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즈웨이베이역
코즈웨이베이
銅鑼灣 Causeway Bay | ||||||||||||||||||||||||||||||||||||||||||||||||||||||||||||||||||||||||||||||||
---|---|---|---|---|---|---|---|---|---|---|---|---|---|---|---|---|---|---|---|---|---|---|---|---|---|---|---|---|---|---|---|---|---|---|---|---|---|---|---|---|---|---|---|---|---|---|---|---|---|---|---|---|---|---|---|---|---|---|---|---|---|---|---|---|---|---|---|---|---|---|---|---|---|---|---|---|---|---|---|---|
![]() 2번 승강장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항철공사 | |||||||||||||||||||||||||||||||||||||||||||||||||||||||||||||||||||||||||||||||
소재지 | 홍콩 완자이구 둥곡 헤네시로 / 이워가 | |||||||||||||||||||||||||||||||||||||||||||||||||||||||||||||||||||||||||||||||
좌표 | 북위 22° 16′ 49″ 동경 114° 11′ 01″ / 북위 22.2802° 동경 114.1835° | |||||||||||||||||||||||||||||||||||||||||||||||||||||||||||||||||||||||||||||||
개업일 | 1985년 5월 31일 | |||||||||||||||||||||||||||||||||||||||||||||||||||||||||||||||||||||||||||||||
역 코드 | CAB | |||||||||||||||||||||||||||||||||||||||||||||||||||||||||||||||||||||||||||||||
승강장수 | 2선 2면 (양층 상대식) | |||||||||||||||||||||||||||||||||||||||||||||||||||||||||||||||||||||||||||||||
| ||||||||||||||||||||||||||||||||||||||||||||||||||||||||||||||||||||||||||||||||
거리표 | ||||||||||||||||||||||||||||||||||||||||||||||||||||||||||||||||||||||||||||||||
공도선 | ||||||||||||||||||||||||||||||||||||||||||||||||||||||||||||||||||||||||||||||||
← 완자이
틴하우 →
| ||||||||||||||||||||||||||||||||||||||||||||||||||||||||||||||||||||||||||||||||
|
코즈웨이베이역 | |||||||||||||||
정체자 | 銅鑼灣 | ||||||||||||||
---|---|---|---|---|---|---|---|---|---|---|---|---|---|---|---|
간체자 | 铜锣湾 | ||||||||||||||
병음 | Tóngluówān | ||||||||||||||
광둥어 예일 | Tùnglòwāan | ||||||||||||||
|
코즈웨이베이역 (Causeway Bay) 또는 퉁로완역 (중국어 정체자: 銅鑼灣, 광둥어 예일: Tùnglòwāan)은 홍콩섬 완자이구 둥곡에 위치한 홍콩 지하철 공도선의 역이다. 완자이역과 틴하우역 사이에 위치해 있다.[1]
원래 이 역은 예로부터 '둥곡' (東角, 이스트포인트)라 불리던 지역에 자리잡은 역이었으나, 지금은 역명이 더 유명해져 주변 역세권 지역을 '코즈웨이베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역사
[편집]영국령 홍콩 시절이던 1967년, 홍콩 정부가 프리만 폭스와 윌버 스미스 협회 측에 대중교통 계획안을 의뢰하면서 홍콩 지하철 체계가 처음으로 구상되었다. 이 계획안에는 지금의 공도선 건설 계획도 담겼는데 케네디타운에서 차이완까지 잇는 노선으로 계획되었다.[2] 이후 대중교통 임시당국이 설립되면서 세부계획이 세워졌고, 공도선은 성완역~케네디타운역 구간 공사가 취소되는 등 약간의 계획수정과 함께 추진되었다.[주 1]
이후 홍콩 정부는 9500만 홍콩 달러의 예산을 편성해 1980년 12월 23일 공도선 기공식을 열었으며,[3] 1982년 10월에는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갔다. 1984년에는 항철공사가 3억 8000만 홍콩달러를 계약금으로 다이세이건설 측에 코즈웨이베이역 건설부지를 매각하였으며, 지금은 일본계 백화점인 소고 홍콩이 들어서 있다.[4] 이후 코즈웨이베이역은 1985년 5월 31일 감중역-차이완역 1차 구간 전면개통과 함께 영업에 나서게 되었다.[2]
코즈웨이베이역은 공도선의 완자이역과 틴하우역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1] 피크시간대에는 양방향으로 시간당 평균 17차량이 편성되며, 배차시간은 3~6분이다.[5] 개통 초창기에는 기관사 인력 부족으로 감중역과 다이구역 구간 특별운행을 실시하기도 하였다.[3] 이는 성완역 연장구간 개통 이후 다섯달을 맞이하는 1986년 10월 1일부로 중단되었다.[3]
역 구조
[편집]코즈웨이베이역의 승강장은 복층 구조이며, 1번 승강장 위에 2번 승강장이 얹혀 있는 구조다.
G | 지상층 | 출구 |
- | 서쪽 대합실 | 자판기, ATM |
L1 | 동쪽 대합실 | 고객센터, MTR샵 |
항셍은행, 자판기, ATM | ||
옥토퍼스 카드 발급기, 관광 안내센터 | ||
서쪽 대합실 | 고객센터 | |
ATM, i센터 인터넷 서비스 | ||
L2 승강장 |
상대식 승강장, 왼쪽문 열림 | |
승강장 1 | 공도선 차이완 방면 (틴하우) → | |
L3 | 남쪽 대합실 | 고객센터 |
자판기, ATM, 옥토퍼스 카드 발급기 | ||
L5 승강장 |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문 열림 | |
승강장 2 | ← 공도선 케네디타운 방면 (완차이) |
출구
[편집]코즈웨이베이는 홍콩의 대표적인 쇼핑거리로, 관광객과 쇼핑객으로 하루종일 역이 붐빈다.[7] 코즈웨이베이역의 각 출구는 주변 일대의 소고나 타임스 스퀘어 같은 여러 백화점과 쇼핑센터로 연결된다. A출구에서부터 시작되는 보행자 전용경사로를 길게 따라가다 보면 찾아갈 수 있다.
코즈웨이베이역의 대합실은 다른 지하철역과는 달리 세 개나 있다. 특히 대합실 두 곳은 한번 개찰구를 통과하고 역내 지하로 들어가면 찾아갈 수 없다. 1985년 5월 31일 역 개업 당시 서쪽과 동쪽 대합실이 설치되었고, 이후 1994년 타임스 스퀘어의 개장과 함께 A출구쪽 남쪽 대합실이 추가로 조성되었다.
남쪽 대합실
[편집]타임스 스퀘어 지하층에 해당된다.
서쪽 대합실
[편집]코즈웨이베이 플라자 지하층에 해당된다.
동쪽 대합실
[편집]소고 백화점 지하층에 해당된다.

대중교통 환승
[편집]버스
[편집]코즈웨이베이역으로는 여러 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행선지로는 애버딘, 브래머힐, 해피밸리, 자딘스 룩아웃, 케네디타운, 라이닥췬, 레이퉁췬, 파크로드, 웡죽항, 남청역, 사우스허라이즌, 빅토리아 피크, 칭이, 와푸 등이 있다.
트램
[편집]코즈웨이베이와 해피밸리를 잇는 트램노선이 코즈웨이베이역 인근을 지난다. 가장 가까운 트램 정거장은 퍼시벌가, 패터슨가 등이다.
각주
[편집]참고
[편집]출처
[편집]- ↑ 가 나 “MTR system map” (PDF). MTR. 2016년 5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歷史”. 《MTR之今昔Expo》 (광둥어). MTR之今昔. 2016년 5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歷史”. 《港島線》 (광둥어). 台灣Word. 2013년 12월 6일. 2016년 5월 27일에 확인함.
- ↑ Sim, Suzanne (1984년 4월 7일). “MTR Causeway Bay site fetches $380m” (PDF).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 2021년 3월 22일에 확인함.
- ↑ “Service Hours”. 《Services and Facilities》. MTR. 2016년 5월 27일에 확인함.
- ↑ “Causeway Bay Station layout” (PDF). 항철공사. 2014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銅鑼灣 Causeway Bay (CAB)”. 《港島線簡介》 (광둥어). MTR之今昔. 2016년 5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Causeway Bay Station street map” (PDF). 항철공사. 2014년 7월 3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코즈웨이베이역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