 스리랑카 북부 자프나 왕국을 정복함으로써 스리랑카 전체를 통일했다. 절정기 때에 코테 왕국은 싱할리어 문학의 가장 위대한 시기 중 하나였다. 당시 유명한 시인들은 불교 승려 토타가무웨 스리 라훌라 테라(Thotagamuwe Sri Rahula Thera), 위다가마 마이흐리 테로(Weedagama Maihree thero), 카라갈라 와나라타나 테로(Karagala Wanarathana thero)가 있다. 그러나 1477년, 파라크라마바후 6세 사후 10년 만에, 역내 왕국들은 더욱 강력해졌다. 가장 유명한 신흥 왕국은 1469년 코테 왕국에 맞서 봉기하여 성공한 세나삼마타 비크라마바후(Senasammata Vikramabahu)가 섬의 중앙 구릉 지대에 세운 것이었다.
켈라니야 통치
[편집]1509년, 파라크라마바후 9세(Parakramabahu IX)는 켈라니야(Kelaniya)로 수도를 옮겼다. 그는 1528년까지 이곳에 머물렀다.
포르투갈인의 도래
[편집]1505년, 포르투갈인들이 스리랑카에 도착했다.[6][7] 이들은 갈레 항구(Galle Harbour)에 상륙했다. 포르투갈인들은 자신들이 스리랑카에 도착했다는 것을 알자, 콜롬보(Colombo)로 항해했다.[6] 포르투갈인들은 수도 코테 옆에 난 길고 꼬불꼬불한 경로를 취하였다. 그러나 사실 이 길은 코테 바로 옆에 있었다. 이는 왕국이 내륙 너무 먼 곳에 있어서 항구에서 침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처럼 보이게 하고자 이렇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 계획은 배에 남아 있던 포르투갈인들이 배에서 대포를 계속 쏘아대었고, 대포 소리가 이 길을 가던 포르투갈인들에게 들리면서 이러한 사실이 발각되었다.[8] 이로 인해 "포르투갈인들이 코테로 가는 것처럼(Parangiya Kotte Giya Vage, පරන්ගියා කොට්ටේ ගියා වගේ)"[8] 이라는 속담이 생겨났을 정도였다. 이는 직접적인 경로 대신에 우회로를 택하여 가거나 어떠한 일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만남이 있은 동안, 포르투갈이들은 코테 국왕과의 무역 체결을 간신히 할 수 있었다.[9]
쇠락
[편집]코테 왕국의 몰락은 1521년 위자야바 콜라야(Wijayaba Kollaya)로 알려진 한 사건으로부터 시작된다. 코테 국왕 비자야바후 7세(Vijayabahu VII)의 세 아들은 반란을 일으켰고, 아버지를 살해하고 왕국을 분할하였다.[10] 이로 인해 코테, 사타와카(Sitawaka), 라이가마 공국(Principality of Raigama) 세 나라로 분열되었다.[11] 시타와카 왕국(Kingdom of Sitawaka)은 지방의 지원을 받고 더욱 강력해졌고, 코테 왕국은 포르투갈에게 도움을 의지해야 했다. 위자야바 콜라야 이후의 코테 국왕인 부베네카바후 7세(Buvenekabahu VII)가 형제 마야둔네(Mayadunne)를 패배시키기 위하여 포르투갈로부터 도움을 받았다. 또한 그는 외손자 다르마팔라 왕자(Prince Dharmapala)가 포르투갈인에게 가톨릭 신도로 세례받는 것을 허락했다. 부베네카바후가 다르마팔라를 후계자로 지명한 후, 한 포르투갈 병사는 실수로 그를 총살했다.
1565년,[12] 다르마팔라는 시타와카 왕국의 마야두네와 라자싱헬(Rajasinghel) 부자의 잦은 공격으로 인하여 수도 코테를 버렸다. 다르마팔라는 포르투갈인 보호 하에 콜롬보로 잡혀갔다.[13] 코테왕국 대부분은 시타와카 왕국에 병합되었다.[14] 그러나 1594년 시타와카 왕국의 몰락 이후, 이 지역은 다시 코테 왕국으로 병합되었다.[15] 1597년, 다르마팔라는 코테 왕국을 포르투갈 국왕에게 양도하였고, 이로써 종말을 고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Somaratne, G. P. V. (1984). 《The Sri Lanka Archives, Volume 2》. Department of National Archives. 1쪽.
- ↑ Minahan, James (2002년 5월 30일).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Ethnic and National Groups Around the World A-Z [4 Volumes]》. ISBN 9780313076961.
- ↑ Southworth, Franklin (2004년 8월 2일). 《Linguistic Archaeology of South Asia》. ISBN 9781134317776.
- ↑ “The Kotte Dynasty and its Portuguese allies”. 《Humphry Coddrington》. 2008년 1월 3일에 확인함.
- ↑ Aiyangar, S. Krishnaswami; de Silva, Simon; M. Senaveratna, John (1921). “The Overlordship of Ceylon in the Thirteenth, Fourteenth and Fifteenth Centuries.”. 《The Journal of the Ceylo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 Ireland》 28 (74): 127. JSTOR 43483739.
- ↑ 가 나 S.G. Perera, A History of Ceylon For Schools – The Portuguese and Dutch period. The Associated Newspapers of Ceylon: Sri Lanka, 1942. p 8. 《(Link)》. OCLC 10531673.
- ↑ Declercq, Nico F. (2021). 〈Chapter 43: The appearance of the Portugues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ortuguese Kingdom of Kotte〉. 《The Desclergues of la Villa Ducal de Montblanc》. 723–746쪽. ISBN 9789083176901.
- ↑ 가 나 Paul E. Peiris, Ceylon the Portuguese Era: Being a History of the Island for the Period, 1505–1658, Volume 1. Tisara Publishers: Sri Lanka, 1992. p 36. 《(Link)》. OCLC 12552979.
- ↑ S.G. Perera, A History of Ceylon For Schools – The Portuguese and Dutch period. The Associated Newspapers of Ceylon: Sri Lanka, 1942. p 11 《(Link)》. OCLC 10531673.
- ↑ B. Gunasekara, The Rajavaliya. AES reprint.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1995. p. 75–77. ISBN 81-206-1029-6
- ↑ S. G. Perera, A History of Ceylon For Schools – The Portuguese and Dutch period. The Associated Newspapers of Ceylon: Sri Lanka, 1942. p. 17. 《(Link)》. OCLC 10531673.
- ↑ Paul E. Peiris, Ceylon the Portuguese Era: Being a History of the Island for the Period, 1505–1658, Volume 1. Tisara Publishers: Sri Lanka, 1992. p. 195. 《(Link)》. OCLC 12552979.
- ↑ S. G. Perera, A History of Ceylon For Schools – The Portuguese and Dutch period. The Associated Newspapers of Ceylon: Sri Lanka, 1942. p. 48. 《(Link)》. OCLC 10531673.
- ↑ S. G. Perera, A History of Ceylon For Schools – The Portuguese and Dutch period. The Associated Newspapers of Ceylon: Sri Lanka, 1942. p. 49. 《(Link)》. OCLC 10531673.
- ↑ S. G. Perera, A History of Ceylon For Schools – The Portuguese and Dutch period. The Associated Newspapers of Ceylon: Sri Lanka, 1942. p. 65. 《(Link)》. OCLC 10531673.
- 내용주
- ↑ The word kotte is derived from the Tamil-Malayalam word, kōttai, which is derived from the Proto-South Dravidian word kōtt-ay, meaning fort. The word kōttai further evolved to kēāṭṭa in modern Malayalam.[2][3]
외부 링크
[편집]- හත්වැනි බුවනෙකබාහුගේ වටිනාපහ පුවරු ලිපිය (VII Buwanekabahu) Archived 2015년 9월 23일 - 웨이백 머신 (싱할라어)
- හෙළ සාහිත්යයේ ස්වර්ණමය යුගය හා කෝට්ටේ සවැනි පරාක්රමබාහු රජතුමා Archived 2015년 9월 23일 - 웨이백 머신 (싱할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