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약재창출 연구
기존의 약물로부터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는 방식인 신약재창출 방법을 통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제를 탐색하고 있으며, 현재 주류 연구법들중 하나이다.[1][2][3][4][5][6][7]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후천면역결핍증후군(AIDS), 말라리아 치료제, 혹은 기존에 개발되어 사용중이던 여러 항바이러스제가 새로운 치료제로 연구되고 있으며 일부는 임상시험으로 단계가 진행되었다.[1] 빈센트 먼스터(Vincent Munster) 미국 보건복지부 바이러스생태원장은 2020년 2월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Nature Biology)》에 발표한 성명에서 메르스, 사스 등의 바이러스의 유전체 복제 등 양상이 매우 비슷하다고 말했다.[6]
연구
[편집]클로로퀸/하이드록시클로로퀸
[편집]클로로퀸은 항말라리아 약품으로, 일부 자가 면역 질환 환자들에게도 투여된다. 3월 18일, 세계보건기구는 클로로퀸과 히드록시클로로퀸이 연대(SOLIDarity) 임상시험의 일환으로 연구할 네 가지 약물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8] 앤드루 쿠오모 뉴욕 주지사는 클로로퀸과 히드록시클로로퀸의 시험이 뉴욕주에서 3월 24일에 시작될 것이라고 발표했다.[9]
3월 28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비상 사용 허가(EUA)에 따라 히드록시클로로퀸 황산염과 클로로퀸 인산염의 사용을 허가했다.[10] 이 치료법은 아직 FDA의 임상시험을 통해 효과가 입증되지는 않았으며, EUA에 따라 입원 중이지만 임상시험의 대상이 될 수 없는 환자에게 실험적으로 응급시에만 투여가 허가된다.[10][11]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SARS-CoV-2 감염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한 히드록시클로로퀸의 사용, 투여 또는 지속시간"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12] 의사들은 "다른 방법이 없을 때"만 약을 사용한다고 밝혔다.[13] 4월 9일, 미국 보건복지부는 히드록시클로로퀸의 안전성과 효능을 검사하기 위한 임상시험을 시작했다.[13][14]
파비피라비르
[편집]우한시와 선전시에서는 파비피라비르가 "명백한 효과"를 보임을 임상시험을 통해 밝혔다.[15] 선전에서는 치료받지 않은 환자 45명의 평균 치료기간은 11일인데 비해, 이 약물을 투여하 35명의 환자는 평균 4일 후에 음성 판정을 받았다.[16] 우한에서 환자 2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절반은 파비피라비르, 절반은 우미페노비르를 투여하였다. 이로써 우한 연구진은 파비피라비르로 치료하면 기침과 열로 회복되는 속도가 빨라지긴 하나, 인공호흡기가 필요할 정도로 더 중태에 빠진 환자의 수에서는 별 차이가 없음을 발견했다.[17]
3월 22일, 이탈리아는 가장 심하게 유행하는 세 지역에서 파비피라비르의 임상 시험을 시작했다.[18]
인터페론 베타
[편집]영국의 생명공학 회사인 시네어젠(Synairgen)은 원래 COPD를 치료하기 위해 개발된 약품인 IFN-β에 대한 실험을 시작했다.[8] IFN-β는 후천면역결핍증후군 치료제인 로피나비르와 리토나비르와 함께 국제 연대 시험 대상 의약물로 포함될 것이다.[19]
로피나비르/리토나비르
[편집]과학계 내에서는 HIV/AIDS용으로 특별히 개발된 약물에서 신약재창출을 하는 것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6] 세계보건기구는 로피나비르/리토나비르를 연대 시험에 포함시켰다.[8] 그러나 3월 20일, 로피나비르와 리토나비르의 혼합물인 로피나비르/리토나비르를 사용한 결과 "아무런 이득도 관찰되지 않음"이라는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20][21] 이 약물은 단백질 가수 분해 효소에 결합함으로써 HIV의 복제를 억제하도록 고안되었다. 콜로라도 주립 대학교의 연구팀은 SARS-CoV-2 단백질 분해효소와 결합할 화합물을 찾기 위해 이 약물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22]
렘데시비르
[편집]렘데시비르는 에볼라바이러스 병과 마버그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해 고안된 항바이러스제다.[23] 길리어드 사이언스는 이후 인 비트로(in vitro)에서 렘데시비르가 여러 개의 파일로, 폐렴, 파라믹소,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항바이러스 활동을 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24]
피라맥스
[편집]피라맥스는 가장 최신의 4세대 말라리아 치료제로 피로나리딘인산염과 알테수네이트로 구성된 복합제이다. 두통, 구토, 기침 등 부작용 수준이 경미한 것이 특징이다.[25] 인 비트로(in vitro)에서 잠재적 항암제[26], 에볼라 치료제[27][28], 인플루엔자 및 코로나19 바이러스 치료제[29]로 연구되었다. 최근 코로나19 중등증, 중증에서도 치료효과를 보일 것이라는 연구가 나왔다.[30] 한국[31], 남아공 ANTICOV[32], 케냐 부르키나파소 MALCOV[33], 필리핀[34]에서 임상 진행 중이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Li G, De Clercq E (March 2020). “Therapeutic options for the 2019 novel coronavirus (2019-nCoV)”.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19 (3): 149–150. doi:10.1038/d41573-020-00016-0. PMID 32127666.
- ↑ Harrison C (February 2020). “Coronavirus puts drug repurposing on the fast track”. 《Nature Biotechnology》 38 (4): 379–381. doi:10.1038/d41587-020-00003-1. PMID 32205870.
- ↑ “Repurposing drugs”. National Center for Advancing Translational Sciences (NCATS). 2017년 11월 7일. 2020년 3월 26일에 확인함.
- ↑ Kruse RL (2020년 1월 31일). “Therapeutic strategies in an outbreak scenario to treat the novel coronavirus originating in Wuhan, China”. 《F1000Research》 9: 72. doi:10.12688/f1000research.22211.1. PMC 7029759. PMID 32117569.
- ↑ “Repurposing Drugs”. 《National Center for Advancing Translational Sciences (NCATS)》.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7년 11월 7일. 2020년 3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Harrison C (2020년 2월 27일). “Coronavirus puts drug repurposing on the fast track”. 《Nature Biotechnology》 38 (4): 379–381. doi:10.1038/d41587-020-00003-1. PMID 32205870.
- ↑ Sleigh SH, Barton CL (2010). “Repurposing Strategies for Therapeutics”. 《Pharmaceutical Medicine》 24 (3): 151–159. doi:10.1007/BF03256811.
- ↑ 가 나 다 Devlin H, Sample I (2020년 3월 19일). “What are the prospects for a COVID-19 treatment?”. 《The Guardian》.
- ↑ “NY COVID-19 cases surge; Javits Center to house temporary hospitals”. 《Fox 5》. 2020년 3월 23일.
- ↑ 가 나 “Coronavirus (COVID-19) Update: Daily Roundup March 30, 2020”.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20년 3월 30일.
- ↑ “Fact Sheet for Patients and Parent/Caregivers Emergency Use Authorization (EUA) of Chloroquine Phosphate for Treatment of COVID-19 in Certain Hospitalized Patients”.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 ↑ “Information for clinicians on therapeutic options for COVID-19 patients”.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년 3월 21일. 2020년 3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Gross SJ (2020년 4월 9일). “As CDC drops guidance on chloroquine as COVID-19 therapy, doctors ask for research”. 《Miami Herald》.
- ↑ Clinical trial number NCT04332991 for "Outcomes Related to COVID-19 Treated With Hydroxychloroquine Among In-patients With Symptomatic Disease (ORCHID)" - ClinicalTrials.gov
- ↑ McCurry J (2020년 3월 18일). “Japanese flu drug 'clearly effective' in treating coronavirus, says China”.
- ↑ Gregory A (2020년 3월 18일). “Coronavirus: Japanese anti-viral drug effective in treating patients, Chinese official says”. 《The Independent》.
- ↑ Regalado A (2020년 3월 23일). “Which Covid-19 drugs work best?”. 《MIT Technology Review》.
- ↑ di Pietrobelli G (2020년 3월 22일). “Coronavirus, il Veneto sperimenta l'antivirale giapponese Favipiravir. Ma l'Aifa: "Ci sono scarse evidenze scientifiche su efficacia"”. 《Il Fatto Quotidiano》 (이탈리아어). 2020년 3월 23일에 확인함.
- ↑ “WHO officials enroll first patients from Norway and Spain in 'historic' coronavirus drug trial”. CNBC. 2020년 3월 27일.
- ↑ “Antiviral Drug Combo Ineffective Vs. Coronavirus”. 《WebMD》. 2020년 3월 20일.
- ↑ Cao B, Wang Y, Wen D, Liu W, Wang J, Fan G, 외. (March 2020). “A Trial of Lopinavir-Ritonavir in Adults Hospitalized with Severe Covid-19”.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doi:10.1056/NEJMoa2001282. PMC 7121492. PMID 32187464.
- ↑ Brown J (2020년 3월 20일). “Colorado researchers are racing to find an antiviral drug that could save people with the new coronavirus”.
- ↑ Warren TK, Jordan R, Lo MK, Ray AS, Mackman RL, Soloveva V, 외. (March 2016). “Therapeutic efficacy of the small molecule GS-5734 against Ebola virus in rhesus monkeys”. 《Nature》 531 (7594): 381–5. doi:10.1038/nature17180. PMC 5551389. PMID 26934220.
- ↑ Lo MK, Jordan R, Arvey A, Sudhamsu J, Shrivastava-Ranjan P, Hotard AL, 외. (March 2017). “GS-5734 and its parent nucleoside analog inhibit Filo-, Pneumo-, and Paramyxoviruses”. 《Scientific Reports》 7: 43395. doi:10.1038/srep43395. PMC 5338263. PMID 28262699.
- ↑ WHO (2017년 6월 29일). ““Application for inclusion in the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PDF).
- ↑ Villanueva, Paulina J.; Martinez, Alberto; Baca, Sarah T.; DeJesus, Rebecca E.; Larragoity, Manuel; Contreras, Lisett; Gutierrez, Denisse A.; Varela-Ramirez, Armando; Aguilera, Renato J. (2018년 11월 5일). “Pyronaridine exerts potent cytotoxicity on human breast and hematological cancer cells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PLOS ONE》 (영어) 13 (11): e0206467. doi:10.1371/journal.pone.0206467. ISSN 1932-6203. PMC 6218039. PMID 30395606.
- ↑ Lane, Thomas R.; Dyall, Julie; Mercer, Luke; Goodin, Caleb; Foil, Daniel H.; Zhou, Huanying; Postnikova, Elena; Liang, Janie Y.; Holbrook, Michael R. (2020년 4월 27일). “Repurposing Pyramax® for the Treatment of Ebola Virus Disease: Additivity of the Lysosomotropic Pyronaridine and Non-Lysosomotropic Artesunate”. 《bioRxiv》 (영어): 2020.04.25.061333. doi:10.1101/2020.04.25.061333.
- ↑ Lane, Thomas R.; Massey, Christopher; Comer, Jason E.; Anantpadma, Manu; Freundlich, Joel S.; Davey, Robert A.; Madrid, Peter B.; Ekins, Sean (2019년 11월 21일). “Repurposing the antimalarial pyronaridine tetraphosphate to protect against Ebola virus infection”. 《PLOS Neglected Tropical Diseases》 (영어) 13 (11): e0007890. doi:10.1371/journal.pntd.0007890. ISSN 1935-2735. PMC 6894882. PMID 31751347.
- ↑ Bae, Joon-Yong; Lee, Gee Eun; Park, Heedo; Cho, Juyoung; Kim, Yung-Eui; Lee, Joo-Yeon; Ju, Chung; Kim, Won-Ki; Kim, Jin Il (2020년 7월 28일). “Pyronaridine and artesunate are potential antiviral drugs against COVID-19 and influenza”. 《bioRxiv》 (영어): 2020.07.28.225102. doi:10.1101/2020.07.28.225102.
- ↑ Krishna, Sanjeev; Augustin, Yolanda; Wang, Jigang; Xu, Chengchao; Staines, Henry M.; Platteeuw, Hans; Kamarulzaman, Adeeba; Sall, Amadou; Kremsner, Peter (2021년 1월 19일). “Repurposing Antimalarials to Tackle the COVID-19 Pandemic: (Trends in Parasitology 37, 8–11; 2021)”. 《Trends in Parasitology》 (영어) 0 (0). doi:10.1016/j.pt.2020.12.009. ISSN 1471-4922.
- ↑ Shin Poong Pharmaceutical Co. Ltd. (2020년 12월 28일). “A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blind, Parallel, Placebo-Controlled, Phase Ⅱ Clinical Trial to Evaluate Efficacy and Safety of Pyramax in Mild to Moderate COVID-19 Patients”.
- ↑ “COVID-19 Treatment in South Africa - Full Text View - ClinicalTrials.gov” (영어). 2021년 1월 28일에 확인함.
- ↑ “Malaria as a Risk Factor for COVID-19 in Western Kenya and Burkina Faso - Full Text View - ClinicalTrials.gov” (영어). 2021년 1월 28일에 확인함.
- ↑ Shin Poong Pharmaceutical Co. Ltd. (2021년 1월 17일). “A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hase 2/3 Clinical Trial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Pyronaridine-artesunate (Artecom®) in COVID-19 Patients”.
참고 문헌
[편집]- McCreary EK, Pogue JM (April 2020). “COVID-19 Treatment: A Review of Early and Emerging Options”. 《Open Forum Infectious Diseases》 7 (4): ofaa105. doi:10.1093/ofid/ofaa105. PMC 7144823. PMID 32284951.